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ing Layer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3초

고속도로 휴게소 환경개선을 위한 기능 증진 방안 연구 - 수도권 휴게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Functional Improvement for Comfortable Expressway Service Areas - Metropolitan Expressway Service Areas -)

  • 이원명;한봉호;김종엽;박석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63-76
    • /
    • 2015
  • 본 연구는 수도권에 설치된 고속도로 휴게소 5개소를 대상으로 휴게소 공간 및 환경 특성, 식재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휴게소 조경공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간 및 환경 특성에서는 토지이용, 녹지 배치, 토지피복과 환경영향 요인으로 소음 현황, 분리녹지대 지형 구조를 조사 분석하였다. 식재현황에서는 식재개념, 식재구조, 식생경관을 조사 분석하였다. 토지이용 현황은 건물 등 시설지가 81.6%, 녹지는 18.4%이었으며, 녹지는 경관공간 5.4%, 완충공간 9.1%, 녹음공간 0.7%이었다. 녹지 배치는 분리녹지대, 건물 좌 우측, 진 출입부, 휴게소 건물 후면에 주로 배치되어 있었다. 토지피복 현황으로 평균 불투수포장율은 79.3%, 평균 투수포장율은 20.7%이었다. 소음 측정 결과는 소음원인 고속도로와 휴게소의 배치, 분리녹지대의 유형 및 규격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식재개념 현황은 경관식재 6.7%, 기타녹지 3.4%, 완충식재 4.6%, 완충+경관식재 2.0%, 녹음식재 1.1%, 경관+녹음식재 0.5%로 조경공간 대부분이 감상을 위한 공간 위주로 조성되어 있었으며, 이용자의 휴식, 위락 공간 등 적극적 이용 가능 공간은 부족하였다. 식재구조는 교목층식재 52.2%, 관목층식재 11.8%, 교목층+관목층식재 9.4%로 대부분 단층구조이었다. 식생경관은 조사지점에 따라 식재밀도, 식재구조, 생육상태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고속도로 휴게소 환경 개선 방안은 기반환경 개선, 공간기능 개선, 식재기능 개선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기반환경 개선은 휴게소 소음 개선을 위한 분리녹지대 기능 강화, 물순환 체계 개선,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시설물 설치를 제시하였다. 공간기능 개선은 휴게공간 접근성 향상을 위하여 건물 좌우측에 조성되는 녹지를 건물 전면에 배치하는 휴게공간 배치 개선과 주차장 내 녹지섬 조성을 통한 열섬현상 완화 및 보행자 안전 확보를 위한 식재 및 조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식재기능에서는 분리녹지대 완충기능 강화를 위하여 다층형 수림대 조성, 외곽녹지 완충기능 확보를 위한 상록교목+낙엽교목+관목층의 식재구조를 제시하였다. 건물 전면과 이용 선호도가 높은 건물 좌측공간에 녹음공간을 조성하고, 주제 설정을 통한 경관공간 식재방안을 제시하였다.

스포츠 그라운드에 적합한 식재지반과 잔디 초종에 관한 연구 (Planting foundations and Turfgrass Species Adapted to Grounds)

  • 심상렬;정대영;김경남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1-7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per species of turf and the ground structure for the turf sports grounds. Analysis items are particle distribution of sand and gravel,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soil hardness, and turf growt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The particle distribution of sand used in the multi-layer rootzone is within the upper limit of the standard level. The diameter of mid-size grain({TEX}$D_{50}${/TEX})was 0.62mm and the value of uniformity ({TEX}$D_{90}${/TEX}/{TEX}$D_{10}${/TEX}) was 3.93.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sand used in the single-layer rootzone was beyond the standard level as {TEX}$D_{50}${/TEX})=0.86 and {TEX}$D_{90}${/TEX}/{TEX}$D_{10}${/TEX}=8.86. 2)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sand was higher in the multi-layer rootzone than in the single-layer rootzone while bulk density was vice versa. 3) Surface hardness was high on Kentucky bluegrass+perennial ryegrass compared to zoysiagrass probably caused by root density. 4) Visual covering and visual rating were highly evaluated on zoysiagrass within summer while better evaluated on Kentucky bluegrass+perennial ryegrass throughout fall to spring. 5) Visual color was better evaluated on Kentucky bluegrass+perennial ryegrass than on zoysiagrass throughout the year. These studies are demanded urgently according to increase in interest in the ground and turf species of the turf sports ground because of World Cup 2002.

