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kton Community Structur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2초

낙동강 하구역 식물플랑크톤 생물상 변동과 출현종 고찰 (Literature Survey on the Phytoplankton Flora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정익교;김남림;송은혜;이지은;이상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67-487
    • /
    • 2013
  • Long-term and systematic monitoring of phytoplankton is important, as phytoplankton serve as indicators of water quality status in aquatic environments. In the present study, the plankton community structure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over the past 30 years was investigated by literature survey to provide references for the occurrence of planktonic species. A total of 876 species from 18 taxonomic lineages were reported and, among them, 569 species were identified to occur seasonally at the Mulgeum, Seonam and Eulsukdo sites. Diatoms and chlorophytes were dominant in the microscopic studies. The 54 species at the Mulgeum and the 96 species at the Eulsukdo sites have not been reported since the river barrage construction in 1987. The majority of reports speculate that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aquatic environment, particularly the plankton community structure, due to operation of a river barrage since 1987.

의암호의 식물성 Plankton 군집의 구조와 동태 (Structure and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nities in Uiam Lake, Korea)

  • Yim, Yang-Jai;Kyu Song Cho;Chang Nam Si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5권2_3호
    • /
    • pp.132-135
    • /
    • 1982
  •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of Uiam lake, Korea, was investigated. In the Uiam lake four dominant species were found Oscillatoria limosa at Chuncheon City side, O. tenuis at Soyang river side, Melosira italica at south-east side and Asterionella gracillima at west side of the lake. By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imilarity index and dissimilarity index, the phytoplanktons in this lake were grouped into three communities; i.e. Oscillatoria, Melosira and Asterionella community. And also the same groups obtained by the cluster analysis were recognized by polar ordination technique along polluted degree gradient. It is clear that oscillatoria community occur in polluted site, Asterionella community in unpolluted site and Melosira community in less polluted site.

  • PDF

낙동강 보 구간의 플랑크톤 군집조성과 환경요인에 의한 영향 분석 (Plankton Community in Weir Section of the Nakdong River and Its Relation with Selected Environmental Factors)

  • 서동일;남귀숙;이상협;이의행;김미리내;최종윤;김정희;장광현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362-369
    • /
    • 2013
  • 본 연구는 4대강 사업으로 건설된 낙동강 보 구간의 플랑크톤 군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플랑크톤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요인에 대한 기초적인 평가를 위해 2013년 9월과 10월에 걸쳐 낙동강 8개 보 구간에서 식물 및 동물플랑크톤 종조성과 생체량을 조사하고 수온, 유량, 총인, 총질소,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등의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CCA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조사기간 중 식물플랑크톤 생체량과 종조성은 유량, 총인 및 총질소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플랑크톤의 경우 유량이 낮았던 9월에는 지점별 종조성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유량이 높았던 10월에는 모든 지점에서 윤충류가 우점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동물플랑크톤 군집조성은 식물플랑크톤 생체량(클로로필 농도)과 COD 및 총질소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주도 조간대의 생태학적 기초연구 1. 플랑크톤에 의한 생산량추정 및 패류의 군집구조-패류의 군집구성 (Ecological Study on the Intertidal Zone around Cheju Island 1. Estimation of Plankton Produc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rine Shells - Community Structure of Molluscan Shells)

  • 이정재;좌용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7-29
    • /
    • 1988
  • The study had been carried out three times, from April 1987 for the purpose of analysis on the community structure an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Molluscan shells at the intertidal zone of Cheju Island. 1) The Molluscan shells collected and identified at all studied sites were composed of 3 classes, 10 orders, 23 families and 42 species.2) In all studied sites, individual numbers according to species were Nodilittorina exigua, Monodonta neritoides, Lunella coronata coreensis, Heminerita japonica in order. On the other hand, the dominant species of the rocky sits were N. exigua, M. neritoides and the rocky and silty-sand sites was Batillaris multiformis.3) In the vertical zonation, in the supralitorial zone, N. exigua was dominant species and the wpper-tidal zone, N. exigua, H. japonica and B. Multiformis were dominant species, but B. multiformis was dominant in the rocky and silty sand sites. In the middle tidal zone, M. neritodes, H. japonica, L. coronata coreensis were dominant and in the lower tidal zond, M. neritodes, L. coronata coreensis, Liolophura japonica were dominant.4)In the analysis on community of Molluscan shells, Chagwi, Pyoson an dAewol sites were more diverse than other sites in the species diversity and environmental inhibits were also favorable.5) Community similarities among the studied sites based on the similarities valu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ground: Hagwi, Chongdal and Sehwa sites group and the others sites group.

