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ase Study for the Designing of the Resting Places in the Urban and the Street Furniture

도심의 휴식공간 및 시설물 디자인 사례연구

  • 호수진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석사) ;
  • 이정현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석사) ;
  • 임은정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석사) ;
  • 최선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석사) ;
  • 박영순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1.08.01

Abstract

If we look at Korea's urbanization since 1960, only the urban communities like buildings have developed, yet the resting places for human itself have been ignored. Many people continuously felt alienated especially after the mechanization and started to demand for better living space. For that reason, it is essential for us to develop the resting places for human among the buildings in urban areas and these resting places could form the basis of new community. We have researched on street furniture and citizen's behavior pattern in resting places through references and internet surfing to propose a design concept for a new resting place and street furniture, Therefore, we would like to design a resting place in urban area considering human, community and environment. As a result, we have designed a resting place where citizens could interact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and let office workers enjoy the nature among the buildings in this resting place. People could always stop by and take some rose by enjoying the surrounding nature. The resting place consists of 5 zones- public square, environmental zone, communication zone, technology zone, and entertainment zone. Each zone has its own design motif to lead systematic street furniture and site planning. The resting place is formed in a specific region which is a prototype of a resting environment in urban areas in the future and it could be reassigned according to its regional condition.

우리 나라의 도시 발전을 살펴보면 60년대 이후 개별적인 건물은 발전을 보였으나, 인간을 위한 휴식공간은 거의 도외시 되어왔다. 또한, 기계화·정보화가 심화되면서 사람들은 인간 소외를 느끼게 되는데, 도심지 네 휴식 공간은 새로운 공동체 형성의 기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빌딩 술인 도심지 내에 인간이 중심이 되는 휴식 공간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새로운 휴식공간 및 가로시설물의 디자인 제안을 위해 문헌 고찰과 인터넷 검색방법으로 도시민들의 휴식공간 사용 행태와 가로 시설물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인간·자연·환경 기술이 고려된 도심지 내의 휴식공간을 디자인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로 제시되는 도심지 내 휴식공간은 사용자가 공간 내 환경과 상호 작용할 수 있고, 사무에 지친 오피스 워커들을 실외로 유도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따라서, 도시민들은 도심지 내에서 뜻밖의 자연환경을 즐길 수 있고, 재충전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이 공간은 진입유도공간, 휴식공간, 단체공간, 정보탐색 공간, 문화생활공간과 같이 다섯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영역은 그 특성에 맞는 디자인 모티브를 가지고 있어, 가로시설물 및 조경계획은 통일성을 갖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특정 대지를 대상으로 하여 계획된 휴식공간은 하나의 프로토 타입으로써 대지 조건에 따라 가변적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