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ning Concept

검색결과 1,402건 처리시간 0.031초

대학 정보기술 아키텍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국내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The Evolution of IT architecture in Universities: A Case study of Korean Domestic Universities)

  • 윤성철;서현석;이석준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111-131
    • /
    • 2002
  • 최근 대학들도 업무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구성원인 교수, 학생, 직원 등에게 즉각적이고, 유용하며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중장기적인 대학정보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대학정보화의 개념은 초기에는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사무자동화 수준에서 시작하였으나, 현재는 행정정보화 및 교육정보화까지 발전하였으며, 또한 가상 대학까지 범위를 확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1991년과 2001년 동안 국내에서 수행되어진 대학정보화 사례 중 연대기적 중요성에 따라 3개의 대학을 선정하여, 대학정 보화에 대한 경험적인 분석과 보완적인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대학들을 정보기술 아키텍처 관점 에서 정보 아키텍처, 인프라 아키텍처, 정보관리 아키텍처별로 비교하고, 정보기술 아키텍처의 진화가 대학정보화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였다. 사례 연구 대상 대학들은 고객중심의 패러다임에서 시장경쟁력을 확보하고 우수 대학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위해, 대학정보화를 통하여 교육 촉진, 연구 촉진, 행정 효율화를 추구하고자 하였으며, 아직은 정보관리 부분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관리 부분의 미비 사항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학 실무자, 관리자, 교수들이 정보시스템의 성공적인 구축 및 유지와 관련된 이슈들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본 연구는 향후대학 정보화 프로젝트를 진흥하는 촉매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다차원공간정보를 이용한 실감정사영상 제작 방안 (Producing True Orthophoto Using Multi-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 이현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1-253
    • /
    • 2008
  • 최근 u-City, uECO-City와 같은 유비쿼터스(ubiquitous) 개념이 도입된 도시계획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하면서 도심지역에 대한 고품질의 3차원 지형공간정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정사영상(orthophoto)은 고도의 전문기술자가 아니더라도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치지도에 비해 손쉽게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도 제작할 수 있으며, 지형지물의 상호위치관계가 지형도와 동일함에 따라 정사사진을 통해 직접적으로 거리, 각도 지형지물의 수평 및 수직위치좌표, 면적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영상으로 표현됨으로 시각적 효과가 양호함으로 지형의 세세한 부분까지도 판독이 용이하여 수치지도에 비해 효과적으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제작 및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역의 실감정사 사진 제작을 위한 정밀 DSM 생성 방안을 제시하고, 정사사진의 기하학적 보정과 방사적 보정시 최적 변수값을 실험을 통해 규명함으로써, 도심지역의 최적 실감정사사진 제작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립된 최적 생성 방안으로 생성된 실감정사영상 및 정밀 DSM을 이용해 3차원 도시모델을 제작하여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교통류특성을 고려한 군화물차량군 경로선정 (Shortest Path Problems of Military Vehicles Considering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 방현석;김건영;강경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1-82
    • /
    • 2003
  • 최단경로문제(Shortest Path Problems)는 군사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이며. 가상전쟁에서도 매우 중요한 시뮬레이션 대상이다. 그러나. 기존의 군수송계획모델에는 링크(link)의 비용만을 고려한 하나의 해와경로만을 찾으므로 그 현실성이 떨어졌다. 본 연구는 Shier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차량군의 특성을 갖는 이동부대가 군사적 개념의 링크 용량과 시간개념의 비용을 갖는 네트웍에서 목적지로 가는 다수의 최단 경로를 찾는 것이다. 이 알고리듬의 수송계획 모델에의 사용가능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네트웍을 대상으로 기존의 Dijkstra 알고리듬과 비교 실험을 하였으며, 실제 군 병참 네트웍과 우발상황 네트웍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군수송계획 모델에의 적용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군 병참 네트웍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링크의 비용에 대한 개념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양한 제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각 대안별로 용량의 제약을 받는 구간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취약구간에 대한 대책, 이동수단의 성능향상, 분리행군에 대한 교범상의 반영 등이 필요함이 발견되었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다수 최단경로문제를 군사적 분야에 적용한 기존의 연구들이 대부분 임의의 네트웍을 대상으로 분석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군사적 네트웍에 적용한 결과치와의 차이점을 파악하기가 곤란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링크의 용량만을 제약사항으로 두었는데, 교량이나 터널 등의 제약사항을 고려한 분석이 이루어지면, 전차나 공병장비 같은 중차량의 이동계획 수립시에도 보다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 별 수자원 취약성 지수의 산정 (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Vulnerability Index by Nation)