  • PDF

2008년 하계 울릉분지에서 관측된 물리·화학적 외압에 대한 플랑크톤 군집의 반응 (Plankton Community Response to Physico-Chemical Forcing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during Summer 2008)

  • 노태근;김윤배;박정인;이용우;임동훈;강동진;이동섭;윤승태;김태훈;곽정현;박현제;정만기;장경일;강창근;서해립;박명원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269-289
    • /
    • 2010
  • In Summer 2008, a multidisciplinary survey was conducted onboard R/V Haeyang 2000 to understand plankton response to the three distinct physico-chemical settings that developed in the Ulleung Basin of the East Sea. Baseline settings of hydrographic conditions included the presence of the thin (<20 m) Tsushima Surface Water (TSW) on top of the Tsushima Middle Water (TMW). It extends from the Korea Strait to $37^{\circ}N$ along the $130^{\circ}E$ and then turns offshore and encompasses the relatively saline (T>$26^{\circ}C$, S>33.7) Ulleung Warm Eddy surface water centered at $36.5^{\circ}N$ and $131^{\circ}E$. A relatively colder and saline water mass appeared off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It was accompanied by higher nutrient and chlorophyll-a concentrations, suggesting a coastal upwelling. Most of the offshore surface waters support low phytoplankton biomass (0.3 mg chl-a $m^{-3}$). A much denser phytoplankton biomass (1-2.3 mg $m^{-3}$) accumulated at the subsurface layer between 20-50 m depth. The subsurface chlorophyll-a maximum (SCM) layer was closely related to the nutricline, suggesting an active growth of phytoplankton at depth. The SCM developed at shallow depth (20-30 m) near the coast and deepened offshore (50-60 m). A fucoxanthin/zeaxanthin ratio was high in coastal waters while it was low in offshore waters, which indicated that diatoms dominate coastal waters while cyanobacteria dominate offshore waters. The community structure and biomass of phytoplanktonare closely related to nitrogen availability. Zooplankton biomass was higher in the coastal region than in the offshore region while species richness showed an opposite trend.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retained a coastal/offshore contrast. These suggest that summer hydrography is a stable structure, lasting long enough to allow a hydrography-specific plankton community to evolve.

낙동강 중⋅하류에서 표층 시료와 수직 예망 시료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구조 차이 비교 (Differences in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between Surface Water and Vertical Integrated Water in Middle and Down Stream of Nakdong River)

  • 김민석;박혜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5-222
    • /
    • 2023
  • Zooplankton are primary consumers in the food web connecting primary producers and predators such as small fish,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nergy transfer in aquatic ecosystem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material cycle and energy flow in aquatic ecosystems. Zooplankton in large rivers with a low flow rate would distribute vertically as in lakes. In this study, we collected zooplankton by surface water filtration and vertical haul method with 64 ㎛-mesh plankton net at three stations (ND-1, ND-2, ND-3) in Nakdong River fortnightly from June 2018 to December 2019. Species composition and individual densities were analyzed. All three stations showed differences in relative abundance of zooplankton groups between surface water and vertical integrated water, with the largest difference shown in the deepest station, ND-2. In vertically integrated water at ND-2, the relative abundance of rotifera was low by a maximum of 25% and that of cladocera was high by a maximum of 22% compared to surface water sampl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rface water filtration method is not enough to represent the community structure of zooplankton compared to the vertical haul method in large rivers.

2019년 여름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수괴 분포에 따른 미소플랑크톤의 공간분포 및 생태구조 특성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structur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micro-plankton in relation to water masse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nECS) in summer 2019)

  • 윤양호;박지혜;이현지;서호영
    • 환경생물
    • /
    • 제38권3호
    • /
    • pp.355-370
    • /
    • 2020
  • 여름 동중국해 북부해역 (32°N~33°N, 124°E~127°30'E)에서 수괴에 따른 미소플랑크톤에 속하는 식물플랑크톤 군집 및 섬모충류 현존량의 공간분포 및 저차영양단계의 생태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현장조사를 2019년 8월 3일부터 8월 6일까지 21개 정점의 표층과 Chl-a 최댓층(CML)을 대상으로 채수하였다. 결과 북부해역의 수괴는 크게 중국연안수(CCW) 및 쓰시마난류(TWC)로 구분되었다. CCW는 고온, 저염의 환경특성을, 그리고 TWC는 고온, 고염의 환경특성을 나타내었다. 수괴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특성은 CCW가 중국의 대형하천에서 공급되는 영양염류에 의해 다양한 군집구조를 보인 반면, TWC는 남방의 빈영양 외해역에서 발원하여 북상하고 있어 단조로운 군집특성을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과 섬모충류의 현존량은 CCW에서 매우 높았고, TWC에서 낮은 특성을 보였다. 특히 TWC에서 식물플랑크톤에 비해 높은 섬모충류의 현존량을 보이는 것에서 세균 등을 먹이원으로 하는 미세먹이망에 의한 저차영양단계의 에너지흐름이 자원생물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여름 동중국해의 생태구조는 수괴에 따라 CCW가 bottom-up system 구조라면, TWC는 top-down system 구조를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마산만에서 관찰된 불연속층과 플랑크톤 군집구조와의 관계 (Influence of Discontinuous Layer on 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in Masan Bay, Korea)