  • PDF

인천해안지역의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한 해안림 식재모델 연구(I) - 곰솔림과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 (The Planting Models of Maritime Forest by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in the Seaside, Incheon - A Case Study on Pinus thunbergil Community and P. densiflora Community-)

  • 권전오;이경재;장상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3-63
    • /
    • 2004
  • Planting models for restoration forest on the seaside have been demanded because coastal reclaimed land has increased for habitation sites, industrial complexes and new towns on the west seaside of Korea. The planting models have to consider endurance for ba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order to make a role to protect the urban space against the extreme seaside environment. The dominant species, relative impotance value, individuals and species number were analysed in natural forests that were exposed to extreme seaside conditions in Deokjeok island and Younghung island, Incheon. The native species such as Pin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 which survive on the seaside, were mainly recommended because the coastal reclaimed land had extreme environmental conditions. Stable vegetation structures could be made by multi-layer planing by using these species. A diverse vegetation community could be made according to these planting models. The maritime forests made by these planting models might be more effective for environmental adaptation and a windbreak forest than alone tree, and the young trees below 3m height could easily adapt to these conditions.

식재밀도에 따른 강송의 Biomass 생산 및 배분 특성 (Biomass Production of 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by Planting Density and Its Allocation Chracteristics)

  • 이돈구;권기철;김영환
    • 임산에너지
    • /
    • 제18권1호
    • /
    • pp.6-10
    • /
    • 1999
  • 식재밀도에 따른 강송(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의 biomass 생산 및 배분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 소재 서울대학교 칠보연습림내 12년생 강송 조림지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식재밀도가 1.0m×1.0m, 1.8m×1.8m, 3.0m×3.0m인 강송 조림지에서 각각 6본, 5본, 4본씩 표본목을 선정하여 부위별로 생중량을 측정하고 식재밀도에 따른 임분의 biomass 현존량 및 배분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ha당 biomass 현존량은 밀도 순으로 나타났다. (2) 식재밀도가 높을수록 가지와 침엽이 차지하는 biomass 현존량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3) 당년생 가지와 줄기의 경우 밀도가 낮을수록 수분함량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침엽과 전년생 가지의 경우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4) 식재밀도가 높을수록 최대광합성부위가 위쪽에 나타났다.

  • PDF

서울시 강북구 솔밭근린공원 소나무림 답압 피해 개선사업 효과 연구 (The Improvement Effect of Pinus densiflora Forest Disturbed by Human Trampling in the Solbat Neighborhood Park, Gangbuk-gu, Seoul)