  • 원광재;정은성;김연주;홍일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2호
    • /
    • pp.183-194
    • /
    • 2014
  • 최근 수자원 취약성에 대한 논의 및 지속 가능한 개발개념에 적합한 지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지수를 바탕으로 현재 또는 미래의 수자원 취약성을 판단하고 진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료의 확보가 가능한World Bank, 취약성-탄력성지수(Vulnerability Resilience Indicator, VRI), 환경지속 가능성지수(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ESI)에서 사용된 수자원 평가 관련 지표들을 활용하여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 152개 국가의 수자원 취약성 순위를 도출했다. 이러한 지표를 바탕으로 수자원 취약성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TOPSIS (Technique for Order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기법을 적용하여 국가 별 수자원 취약성을 지수화하고 취약성 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는 152개국 중 88위로 나타났고, 대륙 별 비교 시 오세아니아가 취약성이 낮았고, 아프리카는 취약성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국가 비교 시, 미국, 일본, 우리나라, 중국 순으로 취약성의 정도가 심각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 별 수자원 취약성 순위를 통해 우리나라의 상황을 파악하고 국가의 수자원 계획 수립 및 대책을 제시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hanges and Suggestions in Korean Dietary Guideline

  • Young Nam Lee;Eul Sang Kim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3권5호
    • /
    • pp.748-758
    • /
    • 1998
  •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RDAs, Nutrient standards), dietary guidelines, and food guides, each define aspects for a healthy diet in different ways. The RDA and food guide for Koreans were first established in 1962 by the Food and Nutrition Committee of the Korea FAO Association. The committee released the RDA and suggested ways to intake the recommended nutrients. Every five years, the committee has added more data and released revisions. The latest edition of the RDA is the 6th revision. In the beginning, the concept of basic food groups was emphasized as basic data for planning means based on RDA. In the 5th revision, the basic food groups and dietary guideline for public health from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irs(December, 1990) suggests that, 1) Eat a variety of foods with a recommended fat intake equaling or less than 20% of total calories ; 2) Maintain ideal body weight and prevent obesity ; 3) Eat foods low in salt. Salt intake should not exceed 10g ; 4) Do not drink too much ; 5) Eat regularly and enjoy meals. After these guidelines were established, the first nutritonal education efforts guidelines were developed in 1984. Despite broad possibilities for application, they had limited use, mainly as a nutritional assessment and food balance sheet preparation. They were not well utilized in public nutritional education and nutritonal policy through the media because of the weakness of the government's food and nutriton policy. Also a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and dietitians in the health department 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was partly to blame. In regard to public health and nutrition status, life expectancy has increased 10 years since the 70's and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d threefold in 1995 compared to 1960. The common causes of death in 1996 by 19 Chapters classification, were first disease of the circulatory system ; the second, neoplasms ; the third, external causes fo mortality ; the forth, diseases of the digestive system ; and the fifth, respiratory system diseases, In food intake, grain and complex starch intake has decreased while fruit and animal foods have considerably increased. Therefore, energy from carbohydrates has decreased while energy from protein and fat has increased. Energy intakes from protein, fat and carbohydrates were respectively 12.5, 7.2 and 80.3% in 1969 but 16.1, 19.1 and 64.8% in 1995. 62.9% of the householes had the fat energy less than 20%, while 37.1% had the fat energy above 20%. The only intakes of vitamin A and calcium were below RDA levles. Therefore, nationwide attention should be focused on public nutriton education and public activities with supplementation of the RDAs, according to the food guide and the dietary guideline.

