• 제목/요약/키워드: Planting date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s of growing degree days on growth and yield of maize depending on the sowing date

  • Jung, Gun Ho;Kim, Mi Jung;Son, Beom Young;Shin, Seong Hyu;Kim, Sung Kook;Lee, Jae Eun;Kim, Chung Guk;Kwon, Young Up;Shim, Kang Bo;Heu, Sungg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24-324
    • /
    • 2017
  • Total 15 different corn hybrids, Kwangpyeongok, Gangdaok, Yanganok, Singwangok, Jangdaok, Cheonganok, Cheongdaok, Andaok, Dapyeongok, Pyeongkangok, Pyeonganok, Daanok, Sunwon P3394, Gangilok, P3394, had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plant growth and yield of corn hybrids depends on the sowing date. Sowing dates were April 5th, June 25th, and July 5th and all experiments had three repeats. The growth of Gangdaok was the best. However, in the case of Kwangpyeongok, the growth was not the best to compare with Gangdaok, but the stem to ear height ratio was lower than Gangdaok, it may be better for the stable cultivation. Both of the growth and yield of Daanok was not good regardless of planting date, but the yield and ear shape of Pyeongkangok and Dapyeongok were good for fresh corn. The growth and yield of 15 different corn hybrids were variable depends on the planting date, however, the growth degree days (GDD)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maturity of the corn. More than $1500^{\circ}C$ of GDD was enough to harvest mature corn hybrids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Besides the yield and growth, other characters such as sweetness and taste as a food should be investigated further for the fresh corn to be suggested.

  • PDF

마늘주아의 파종시기 및 저장온도에 따른 마늘 종구의 생산성 (Productivity of Seed Garlic Using Garlic Bulbils as Affected by Planting Dates and Storage Temperatures)

  • 안율균;최경이;최학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959-963
    • /
    • 2010
  • 본 연구는 주아의 적정 파종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주아를 파종할 때 파종시기에 따른 수량을 살펴본 결과 중부 지역에서 추파한 경우 '단양마늘'의 평균 구 무게가 3.1-3.5g이었고 수확주 율은 61-71%였고 춘파의 경우 평균 구 무게가 1.8-2.8g이었고 수확주 율은 53-60%로 주아를 추파한 경우 수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적정 파종시기는 10월 초순이었다. 남부지역에서 '남도마늘'의 경우 평균 구 무게가 1.8-3.0g이었고 수확주 율은 74-89%였고 춘파의 경우 평균 구 무게가 0.6-1.0g이었고 수확주 율은 47-56%로 주아를 추파한 경우 수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적정 파종시기는 9월 중하순이었다.

Effect of Different Fertilizer Ratio and Planting Dates on Growth and Acanthoside D content of Acanthopanax divaricatus and Acanthopanax koreanum

  • Lee, Jung Jong;Lee, Sang Hyun;Park, Jae Sang;Park, Chung Berm;Ahn, Young Sub;Lee, Sang Chul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2호
    • /
    • pp.88-93
    • /
    • 2013
  • The cultivation methods of Acanthopanax in Korea need to be optimized. H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fertilizer ratios and planting dates on the growth and acanthoside D content of two (2) Acanthopanax species. The current recommended fertilizer rate of 10.5-8.5-8.5 $kg/ha^-$ ($N-P_2O_5-K_2O$, respectively) produced the best plant growth of Acanthopanax. For the first year, the acanthoside D content resulting from the 2P (2x phosphate) rate was higher than that from the other fertilizer ratios, ye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resulting from the various treatments for either Acanthopanax divaricatus or Acanthopanax koreanum. Similarly, for the second yea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anthoside D content resulting from the various fertilizer ratios, although for both species the acanthoside D content resulting from the 2P rate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from the other treatments.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doubling the amount of phosphate increased the acanthoside D content. Plus, the optimum planting date with respect to growth and productivity for Acanthopanax divaricatus was identified as April 15.