  • 권기영;한봉호;박석철;최진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48-15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솔밭근린공원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울타리 설치, 관목 및 초본식물 식재 등의 답압 피해 개선사업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2005년과 2010년 현장조사를 통해 소나무 식재유형, 식재구조, 토양경도, 토양단면구조, 토양 이화학적 특성 등의 변화 상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소나무의 가지생장량과 직경생장량을 측정하여 개선사업전과 후 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답압 피해지역 개선사업에 따른 효과를 고찰하였다. 식재유형 변화에서는 하층 식생이 없는 소나무림이 2005년 48.5%에서 2010년에는 6.8%로 감소하였으며, 관목 및 초본이 식재된 소나무림이 7.4%에서 46.8%로 크게 증가하였다. 식재구조 변화에서는 대부분 조사구가 하층식생이 거의 없는 소나무림에서 진달래, 철쭉꽃, 원추리, 돌단풍, 옥잠화 등 관목 및 초본식생이 넓게 피복된 소나무림으로 변화되었다. 2005년 솔밭근린공원의 토양경도는 평균 $54.8kg/cm^2$로 딱딱한 토양층이었다. 2010년 솔밭근린공원 개선사업 후 토양경도는 대부분 $4kg/cm^2$ 미만으로 식물생육에 영향이 없는 양호한 상태였다. 2005년에 토양단면구조는 답압 영향으로 인해 낙엽층이 소실되어 있었으며, 유기물층이 1.0cm로 식물이 생육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개선사업 후 2010년에는 답압에 대한 피해가 줄어서 낙엽층이 3.0cm까지 새롭게 형성되었고, 지속적인 시비에 따라 유기물층의 깊이도 1.5~8.0cm로 증가하였다. 2005년 토양 이화학적 특성에서는 pH 5.76~6.70, 유기물 함량 7.15~10.55%, 유효인산 9.38~26.47mg/kg으로 소나무 생육 토양환경조건으로 큰 문제가 없었다. 또한 소나무 15주를 선정하여 가지생장량을 분석한 결과, 개선사업 이후 가지생장량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토양경도 등급에 따라 소나무 70주를 선정하여 직경생장량을 측정한 결과, 대부분 조사구에서 소나무가 개선사업 이후 생육이 양호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울타리 설치, 관목 및 초본식물 식재 등의 답압 피해 개선사업이 소나무 생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당진화력발전소 녹지공간의 식재현황 및 생태적 특성 분석 (Planting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s at the Dangjin Steam Power Plant)

  • 강현경;이수동;한봉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8-89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lanting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eon spaces on the grounds of e Dangjin steam power plant. To achieve these goals, we surveyed existing vegetation, plant community structure, Plant volume and growth rate. Based on e vegetation analysis, existing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six types: herbaceous species $(70.54\%)$, evergreen coniferous trees $(21.17\%)$, deciduous broad-leaved trees $(5.10\%)$, deciduous coniferous trees $(1.47\%)$, shrubs $(0.12\%)$, and other types $(1.59\%)$. The coal storage, office, and playground areas were community is the natural forest area where a Pinus thunbergii / Pinus densiflora community is distributed in terms of vegetation structure, species diversity, plant volume, and growth rate. The artificial green spaces(near the coal storage, office, playground areas) had a single-layer structure.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the artificial green areas were $0.1655\~0.4807$ compared to 0.8628 in the natural forest, which presented a good growth environment. Also, the plant volume in the artificial green space was lower than that of the natural green space.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to develope a multi-layer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vegetation in the natural green space in order to improve the amount of plant volume. The plant-damage ratio of Pinus thunbergii was $52.48\%$ in the coal storage area, and $8.48\~ 11.52\%$, in the other survey areas. Also, the vitality of Pinus thunbergii was $15.45k{\Omega}$ in the coal storage areas, which indicates bad growing conditions. This suggests that soil characteristics and dust have a bad impact on growth. The investigation into deciduous tres' growth status showed that appropriate plants would be Albizzia julibrissin, Acer palmatum var. sanguineum, Acer palmatum, Malus spp., Prunus sargentii.

인삼포의 환경조건과 인삼생육과의 관계 제1보 재식위치별 생산구조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Growth of Ginseng Plant in Field I. Productive Structures as Affected by Planting Positions and Ages)

  • 김종만;이성식;천성용;천성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4-98
    • /
    • 1982
  • 일복내에서의 인삼의 생육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3~5년근의 경 및 엽의 건물중, 엽면적과 동지수(LAI), 비엽중(SLW) 등의 수직분포 및 조도의 변화를 재식위치별로 조사하였다. 1. 3년근에서 조도는 지상 10cm 정도에서 가장 낮았고 후행일수록 낮았다. 2. 3년근 엽면적은 상의 가운데 $\frac{1}[3}$부분이 넓었고 비엽중은 수광량이 많은 곳일수록 높았으나 엽면적 지수는 행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3. 4년근에서는 3년근보다 광환경이 악화되었고 엽면적 및 동지수는 행별 차이가 현저했다. 4. 5년근에서는 통로부분의 엽량이 많아진 것 외에는 대체적인 경향이 4년근과 비슷하였다. 5. 경엽의 건물중은 고년근일수록 현저히 증대되었고 잎의 건물중은 보다 상층에 분포하였다.