  • PDF

도심의 휴식공간 및 시설물 디자인 사례연구 (The Case Study for the Designing of the Resting Places in the Urban and the Street Furniture)

  • 호수진;이정현;임은정;최선미;박영순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87-96
    • /
    • 2001
  • 우리 나라의 도시 발전을 살펴보면 60년대 이후 개별적인 건물은 발전을 보였으나, 인간을 위한 휴식공간은 거의 도외시 되어왔다. 또한, 기계화·정보화가 심화되면서 사람들은 인간 소외를 느끼게 되는데, 도심지 네 휴식 공간은 새로운 공동체 형성의 기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빌딩 술인 도심지 내에 인간이 중심이 되는 휴식 공간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새로운 휴식공간 및 가로시설물의 디자인 제안을 위해 문헌 고찰과 인터넷 검색방법으로 도시민들의 휴식공간 사용 행태와 가로 시설물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인간·자연·환경 기술이 고려된 도심지 내의 휴식공간을 디자인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로 제시되는 도심지 내 휴식공간은 사용자가 공간 내 환경과 상호 작용할 수 있고, 사무에 지친 오피스 워커들을 실외로 유도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따라서, 도시민들은 도심지 내에서 뜻밖의 자연환경을 즐길 수 있고, 재충전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이 공간은 진입유도공간, 휴식공간, 단체공간, 정보탐색 공간, 문화생활공간과 같이 다섯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영역은 그 특성에 맞는 디자인 모티브를 가지고 있어, 가로시설물 및 조경계획은 통일성을 갖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특정 대지를 대상으로 하여 계획된 휴식공간은 하나의 프로토 타입으로써 대지 조건에 따라 가변적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 PDF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에 대한 선호 분석에 관한 연구 - 전시공간의 화예디자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reference Analysis on Eating/Drinking Table Decoration - Centering on Floral Art & Design on display space -)

  • 양종열;홍정표;김태호;장영순
    • 감성과학
    • /
    • 제8권3호
    • /
    • pp.291-30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작가의 개념과 계획에 의한 주관적 연출로 대부분 이루어지는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에 대한 작가와 관람자 상호 호응의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유도로서 관람자의 선호요인, 즉 선호 디자인, 디자인이미지, 디자인요소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실증연구로 off-line의 대인 면접에 의한 일대일로 설문 조사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식음 테이블 데커레이션의 관람자 선호도에 대한 조사 분석으로는 조화로운, 따뜻한, 여성적인의 디자인 이미지의 유사색 조화가 선호되었다 디자인 선호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이미지 형용사는 '조화로운과 조화롭지 않은'으로, '조화로운'의 디자인 요소는 유사 색 조화로 '조화롭지 않은'은 혼합 색 조화로 나타났다 따라서 '색채'가 선호 디자인 요소로서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 PDF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스마트도시계획이 도시동태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안양시를 중심으로 (The Effect Analysis of Smart City Planning on Urban Dynamics Using System Dynamics Method - Focused on Anyang-city, Korea)