  • PDF

답전환전에서 파종기 및 배수처리가 나물콩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Dates and Drainage Methods on Growth and Yield of Sprout Soybeans in Converted Upland from Paddy Field)

  • 손범영;김대호;김은석;김수경;강동주;신원교;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23-332
    • /
    • 1997
  • 남부지방의 답전환전에서 나물콩인 은하콩과 광안콩을 5월 15일과 6월 16일의 두 파종기를 두어 명거배수와 지표배수에서 재배하여 이에 대한 생육 및 수량을 알아 본 결과 다음과 같다. 1. 개화기까지의 경장, 마디수, 분지수는 배수처리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답전환전이 밭보다는 짧거나 적었고, 파종기가 늦을수록 답전환전에서 길거나 많았다. 2. 개화기까지의 줄기 및 뿌리의 생체중은 배수처리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답전환전이 밭보다는 적었고, 파종기가 늦을수록 은하콩에서 증가하였다. 3. 개화기의 줄기 및 뿌리의 생체중은 수량과 각각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고, 근류수와 근류중도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4. 도복은 배수처리간 차이는 없었으며 5월 15일 파종보다 6월 16일 파종시 심하였고, 은하콩이 광안콩보다 덜 심했다. 5. 협수 및 100립중은 배수처리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100립중은 파종기가 늦을수록 은하콩은 무거웠고 광안콩은 가벼워TEk. 균일도는 5.00∼5.60mm에서 배수처리간 차이는 없었지만, 파종기가 은하콩은 늦을수록 낮아지고 광안콩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6. 수량은 지표배수에서 명거배수보다 높았으며, 은하콩은 6월 16일 파종시에서, 광안콩은 5월 15일 파종시에서 높은 수량을 보였다.

  • PDF

양파 정식시기별 서릿발 피해 방지 및 피해주 재이식 효과 (Effects of planting date for the prevention of frost-pillar damage and replanting of damaged plant on onion (Allium cepa L.))

  • 권영석;최인후;김철우;최민선;곽정호;임용표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313-318
    • /
    • 2015
  • In the year 2013, onions cultivation in Jeonnam province suffered by frost-pillar damage. To reveal the aspects of the cause and outbreak, we surveyed those damaged areas. Usually the frost-pillar damage occurred in February. But the outbreak aspect is so unforeseeable. In 2013, the damage was shown as 10.6% in onion fields including paddy fields, but no damage was noticed in 2014. The damage was noticed as 77.8% in paddy fields and 30.1% in upland. And, by the difference of the onion transplanting date, it occurred as 0.7% by the middle of November to the early of November, 22% by the middle of November and 69.0% by the early of December. If one performed the supplementary planting at $3^{rd}$ week of February, the highest survival percent was observed as 53.3%. If the date is early, another frost-pillar damage was occurred. If it's late, the damaged plant was perished with dry. In any case, we found improper transplanting caused the yield decrease. Therefore, we recommend the timely transplanting is the most important way for the prevention of frost-pillar damage in the onion cultivation.

Environment influences on agronomic and quality traits of sorghum

  • Choe, Myeongeun;Ko, Jeeyeon;Song, Seokbo;Park, Changhwan;Kwak, Doye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10-210
    • /
    • 2017
  • Sorghum is rich source of various phytochemicals including phenolic acids that have potential to significantly impact human health. Phytochemical production may be induced by not only genotype but a number of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temperatures and amount of sunshin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lanting date and harvesting stage on the agronomic and quality traits of 'Donganme' grain sorghum variety developed to produce high antioxidant activity. 'Donganme' were planted in three locations at four dates from early May to early July. Each planted fractions were harvested five times 35, 40, 45, 50, 55 days after head shooting date, respec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growth period and the agronomic traits. The interaction effects planting date and harvesting date was significant for plant height, tiller production, grain yield and antioxidant activity, indicating that low temperature and integrated sunshine influence on that traits. The result showed that antioxidant activity production occurred when the sorghum crop was grown in late season although the yield is lower. To produce antioxidant activity from sorghum grain need to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the yield and nutrition component simultaneously.

