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driven model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6초

농촌 소유역 수환경 개선을 위한 유역관리 협의체 구성방안 - 함평천 사례를 중심으로 - (Framework of Watershed Management Organization Consortium for Water Environment Improvement of Small Rural Watershed)

  • 이기완;김영주;윤광식
    • 농촌계획
    • /
    • 제11권4호
    • /
    • pp.59-65
    • /
    • 2005
  • Proper management of small rural watershed is important since it does affect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larger scale watershed. Therefore, effective small watershed management guideline including participatory program of local people is required to achieve water environment improvement. Feasibility of water quality goal, short and long-term watershed management plan and funding sources were investigated by field monitoring of Hampyungchun watershed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rural stream, and literature review. The relevant parties and their roles fer watershed management were identified and suggested. A hybrid model, that is mixture of government driven model and NGO model, is recommended for watershed management organization in this study.

인천내항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imulation Model for Inchon Port)

  • 김동희;김봉선;이창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9-349
    • /
    • 2000
  • Inchon Port is the second largest import-export port of Korea, and has the point at issue such as the excessive logistics cost because of the limits of handling capacity and the chronic demurrage. There are few research activities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whole port operation, because Inchon Port not only has the dual dock system and various facilities but also handles a various kind of carg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simulation program as a long-term strategic support tool, considering the dual dock system and the TU(Terminal Operation Company) system executed since March, 1997 in Inchon Port. The basic input parameters such as arrival intervals, cargo tons, service rates are analyzed and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for these parameters are estimated. The main mechanism of simulation model is the discrete event-driven simulation and the next-event time advancing. The program is executed based on the knowledge base and database. From the simulation model,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demurrage status through analyzing various scenarios and to establish the long-term port strategic plan.

  • PDF

Triple Helix for Social Innovation: The Saemaul Undong for Eradicating Poverty

  • Rho, Wha-Joon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3권1호
    • /
    • pp.39-55
    • /
    • 2014
  •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develop a Triple Helix model for social innovation to eradicate pervasive poverty in developing countries. To do this, this study explores and analyzes the Rural Saemaul Undong (RSU), a rural community development movement for eradicating poverty that was driven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during the 1970s. First of all,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SU and explains why the RSU was a social innovation. To support and explain why the RSU was a successful social innov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roles and activities of three distinct actor groups: the chief policymaker and his aides who presented the vision and purpose, or the "why" of the Saemaul Undo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 were the planners and managers who showed "how" to plan and drive it; and village Saemaul leaders as the drivers and coaches showing rural villagers "what" to do.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develops an actor-based Triple Helix model for social innovation to eradicate poverty.

국가정보화 정책 인식구조에 대한 고찰 - 박근혜 정부 제 5차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2013-2017) 중심으로 - (On the Epistemology of the National Informatization Policy - A Critical Review of the $5^{th}$ National Informatization Policy Plan (2013-2017) -)

  • 전성현
    • 정보화연구
    • /
    • 제11권4호
    • /
    • pp.393-407
    • /
    • 2014
  • 박근혜 정부의 국가정보화 비전과 구상이 제 5차 국가정보화 기본계획(2013-2017)으로 발표된지 1년 여가 경과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에 대한 비판적 검토나 논의를 찾기 힘들다. 정보화 기본계획이 이처럼 정책적 논의를 촉발시키지 못하는 무기력한 정책선언(policy statement)이 되는 이유는 통상 기본계획이 각 정책주체들이 제안하는 당위론적 정책과 전략 과제들의 무분별한 나열에 그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정보화 기본계획이 가진 정책적 피상성(superficiality)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인식구조' 차원의 정책분석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정책을 하나의 논증(argument)으로 놓고 정책 논증구조와 그 이면에 작동하는 인식론적 전제와 가정들을 포착하였다. 다음 이들을 강력한 반박논리(rebuttal)에 노출시켜 정보화 정책의 인식론적 실체를 밝히고 향후 정보화 정책 논의에 대한 함의와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현재 국가정보화 정책은 테크놀로지 공급, 소비, 성과의 세 인식론적 축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테크놀로지 공급에 있어서는 정부가 공공재로서의 테크놀로지 공급의 역할과 책임이 있다는 테크놀로지-공급자 전제와 테크놀로지는 그 자체로 수요를 창출한다는 테크놀로지-푸시 전제가 작동하고 있다. 테크놀로지 소비에 있어서는 테크놀로지는 사회 변화를 추동하고 주도한다는 테크놀로지-주도(driven) 사회에 대한 전제와 테크놀로지는 그 자체로 이러한 사회 변화를 결정한다는 테크놀로지 결정론적 관점이 작동하고 있다. 테크놀로지 성과에 있어서는 테크놀로지 수준이 국민복리와 국가번영을 결정한다는 테크놀로지 유토피아적 전제에 기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렇게 파악된 제반 인식론적 전제와 가정들을 다양한 반박논리(Rebuttal)에 노출시키고 그 정책적 함의와 시사점을 논하였다. 본 연구는 인식구조 분석이라는 새로운 정보화 정책분석 차원과 분석방법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반면 인식론적 차원의 논의가 가지는 주장의 자의성과 추상성은 본 연구의 한계로 작용한다.

