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 evaluation

검색결과 2,540건 처리시간 0.03초

건설정책 추진효과 분석을 위한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Framework to Analyze Construction Policy Performance)

  • 장현승;손태홍;이교선;이두헌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76-83
    • /
    • 2012
  • 본 연구는 제4차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의 성과평가를 통해 건설정책 성과분석 체계와 관련하여 보완되어야 할 점을 도출하고 더불어 제5차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 수립 시 고려할 수 있는 성과평가체계 요인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건설분야 전문가들로 하여금 제4차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의 성과분석 체계에 대한 평가를 성과지표 적절성, 측정방법 적절성, 목표치 설정 수준을 이용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해외 선진국의 정책평가 제도를 분석하고 건설정책 평가의 방법론적 제안사항을 도출하여 제5차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 수립 시 참고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소규모 공공시설 개발 사업지의 생태적 복원 연구 - 고양시 일산정수장 조성예정지를 사례로 - (Ecological Restoration Plan for a Small Scale Public Construction Area - A Case Study on Ilsan Water Treatment Plant, Goyang-Si -)

  • 이수동;강현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8-63
    • /
    • 2008
  • This research is to apply suitable natural ecosystem evaluation criteria in order to develop the ecosystem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ways to build substitute habitats as a compensation plan for damaged soundly natural ecosystems in small-scale projects such as resource recovery facility, filtration, etc. The environmental ecology evaluation i.e. generally based on their actual vegetation, community structure, wildlife, water system survey were measured the primary plans for reflecting unique natural environment level of site.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conserve the land in fallow type of wetland, good conservative condition of deciduous forest, wetlanded watercourse for amphibia and reptiles crossing. However, the plan of filtration plant was destroyed wetland(sound ecosystem), natural forest, asian toad spawning a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it schemed to build alternative wetland and spawning area, plan to healthy ecosystem and surface soil transplantation as compensation plan. The alternative wetland and spawning area are not only created a various water levels like depth of water is $0{\sim}30cm,\;30{\sim}60cm$, more than 1.5m but also it leads to asian toad spawning and wildlife inhabitant. Moreover, the ecosystem and surface soil transplantation be applied to use the Quercus acutissima forest resources(114 upper trees, 71 canopy trees, 401 shrubs) and surface soil$(5,072m^3)$ in ecology creation sets.

도시재생사업의 모니터링 및 평가방안 연구: 선도지역을 사례로 (A Study on the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Priority Projects for Urban Regeneration)

  • 김륜희;이종근;이삼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6권1호
    • /
    • pp.1-9
    • /
    • 2015
  •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 그리고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 DB 구축 및 도시재생사업의 평가 모니터링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과정은 13개 선도지역의 공모제안서 및 13개 선도지역 중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4개 지역(서울, 창원, 부산, 영주)의 도시재생활성화계획(안)을 토대로 기초 DB 및 평가 모니터링 지표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선도지역 도시재생사업의 평가모니터링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안이 도출되었다. 첫째, 도시재생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재생전략 활성화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나아가 재생 활성화 사업과 각종 도시재생사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종합정보체계가 필요하다. 둘째, 도시재생사업 진행에 대한 모니터링이 보다 제도화되어야 한다. 셋째, 전략계획 및 활성화계획의 수립과정에서 도시 또는 군기본계획 관리계획과 연계성 확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상향식(Bottom-up) 도시재생사업에 적합한 모듈화 계획의 도입과 평가가 필요하다.

공동구 기본계획 기준수립을 위한 절차 및 적용사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dures and Application Examples for Establishment of Master Plan Standard for the Utility Tunnel)

  • 오원준;조중연;이민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00-107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기존시가지에서 공동구 건설에 대한 합리적 의사 결정을 위한 기본계획 기준 수립의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타당성 평가에 의하여 최적노선을 선정 하였으나, 기본계획 기준에서는 공동구 설치 여건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타당성 및 경제성 분석에 의한 결과를 종합평가하여 분석 대상 전체 구간에 대하여 종합순위를 산정한다. 또한, 종합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지역에서 진행 예정인 연계 사업 검토 후 중·장기 투자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추가적으로 논문에서 제시한 기준 수립의 검토를 위하여 서울의 서북도심권에 대하여 기본계획 절차를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학교도서관 평가의 방향성 탐구 (Exploring the Direction of School Library Assessment)

  • 이지연;이연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227-26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평가 실태를 분석하여 학교도서관 평가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으려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 교육청 및 문화체육관광부를 중심으로 수행되는 학교도서관 관련 조사, 컨설팅 및 평가를 메타평가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각 기관의 평가 중복, 국가의 학교도서관 발전계획의 반영 미비, 공모형 평가로 인한 참여율 저조, 교육 평가지표 미비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개선방안은 법률에 평가 주체의 역할 명시, 국가의 도서관 발전계획의 반영, 기관 간 평가 네트워크 구축, 사례 공유 시스템 운영, 교육청의 조사 및 컨설팅과 전국 도서관 운영 평가의 연계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국제 표준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On the Application Plan Study of International Standard Tendency in Software Quality Testing)