  • PDF

재식밀도 및 파종기 이동에 따른 기장(Panicum miliaceum L.)의 분얼발생 양상 및 생육 특성 (Effect of Planting Density and Seeding Date on the Tiller Aspect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 윤성탁;한태규;정인호;김영중;유제빈;양경;예민희;한광섭;백승우;김순일;이명철;김건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11-518
    • /
    • 2016
  • 본 연구는 재식밀도 및 파종기 이동이 기장의 분얼발생 및 생육·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기계화 수확을 위한 분얼억제 및 생육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재식밀도에 따른 기장의 총 분얼경수와 1차·2차 유효경비율은 조간 60 ㎝보다 80 ㎝에서 높았으며 주간거리가 20 ㎝로 늘어날수록 증가하여 재식밀도가 낮아질수록총 분얼경수와 유효경비율이 증가하였다. 파종기 이동에 따른 기장의 1차 유효경비율은 5월 23일(2차) 파종기에서 91.7%로 가장 높았으며 6월 13일(3차, 89.8%), 5월 2일(1차, 85.6%), 7월 4일(4차, 85.2%) 순이었다. 2차 유효경비율은 5월 2일(1차, 53.7%), 5월 23일(2차, 40.7%), 6월 13일(3차, 22.2%), 7월 4일(4차, 0%) 순으로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재식밀도에 따른 기장의 출수소요일과 성숙소요일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밀식할수록 간장이 증가하였으며 분얼경수, 경직경, 수장, 수당립수, 천립중 모두 감소하였다. 파종기 이동에 따른 기장의 생육 및 수량 특성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출수소요일, 성숙소요일, 간장, 경직경, 수장, 수당립수 및 수량 모두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6월 13일(3차) 파종기부터 습해로 인한 생육부진으로 특성들의 감소폭이 컸다.

수도재배법의 차이가 Japonica 및 Tongil 형 품종의 등숙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ltural Practices on Ripening Characteristics of Japonica and Tongil Type in Rice (Oryza sativa L.))

  • 권규칠;박성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98-308
    • /
    • 1988
  • 수도의 재배방법을 달리 하였을때 등숙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명하고자 1900년부터 1982년까지 재배되어온 장려품종중에서 10년대별로 3품종씩 총 32품종을 1930년대의 소비만식재배와 현재의 표준재배법으로 재배하여 등숙특성에 대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법간의 이앙기차는 15일 이었으나 출수기차는, 5일 이었으며 이삭추출기간이 전품종 모두 5∼10일 사이에 있었는데, 조생종은 5일 전후이고, 중생종은 6∼7일, 만생종은 7∼10일로 길었다. 2. 이앙기로부터 유효등숙기까지의 일수는 소비만식 재배에서 99.8일 , 보비적식재배에서는 106.2일로 6.4일이 길었으나 출수기로부터 유효등숙기까지의 일수는 소비만식재배에서는 30.2일로 1.2일이 짧았다. 3. 출수기로부터 생리적 성숙기까지의 일수는 소비만식 재배에서 36.1일, 보비적식 재배에서는 33.6일로 2.5일이 빨랐고, 품종별로는 보비적식재배에서 Tongil 형 품종이 31.7일로 Japonica형 품종 34.1일보다, 2.4일이 빨랐으며, 소비만식재배에서도 같은 경향으로 Tongil 형 품종들이 2.5일 빨랐다. 4. 등숙속도는 출수후 5∼15일 사이에 천립중의 일당 증가량이 847.8mg에서 1130mg으로 가장 왕성하였고, 품종별로 보면 Japonica형 품종들은 출수후 5일 경부터 완만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35일경까지 200mg 이상 유지되고 있으나 Tongil 형 품종들은 출수후 30일경에는 급격히 감소되었다. 5. 기상요인(온도, 일사량)과 등숙속도와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유효등숙기 및 생리적 성숙기간에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기온이 높을수록 일사량이 않을수록, 생리적 성숙기에 도달하는 기간이 단축되었다.

