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specimens

검색결과 456건 처리시간 0.024초

Differential Responses of Soybean Cultivars to Cercospora sojina Isolates, the Causal Agent of Frogeye Leaf Spot in Korea

  • Kim, Ji-Seong;Lee, Young-Su;Kim, Sung-Kee;Kim, Ki-Deok;Kim, Jin-W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2호
    • /
    • pp.183-186
    • /
    • 2011
  • During the summer of 2005, specimens of soybean cultivars (Daepung, Daewon, Hwanggeum and Taegwang) showing frogeye leaf spot (FLS) were obtained from various areas in Korea. Eight isolates identified as Cercospora sojina were inoculated on the adaxial leaf surfaces of 63 Korean soybean cultivars; the disease responses to each isolate were evaluated 14 days and 21 days after inoculation. Based on the disease responses (resistant or susceptible) of the cultivars by the isolates, a set of cultivars (Anpeong, Bogwang, Cheongdu No. 1, Cheongja No. 3, Dachae, Daemang, Jangwon, Namhae, Sowon, Taegwang) were selected and inoculated with seven isolates for further testing pathogenic variance. Interestingly, 6 out of 7 tested C. sojina isolates revealed differential ability in infecting different soybean cultivars. This result may indicate the possibility of new race occurrence or pathogenic variation; this also presents evidence for prevalent FLS occurrence during humid and hot weather in Korea.

A New Report on Edible Tropical Bolete, Phlebopus spongiosus in Thailand and Its Fruiting Body Formation without the Need for a Host Plant

  • Kumla, Jaturong;Suwannarach, Nakarin;Lumyong, Saisamorn
    • Mycobiology
    • /
    • 제48권4호
    • /
    • pp.263-275
    • /
    • 2020
  • Phlebopus spongiosus is a well-known edible ectomycorrhizal mushroom indigenous to southern Vietnam. The mushroom specimens collected from northern Thailand in this study were identified as P. spongiosus. This identification wa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ulti-gene phylogenetic analyses. Pure cultures were isolated and the relevant suitable mycelial growth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ungal mycelia grew well on L-modified Melin-Norkans, and Murashige and Skoog agar all of which were adjusted to a pH of 5.0 at 30 ℃. Sclerotia-like structures were observed on cultures. The ability of this mushroom to produce fruiting bodies in the absence of a host plant was determined by employing a bag cultivation method. Fungal mycelia completely covered the cultivation substrate after 90-95 days following inoculation of mushroom spawn. Under the mushroom house conditions, the highest amount of primordial formation was observed after 10-15 days at a casing with soil:vermiculite (1:1, v/v). The primordia developed into a mature stage within one week. Moreover, identification of the cultivated fruiting bodies was confirmed by bot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method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P. spongiosus found in Thailand and its ability to form fruiting bodies without a host plant.

한국산 2미기록종 Oxytricha balladyna와 O. longa (유모문: 다막강: 하모목) (Two Newly Recorded Ciliates, Oxytricha balladyna and O. longa (Ciliophora: Spirotrichea: Sporadotrichida) from Korea)

  • 권춘봉;신만균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0권2호
    • /
    • pp.171-178
    • /
    • 2004
  • 해안의 소나무 아래 토양과 하수처리장 폭기조에서 채집된 섬모충이 각각 Oxytricha balladyna와 O. longa으로 동정되었다. 이 종들은 한국에서 처음 보고 되는 것으로 생체표본과 protargol로 염색한 표본에 근거하여 재기재하였다. 유사 종들과 비교한 결과 Oxytricha balladyna는 한 개의 소핵이 두 개의 대핵사이에 위치하고. 5개의 후방극모, 3개의 미극모, 5열의 등쪽섬모열이 있으며 세포질에 granule이 없다. O. longa는 소핵이 각각 대핵 부근에 한 개씩 위치하며, 3개의 postoral ventral cirri가 직선상으로 배열하며 후방극모 (transverse cirri)와 멀다. 4개의 후방극모, 2개의 미극모와 4열의 등쪽섬모열이 있으며 특히 세포질에 Yellow-green granules이 관찰되어 특이하였다.