  • 정혜정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10
    • /
    • 2006
  •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와 관련하여 국제 표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다. 소프트웨어 품질은 사용자와 개발자에 있어서 더욱더 중요해 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소프트웨어 품질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에 대한 국내외 표준 동향을 조사 연구 한다. 둘째,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를 위한 국내외 표준의 새로운 연구 방향에 대해서 제시하고 셋째,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중 신뢰성 분야에 대한 평가 방안을 소프트웨어 신뢰성 성장 모델에 적용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제시한다. 넷째,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국제 표준의 보급 방안에 대해서 연구하고 다섯째,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와 관련해서 ISO/IEC 9126과 ISO/IEC 25000 시리즈의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 국제 표준 내용을 통한 적용방안에 대해서 연구한다.

  • PDF

연구도서관 장서의 양적 질적 평가에 관한 분석적 고찰 (An Analytical Study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Research Library Collection)

  • 유소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8권
    • /
    • pp.233-263
    • /
    • 198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out the most reasonable and feasible evaluation methods of research library collection in Korea. At the very outset, writer tried to define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collection evaluation. Writer described a collection evaluation is to gain the data for decision making on selection policy, weeding and storage project, and explained it is one of the procedures of a collection development system operation of being explained as repeated three procedures through a collection development plan, an implimentation of the set plan(selection process) and a collection evaluation. Writer also pointed out the fact many libraries in Korea are apt to by pass or overlook this important process. Writer then defined the criteria of a collection evaluation as the measurement of the proportion of library holding's capability to meet users' demands and that of the degree of total collection's utilization. Writer introduced and analysed seven existing collection evaluation methods and concluded the method by a survey of users' needs and opinion and the method by a circulation survey are the most feasible and reasonable methods that can be applied. Writer also added that using above two evaluation methods together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ollection evaluation.

  • PDF

인천광역시 원도심 공원녹지 기본계획 현황 및 이용 평가 (The Evaluation of Present Situation and Use for the Master Plan of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in Incheon Metropolitan's Old town)

  • 이석현;김하늘;곽동화
    • 도시과학
    • /
    • 제7권2호
    • /
    • pp.37-4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evaluate the proper planning for 2030 Incheon Urban Parks & Green Space Master Plan. Some of the plans are aimed at multiple small districts within the city's old town, as local governments are planned to be sub-subsidized by Incheon Metropolitan City. However, these plans have become simple plans for each district and therefore find it difficult to collec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ing system of the residents who are directly used. First, the construction of the urban park and green space network requires the construction of a service using system that can be felt by the users. Second, the basic idea of each district planned as the detailed strategy of the master plan should be planned through consultation with nearby the district. Third, specific targets and directions for the urban park and green space plan through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are needed.

환경생태계획의 도시기후 변화 대응 가능성 연구 -남양주 월산리 마스터플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rban climate Mitigation Effects with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with reference to Namyang-Ju Walsanli Master-plan)

  • 문수영;김현수;이광복
    • KIEAE Journal
    • /
    • 제10권6호
    • /
    • pp.11-19
    • /
    • 2010
  • To meet with the nation's policy of Green Growth, local governments are rushing to propose an ecological urban development plan. And although various studies stress on the need of ecological planning to harmonize development with preservation, we have come to a point in which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how much ecological planning contributes to the environmental load is needed. Through the increasing tendency of making plan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capability of gathering environmental data and scientific instrument, studies on ecological planning's effect towards environmental load has recently begun. This study aims to perform a quantitative evaluation on how ecological planning mitigate urban heat island in the region of Namyang-ju Wallsanli. Three theories were used to mitigate urban heat island ; White network, Green network and Blue network. As a result, the atmosphere temperature was reduced the whole site $1.1^{\circ}C$ and partly $7^{\circ}C$ and the mean radiant temperature was reduced the whole site $1.1^{\circ}C$ and partly $8.7^{\circ}C$ on the modified ecological landscape plan in summer. The PMV index is 0~1 in ecologically modified landscape plan otherwise almost 3 in landscape plan. This study has its limits on the fact that results may differ from the actual plan as the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the land use plan and building plan. However, what is important is that it shows a quantitative result of the effect that ecological planning has on surrounding environment and reducing environmental load.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 보고서 평가틀의 개선 및 프로그램 평가 (A Revision of Evaluation Chart and an Evaluation of Sit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 박태윤;노경임;정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1-11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vise an sit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EE) Program evaluation chart and to evaluate site-based EE programs using the chart. For revising the evaluation chart, several elements in the former chart were changed, infused, deleted, integrated, or split. The points of some elements in the former chart were also changed. The revised chart consist of 38 elements in 6 areas: purpose and goal, teaching and learning pla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educational effect and programs evaluation, Program characteristic, and program operation. Using the revised chart, the researchers evaluated 159 site-based EE programs, fund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02.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ark of 'teaching and learning plan' area is higher than other areas, while the mark of 'educational effect and programs evaluation' is the lowest. On the basis of evaluation, the researchers offered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Korean site-based EE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