강우-유출모형 매개변수의 최적화 및 불확실성 분석 (Parameter Optimization and Uncertainty Analysis of the Rainfall-Runoff Model)

  • 문영일;권현한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723-726
    • /
    • 2008
  • It is not always easy to estimate the parameters in hydrologic models due to insufficient hydrologic data when hydraulic structures are designed or water resources plan are established, uncertainty analysis, therefore, are inevitably needed to examine reliability for the estimated results. With regard to this point, this study applies a Bayesian Markov Chain Monte Carlo scheme to the NWS-PC rainfall-runoff model that has been widely used, and a case study is performed in Soyang Dam watershed in Korea. The NWS-PC model is calibrated against observed daily runoff, and thirteen parameters in the model are optimized as well as posterior distributions associated with each parameter are derived. The Bayesian Markov Chain Monte Carlo shows a improved result in terms of statistical performance measures and graphical examination. The patterns of runoff can b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and the Bayesian approaches are capable of translating the uncertainties into parameter uncertainties. One could provide against an expected runoff event by utilizing information driven by Bayesian methods. Therefore, the rainfall-runoff analysis coupled with the uncertainty analysis can give us an insight in evaluating flood risk and dam size in a reasonable way.

  • PDF

차세대 무선 브로드밴드 산업 동향과 활성화 방안 (Trends and Activation Plans for Next-generation Wireless Broadband Industry)

  • 심범수;유동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13-21
    • /
    • 2015
  • 무선 브로드밴드 기술의 발전은 산업계 전반에 다양한 변화를 안겨주고 있다. 새로운 무선 브로드밴드 기술의 등장으로 인해 기존 산업의 경쟁력은 강화되었고 새로운 융합형 서비스와 신생산업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무선 브로드밴드 산업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최근 무선 브로드밴드 산업의 동향을 분석하였고, 무선 브로드밴드 산업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무선 네트워크 기술, 콘텐츠, 서비스를 파악하였다. 파악된 요소별로 차세대 무선 브로드밴드 산업의 동향을 조사하였고, 네트워크 기술 발전을 성장 동력으로 하는 무선 브로드밴드 산업의 선순환 성장 모형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무선 네트워크 기술 개발 관점에서 무선 브로드밴드 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세대 무선 브로드밴드 산업에 대한 통찰력 있는 시각을 제공하며 향후 무선 브로드밴드 산업을 발전시키는 제도방안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대심도 지하역사에서의 화재현상 연구 (The Study on Fire Phenomena in The Deeply Underground Subway Station)

  • 장용준;김학범;이창현;정우성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73-1780
    • /
    • 2008
  • 대심도 역사에서의 화재 발생시 승객의 주 대피이동로인 계단이 매우 길기 때문에 피난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하철 호선별 대심도 역사 중에서 하나인 숭실대역(7호선, 47m)을 선정하여,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하여 열기류 및 연기의 거동을 분석하였고, 적절한 피난대책을 고찰하였다. 최근에 지하역사에서의 화재유동 시뮬레이션이 몇 몇 기관에서 수행되고 있으나, 지하의 전역사에서 화재 유동 해석은 드물게 수행되어 왔다. 특히 지하 40m가 넘는 대심도 역사에서의 유동해석은 일반 PC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리눅스 클러스터(Linux cluster) 장비를 이용한 병렬처리기법을 적용하여 대심도 역사에서의 화재해석을 수행하였다. 화재유동해석은 화재전용 FDS code를 이용하였으며, 난류모델은 LES 기법을 적용하였다. 화원의 규모는 10MW이고, 성장모델은 Ultrafast model를 적용하였다. 적정한 격자크기는 화원의 특성직경을 통하여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총 격자규모는 약 10,000,000개이다. 이는 일반 PC에서는 다루기가 불가능한 격자수이므로, 병렬처리기법을 적용하여 6 cpu 리눅스 클러스터 장비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광주지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현황과 인력양성방안에 관한 연구임 (A Study on Human Resource Training Plan and Status of the New Reproduction Energy Industry in Gwangju area)