초음파법을 이용한 Cr-Mo강 고온배관재료의 크리프손상 평가 (Creep Damage Evaluation of Cr-Mo Steel High-Temperature Pipeline Material for Fossil Power Plant Using Ultrasonic Test Method)

  • 이상국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8-26
    • /
    • 2000
  • 화력발전소 보일러 고온배관인 주증기관, 헤드 및 증기드럼 등의 설비들은 장시간동안 고온고압의 가혹한 조건으로 운전됨에 따라 크리프손상에 의해 열화되고 있다. 이들 설비의 크리프손상측정에 적용되는 종래의 비파괴기법인 레프리카법, 전기저항법 및 경도법 등은 복잡한 측정절차 및 접근성, 검사결과의 신뢰도 및 측정정도 등 여러가지면에서 단점이 많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화력발전소 주요 고온배관에서 발생되는 경년열화인 크리프손상에 대한초음파 측정연구를 수행한 결과로서, 고온배관재료인 Cr-Mo강의 크리프 인공열화재를 대상으로 이들에 대한 크리프손상 상태별 초음과 음속(sound velocity) 및 감쇠(attenuation)의 초음파 신호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기계적 피로결함 시험편 제조 및 결함 크기 평가 (Fabrication of Mechanical fatigue flawed Specimen and Evaluation of Flaw Size)

  • 홍재근;김우성;손영호;박반욱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8-44
    • /
    • 2003
  •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등급 기기에 적용되는 비파괴검사는 실제 결함을 실현한 시험편을 사용하여 결함탐지능력을 검증하도록 하는 기량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가동중인 원전에서 발생 가능한 균열으로는 기계적 피로균열, 열 피로균열 및 입계부식균열 등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피로균열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장 피로하중을 사용하여 기계적 피로결함을 제조하기 위해서 시험편을 설계하였고 원하는 피로결함 파면의 조도를 얻기 위해서 인가하중의 크기 및 사이클 수를 조절하여 피로결함을 발생시켰다. 발생된 결함에 대한 정확한 크기와 위치에 대한 물리적 정보를 얻은 후에 결함이 설계된 크기와 위치에 존재하도록 기밀용접을 실시하였다. 기밀용접 후 잔여 용접 흠은 가스 텅스텐 아크용접 및 플럭스 코어드 아크용접으로 채워졌다. 최종 완성된 피로결함 시험편을 방사선투과검사 및 초음파탐상검사를 통하여 검사한 결과, 설계된 길이와 깊이로 피로결함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나도국수나무족(장미과)의 분류: 나도국수나무속 (Taxonomy of tribe Neillieae (Rosaceae): Neillia)

  • 오상훈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3-32
    • /
    • 2016
  • 나도국수나무족(Neillieae)은 전통적으로 나도국수나무속(Neillia), 국수나무속(Stephanandra), 산국수나무속(Physocarpus)의 3속으로 구성된 장미과의 분류군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국수나무속은 최근의 분자계통학적 연구에 근거하여 나도국수나무속에 포함되어, 나도국수나무족은 나도국수나무속과 산국수나무속의 2속으로 구성된 족으로 인식된다. 나도국수나무속은 난형 내지 피침형의 잎, 점첨두 내지 꼬리형의 엽선, 총상 또는 원추화서 및 단심피의 암술을 갖는 특징에 의해 산국수나무속과 뚜렷이 구분된다. 본 속의 식물은 히말라야에서 중국 및 한국을 거쳐 동쪽으로 일본, 남쪽으로 인도네시아에 걸쳐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나도국수나무족의 종속지적 연구의 일환으로 나도국수나무속의 분류를 제시하였다. 기준표본을 포함한 표본 조사 및 야외 조사를 바탕으로 형태형질 분석 결과와 현재까지 밝혀진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각 종에 대한 검색표, 모든 학명에 대한 자세한 명명법적인 검증 및 처리를 포함하여 나도국수나무속 및 각 종에 대한 기재, 분포도 및 조사한 표본의 목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나도국수나무속에 12종을 인식하였으며, 이 중 3종에서 총 10 변종을 인식하였다. 또한, N. sinensis f. glanduligera 및 N. thyrsiflora의 학명에 대한 선정기준표본을 지정하였다.