  • 한명수;김세화;김영옥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459-471
    • /
    • 1991
  • 1989년 10월, 진해만에서 수괴의 물리화학적 요인과 관련된 플랑크톤의 미세분포와 군집구조를 micro-scale 관측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부도수도 내측에는 비교적 온난, 저염의 성층화된 수괴(stratified waters)가 존재하였으며, 풍부한 클로로필양과 영양염류가 관찰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과 영양염류는 부도수도의 내측과 외측에서 현저한 변화를 보였다 외만성 혹은 해양성의 식물플랑크톤(Chaetoceros decipiens, Rhizosolenia stolterforthii, Rhizosolenia styliformis, and Ceratium trichoceros)과 동물플랑크톤(Sagitta enflata, Oncaea venusta and Oikopluera longicaudata)은 부도수도 외측의 혼합된 수괴(mixed water)에서만 관찰되었다. 이는 부도수도해역의 정점 3과 4사이에서 염분과 영양염류의 구배에 따른 불연속층(discontinuous layer)이 존재하고 있음을 암시하며, 이 불연속층이 플랑크톤 군집분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부도수도 내측에서는 클로로필양이 $80{\mu}g/l$ 이상인 식물플랑크톤 Patchs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식물플랑크톤 bloom시, 높은 동화율에 의한 silicate 고갈은 이 지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bloom 소멸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 PDF

낙동강 하류 물금과 을숙도 수환경의 진핵 플랑크톤 종조성에 대한 분자모니터링 (Molecular Monitoring of Eukaryotic Plankton Diversity at Mulgeum and Eulsukdo in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 이지은;이상래;윤석현;정상옥;이진애;정익교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3호
    • /
    • pp.160-180
    • /
    • 2012
  • 본 연구는 메타게놈 분석법을 기초로 낙동강 하류 담수 환경의 물금과 기수 환경의 을숙도대교 정점에서 채수된 환경 시료내의 진핵 플랑크톤 종다양성 및 군집 구조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환경 시료에서 추출된 DNA에 대한 environmental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을 수행하여 18S rDNA 클론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고, colony PCR,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 염기서열 결정 및 유사도 분석을 통하여 종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물금 및 을숙도대교 정점에서 338개의 클론들을 분석하였고(170 clones, 물금; 168 clones, 을숙도대교), 그 결과 총 74개의 phylotype을 발굴하였다(49개, 물금; 25개, 을숙도대교). 발굴된 phylotype에 대한 계통 분석 결과, Stramenopiles, Cryptophyta, Viridiplantae, Alveolata, Rhizaria, Metazoa 및 Fungi 등의 분류군에 속하는 다양한 생물종이 발굴되었으며, 국내 미기록종 및 신종 후보 가능 생물종과 속(genus)이상의 새로운 분류학적 처리가 필요한 생물종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특히 Stramenopiles의 Pirsonia 및 Alveolata의 Perkinsea에 속하는 phylotypes 등 국내 미기록 생물종을 포함한 숨은 종다양성(cryptic species diversity)의 발굴은 분자모니터링 기법이 낙동강 하구역 수생태계 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새로운 유용한 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서해(西海) 경기만(京幾灣) 식물(植物) 플랑크톤에 대(對)한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IV. 식물(植物)플랑크톤의 군집구조(群集構造)와 계절적 천이 기작 (The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Kyeonggi Bay, Yellow Sea -IV. The Successional Mechanism and the Structure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 최중기;심재형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2
    • /
    • 1988
  • 경기만 식물 플랑크톤의 군집구조와 천이현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군집의 다양성과 우정도, 군집사이의 유사도 및 종성분에 의한 주성분 분석등이 연구되었고 군집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알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이 이루어졌다. 다양성지수와 우정도 분석에 의하면 경기만내 식물 플랑크톤 군집은 큰 물리적 환경변화와 오염수의 유입으로 인하여 불안정한 환경하에 놓여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수역은 군집간의 유사도 분석에 의하면 강수유입에 영향을 받는 지역, 오염수의 영향을 받는 지역, 비교적 오염수의 영향을 덜 받으나 조석주기에 의해 변화가 큰 지역등으로 구분되었다. 전체 식물 플랑크톤 군집은 춘계형, 하계형, 추계형, 추 동계형의 4계절 양상으로 뚜렷하게 변화하며 천이하였다. 춘 하 추를 대표하는 하계군집들은 주로 일반적인 식물 플랑크톤들로 구성되었으며 온도와 광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늦가을 부터 초봄까지 많이 나타나는 동계군집들은 일시 부유성 저서 규조류로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유퇴적물과 영양염의 높은 농도와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