  • 임기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4호
    • /
    • pp.47-5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지역에서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인력양성방안에 대한 효과적인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경제는 새로운 발전모형을 찾아야 하는 사회 경제발전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부응하여 본 논문은 광주지역이 녹색성장인력양성이라는 목적 달성을 위해 가장 적합한 지역이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첫째, 신재생에너지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추었다는 것이다. 둘째, 새로운 산업을 추동하기위해 우수한 인적자원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장 단기적인 다양한 인력 양성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 PDF

릴리즈 플랜의 적응적 요구사항 우선순위 프로세스 (An Adjustable Process of Requirements Prioritizing for Release Plan)

  • 성재석;강동수;송치양;백두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6호
    • /
    • pp.841-856
    • /
    • 2008
  • 요구사항에 대한 우선순위는 릴리즈 플랜을 위한 핵심적 활동이기 때문에 요구공학에서 특히, 오픈 시장(Open Market)을 고객으로 하는 시장 주도형 제품개발에 있어서 중요하다. 또한, 요구사항 우선순위는 주어진 요구사항 간의 상호의존 관계를 바탕으로 프로세스 모델, 제품 종류 및 우선순위 프로세스에 대한 경험 등을 사전에 고려하여 우선순위화를 위한 방법과 관점 등을 선택하는 활동이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요구사항간의 상호의존 관계를 정적 관계만 고려하였고, 고려된 관점들이 비용/가치 등으로 한정적이고 체계적인 우선순위 프로세스를 제공치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선순위화를 위한 모델을 설계하고 개발 제품의 목표와 조직에 적합하도록 우선순위 방법과 관점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적응적 요구사항 우선순위 기법 및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특히, 요구사항간의 정적/동적 상호의존 관계 유형을 정의하고, 다양한 관점에 의한 우선순위화를 통해 릴리즈 플랜의 완성도를 높였다. 이로써 상호의존 관계 및 다양한 관점을 고려한 우선순위 모델기반의 체계적인 우선순위 프로세스를 정립하여 유연하고 충족스러운 우선순위화와 릴리즈 플랜을 통하여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도모할 수 있다.

Examples of Holistic Good Practices in Promoting and Protecting Mental Health in the Workplace: Current and Future Challenges

  • Sivris, Kelly C.;Leka, Stavroul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6권4호
    • /
    • pp.295-304
    • /
    • 2015
  • Background: Whi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physical risks in the work environment and the promotion of individual employee health, mental health protection and promotion have received much less focus. Psychosocial risk management has not yet been fully incorporated in such efforts. This paper presents good practices in promoting mental health in the workplace in line with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uidance by identifying barriers, opportunities, and the way forward in this area. Method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7 experts who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ir knowledge and expertise in relation to good practice identified tools. Interviewees were asked to evaluate the approaches on the basis of the WHO model for healthy workplaces. Results: The examples of good practice for Workplace Mental Health Promotion (WMHP) are in line with the principles and the five keys of the WHO model. They support the third objective of the WHO comprehensive mental health action plan 2013-2020 for multisectoral implementation of WMHP strategies. Examples of good practice include the engagement of all stakeholders and representatives, science-driven practice, dissemination of good practice, continual improvement, and evaluation. Actions to inform policies/legislation, promote education on psychosocial risks, and provide better evidence were suggested for higher WMHP success. Conclusion: The study identified commonalities in good practice approaches in different countries and stressed the importance of a strong policy and enforcement framework as well as organizational responsibility for WMHP. For progress to be achieved in this area, a holistic and multidisciplinary approach was unanimously suggested as a way to successful imple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