  • PDF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의 토지 피복 상태와 온도와의 관계 연구 (The Related Research with the Land Cover State and Temperature in the Outer Space of the Super-High-Rise Building)

  • 한봉호;김홍순;정태준;홍석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51-762
    • /
    • 2010
  • 본 연구는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의 식물 피복 상태가 온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서울시에 위치한 초고층 건축물 12개소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의 토지 피복 유형별 온도 차이 분석을 위해 6개 유형(외곽도로, 포장지, 관목/초지, 단층교목식재지, 다층식재지, 수경시설)으로 건축물외부공간의 피복유형을 구분하였으며 토지이용유형별 대표지점에서 온도를 실측하였다. 건축물 12개소의 주변 환경차이를 고려하기 위해 외곽도로의 중앙부에 대조구를 선정하여 온도를 측정한 후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토대로 유사한 온도경향을 보이는 대상지를 4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그룹의 토지 피복 유형과 외부 공간 온도와의 일원배치 분산분석결과, 주로 단층교목식재지, 수경시설, 다층식재지는 저온역에 속하였으며, 관목/초지, 포장지, 외곽도로는 고온역에 속하였다. 저온역과 고온역의 온도차이는 약 $1.06{\sim}6.17^{\circ}C$의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조성된 식재지와 수경시설 면적의 협소, 건축물로 인한 일사도달량의 저감과 반사량의 증가 등으로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 온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에 각 공간에 필요한 녹지량과 수공간의 면적을 조성 전 미리 산출하여,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최소한의 면적과 녹지량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었다.

도심가로변 상업 종사자의 가로 녹화에 대한 의식조사 (A Survey of commercial business men and employers' Recognition on the Street Planting)

  • 김범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71-278
    • /
    • 2005
  • This study analyzes the recognition of commercial business men and employers who operate the commercial zone along the streets in the downtown area on the planting for the roadside green space forming the important frame of greening in the downtown among the open spaces.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attempts to get the basic data to suggest the recommendable directions in planting and managing the street trees in the downtow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described below. The street green spaces are very important in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the downtown and their necessities are also very critical. It was found that the street trees were recognized as the critical factor to enhance the aesthetical values of the city, provide the green shades and purify the air.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at the street trees have the positive impacts on the business environment rather than negative impacts. In maintaining the street green spaces, the most necessity is the service facility such as resting areas, toilets and garbage bins with the street trees. The commercial business men and employers who operate the businesses along the streets preferred the double layer type that the tall trees and green walls are planted together along the streets for the street planting. For securing the green shades in the city, the planting of linear green spaces such as streets and waterways is critical. Moreover, the street trees accounts for the important position in the urban open spaces. The majority of commercial business men and employers consider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for greening as the very essential factor.

학교 숲 식재구조에 따른 음이온 발생량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Negative Air Ions according to the Planting Structure at School Forests)

  • 김정호;오득균;박용관;윤용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5-64
    • /
    • 2015
  • 본 연구는 쾌적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인간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음이온을 평가인자로 설정하고, 학교별 녹지특성 및 배치, 기상요소를 구분하여 음이온 발생에 효과적인 학교숲 조성모델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도시녹지 조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음이온의 경우 식재구조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단층구조($934ea/cm^3$) > 다층구조($794ea/cm^3$) > 잔디($553ea/cm^3$) > 나지($529ea/cm^3$)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상요소와의 상관성의 경우, 기온과 부의 상관관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산분석 및 사후분석 결과, 식재구조의 차이에 따른 음이온발생량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녹지구조에 따른 음이온농도의 차이는 다층구조보다 단층구조에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다층구조에서 단층구조보다 기온이 더 높게 측정되었는데, 선행연구 고찰결과, 음이온 발생원에서 일정거리 이내에서는 기온이 높을수록 음이온 농도가 낮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풍속이 다층구조 식재구조보다 단층구조 식재구조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는데, 음이온의 확산에 있어 단층구조 식재구조가 다층구조 식재구조에 비하여 수목에 의한 바람의 차폐가 상대적으로 덜 이루어져 음이온의 발생과 확산이 더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