  • 이미숙;여관현;김창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7-67
    • /
    • 2020
  • 최근 스마트도시는 교통, 환경, 안전, 에너지 등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도시의 개념, 동향, 정책 및 법제도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는데 비해서, 도시의 성장·정체·쇠퇴 과정 등 전 단계를 고려한 동태적 관점에서 스마트도시 서비스가 실제로 도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도시를 인구, 산업, 교통, 환경, 주택, 토지 등의 하위 구성요소들이 상호간에 밀접하게 상호작용 하는 하나의 전체 시스템으로 보는 시각을 바탕으로, 도시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하여 안양시의 도시동태성이 장기적으로 어떠한 행태로 나타나는지 규명하고, 안양시의 스마트도시계획 등 관련 사업예산 투자가 도시동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안양시는 성숙·안정형 도시에 해당되며 2040년까지 인구가 서서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안양시 인구는 2030까지 55만3천명 수준으로 감소하고 2040년까지 54만3천명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양시 스마트도시계획(안)에 따라 스마트도시 사업예산을 투입하면 투자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인구감소 완화, 사업체수 증가, 도시안전지수 개선, 평균 주행속도 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는 2040년 기준으로 예산 투입 이전보다 4000명 정도 증가하고 사업체수는 761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스마트도시 관련 정책의 효과를 파악하고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가정생산 위성계정의 개발 및 적용: 새로운 개념 정립과 표준화된 측정방법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household production satellite and application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concept and standardized measurement for household production)

  • 박현정;홍현정;허경옥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2호
    • /
    • pp.55-74
    • /
    • 2013
  • This research developed standardized satellite accounts for household production to measure the entire production in Korea using representative Korean data. This study utilized standardized methods for measuring the expenditure and consumption of expendable supplies as an element of intermediate goods in household produc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otal value of household production in Korea in 2009 turned was 268 trillion won, which would be 10.16% of the GDP, based on using the method of replacement by specialty for estimating the value of housework, while it was 356 trillion won, which would be 13.5% of the GDP (2,636 trillion won), based on the method of opportunity cost. Second, the economic value of labor invested in household production was 220 trillion won when using the data from 12 main corresponding wages in the market, while it was 203 trillion won when using the method of total replacement, which used the wages of housekeepers, and 290 trillion won when using the method of opportunity cost in measuring the value of housework labor. Third, in estimating the proportion by section in terms of the total value of household production, the portion of labor in household production was measured from 76% to 82%, depending on the methods used, which is the most significant se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ousework has the characteristics of labor-centered work. On the other hand, the value of expenditure on and consumption of expendable supplies, as one element of intermediate goods, is 63 trillion won, which is 17.7% (using the method of opportunity cost in measuring the labor of housework) of household production. Also, the value of capital goods, as the other element of intermediate goods is 2.3 trillion won, which is 0.9% (using the method of opportunity cost) of household production. In conclusion, as an element of household production, housework labor was higher in household production than expenditures on expendables, especially for cooking, cleaning, and caring for children. In the future, people should be cautious about estimating that the amount of household work could be reduced, as women's labor in the market and the household work produced by the market will increase.

  • PDF

디지털 전시 공간에서 발생하는 관람자의 참여 경험이 반영된 디지털 전시의 분석 (Analysis of Digital Exhibitions Reflecting Participation Experience of Visitors in Digital Exhibition Space)

  • 박시은;성정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36-344
    • /
    • 2018
  • 본 논문은 디지털 전시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디지털 전시에 적합한 분류와 분석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지털 전시 분류와 분석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새로운 기준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새롭게 등장하는 디지털 전시의 개념과 형식의 변화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분석 기준을 정립한다. 디지털 전시는 상호작용적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전시 기획과 형식에 의해서 자연 발생하는 관객 참여에 대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기존 디지털 전시 공간에 대한 분류와 분석은 키워드 중심의 개념적 분류를 하고 있다. 이는 전시와 작품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방법론이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디지털 전시에서 전시공간, 작품, 관람객 간의 상호작용적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디지털 전시에서 작품과 관객 간에 이루어지는 수행적인 분류가 필요하다. 그래서 관객이 느낀 것을 토대로 전시 분류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시의 분류와 구성에 대한 해석을 위해서 벤야민의 주장에 따라 관객과의 상호작용성과 밀접한 관객의 감각체험 분류와 현재화를 참조하고, 채트먼의 서사구조에 기반을 둔 미술 전시 내러티브 구조에 따라 디지털 전시에 대한 분석 기준을 제시한다. 이러한 분류 방법론이 전시정보를 관람객에게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하고, 나아가서는 디지털 전시의 확장성과 접근성을 확보하는 선행 연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