  • PDF

벼 품종의 잎집무늬마름병 저항성연구 III. 접종균주에 따른 품종저항성의 변이 (Studies on Varietal Resistance to Sheath Blight Disease in Rice III. Variation of Varietal Resistance by Inoculating Different Fungus Isolates)

  • 김광호;권중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09-314
    • /
    • 1988
  • 벼 품종의 잎짚무늬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정도가 접종균주에 따라서 어떻게 변하는 가를 알기 위하여 국내에서 수집한 R. solani 균주와 저항성정도가 다른 품종을 이용하여 1986∼'87년 2년간에 걸쳐 실험을 수행하였다. 1986년에는 벼 9개품종에 배양특성이 다른 7균주를 접종했고 1987년에는 벼 10품종에 배양특성이 다르거나 동일 배양형이지만 수집 지역이 달랐던 12균주를 성묘기에 접종시켜 발병을 유도하였으며 각 품종의 출수기와 출수 25일후에 피해도를 조사하였다. 1. 배양특성이 다른 접종균주간에 공시품종 후 평균 피해도의 차이가 있었고 배양 특성은 같으나 수집지역이 달랐던 균주간에도 평균피해도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2 품종간에 접종균주 평균피해도의 차이가 뚜렷하였는데 피해도가 낮았던 품종 중에는 접종균주에 따른 피해도의 변이계수가 큰 품종도 있었다. 3. 공시품종들의 피해도는 접종균주에 따라서 수치상의 변이를 보였지만 품종과 균주간의 상호작용은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발병이 적게되는 품종은 어떤 균주를 접종해도 피해도가 낮은 편에 속했고 발병이 잘 되는 품종은 항상 피해도가 높은 편에 속했다. 4. 공시품종 중 가야벼, K3 및 칠성벼는 접종한 모든 균주에 대하여 안정적인 저항성반응을 보였다.

  • PDF

북한 콩 품종의 개화기 군 분류와 개화특성 평가 (Classification of Flowering Group and the Evaluation of Flowering Characteristics for Soybean (Glycine max Merrill) Varieties from North Korea)

  • 이혜지;김보환;김욱;박세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47-55
    • /
    • 2020
  • 북한 콩 22 품종의 개화기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7년부터 2019년 3년간 고려대학교 실험농장에서 5월 31일, 6월 19일, 6월 30일, 7월 3일, 7월 4일의 파종기에 따른 개화기와 개화일수를 조사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개화기 군을 분류하여 개화기 반응을 분석하였다. 1. 5월 31일 파종한 한국 조생종인 '연풍콩'의 개화기는 7월 18일, 개화일수 48일 보였으며, 중만생종 '대원콩'은 7월 30일의 60일이었다. 2. 5월 31일 파종기에서 개화기가 '연풍콩'보다 빠른 북한 품종의 개화기는 7월 2일~15일로 분포하였으며, 'Brekkhat'을 포함한 8개 조생종 품종이 분류되었다. 3. 5월 31일 파종기에서 '대원콩'과 비슷하거나 늦은 북한 품종의 개화기는 7월 24일~30일로 분포되었으며, 'Chang Dan Bac Mok'을 포함한 12품종을 중·만생종 품종으로 분류하였다. 4. 콩 품종의 개화기 조만성은 년차 간 또는 파종기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품종의 개화기 군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5. 한국 조생종 '연풍콩'과 중만생종 '대원콩'의 개화기를 기준으로 북한 콩 품종의 개화기를 6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6. 북한 중·만생종 콩 품종은 모두 '감광성 중·만생종'으로 분석되었으며, 조생종 품종의 경우, '감온성 조생종'과 '감광성 조생종'의 2 형태로 분류되었음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