LOCAL BURNUP CHARACTERISTICS OF PWR SPENT NUCLEAR FUELS DISCHARGED FROM YEONGGWANG-2 NUCLEAR POWER PLANT

  • Ha, Yeong-Keong;Kim, Jung-Suck;Jeon, Young-Shin;Han, Sun-Ho;Seo, Hang-Seok;Song, Kyu-Se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79-88
    • /
    • 2010
  • Spent $UO_2$ nuclear fuel discharged from a nuclear power plant (NPP) contains fission products, U, Pu, and other actinides. Due to neutron capture by $^{238}U$ in the rim region and a temperature gradient between the center and the rim of a fuel pellet, a considerabl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fission products, Pu, and other actinides are expected in the pellet periphery of high burnup fuel. The characterization of the radial profiles of the various isotopic concentrations is our main concern. For an analysis, spent nuclear fuels originating from the Yeonggwang-2 pressurized water reactor (PWR) were chosen as the test specimens. In this work, the distributions of some actinide isotopes were measured from center to rim of the spent fuel specimens by a radiation shielded laser ablation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LA-ICP-MS) system. Sampling was performed along the diameter of the specimen by reducing the sampling intervals from 500 ${\mu}m$ in the center to 100 ${\mu}m$ in the pellet periphery region. It was observed that the isotopic concentration ratios for minor actinides in the center of the specimen remain almost constant and increase near the pellet periphery due to the rim effect apart from the $^{236}U$ to $^{235}U$ ratio, which remains approximately constant. In addition, the distributions of local burnup were derived from the measured isotope ratios by appl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up and isotopic ratio for plutonium and minor actinides calculated by the ORIGEN2 code.

가압 경수로에서 생성된 시멘트 고화체로부터 Cs-137의 용출 현상의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Leaching Phenomena of Cs-137 From a Cement Matrix Generated at PWR Plant)

  • 도정열;이건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91-103
    • /
    • 1986
  • 가압 경수로형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증발기 저부 폐액에서의 Cs-137의 용출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IAEA에 의해 제안된 용출실험 방법에 근거를 두고, ANS 방법의 일부를 채용하였다. 용출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들로서, 시료채취방법, 양생온도, 양생기간, 용출액 온도, Vermiculite 첨가와 체적 대 표면적비 등이 고려되었다. 준 무한 격판(Semi-infinite Slab)에 대한 확산 모델은 4주간 경화된 시료의 실험치와 좋은 일치를 보이고 있다. 4주간 $25^{\circ}C$에서 양생된 시료의 표면적 확산 계수는 $1.20{\sim}1.47{\times}10^{-11}cm^2/sec$가 됨을 확인했으며, 이 계수에 의해 Cs-137의 장기 용출을 예측을 유한 격판 근사(Finite-slab Approxim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또한, 계산 결과로부터 Cs-137은 용출 개시후 약 25년이 되면 초기량의 0.66%인 최대치가 되며 100년 후에는 약 0.25%가 잔류한다.

  • PDF

부추속(부추과) 미기록 식물 1종: 갯부추 (An unrecorded species of Allium (Alliaceae) in Korea: A. pseudojaponicum Makino)

  • 최혁재;김윤영;고은미;장창기;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3-59
    • /
    • 2006
  • 전라남도 여수시 거문도에서 발견된 부추속(부추과) 1분류군을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이 분류군은 지금까지 일본의 남부지방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던 Allium pseudojaponicum Makino로서, 근연종인 산부추(Allium thunbergii G. Don)에 비해 윤이 나는 상록성의 잎, 화경에 측생하는 인경 및 2n=32의 염색체수 등의 특징으로 쉽게 구분된다. 국명은 생육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갯부추'로 신칭하였다. 이 분류군에 대한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였고, 도해 및 생태 사진을 제시하였다.

한반도 가시나무(참나무과)의 분포 및 자생지 현황 (The distribution and population status of Quercus myrsinifolia (Fagaceae) on the Korean peninsula)

  • 이정현;이동혁;최혁재;;;;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65-170
    • /
    • 2014
  • 상록성 참나무류는 한반도 상록활엽수림을 구성하는 주요 수종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가시나무(Quercus myrsinifolia Blume)의 한반도 분포지와 자생현황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표본에 근거한 현지조사를 토대로 가시나무의 자생지를 밝혀 한반도 내 분포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또한 보존대책의 첫 단계로 자생 개체수 전수 조사를 실시 하였다. 조사결과, 한반도 내에서 가시나무는 전남 진도에 단 3개의 아집단으로 구성된 169개의 성체만이 제한적으로 자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오동정과 식물표본의 채집지 오기재가 종의 분포에 대한 혼란을 야기하는 주된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금번 조사결과는 한국산 가시나무의 효과적 보전을 위한 중요한 지표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식물표본의 정확한 데이터 기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에서 이 종의 분포가 진도에만 제한되게 된 원인에 대해 논의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