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giarism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3초

Unknown Power, Impotentiality in Herman Melville's Pierre, or the Ambiguities

  • Chang, Jungyoon
    • 영어영문학
    • /
    • 제56권3호
    • /
    • pp.557-575
    • /
    • 2010
  • Pierre breaks the rules of convention and acquires the 'potential not to do.' To transform the traditional hero into the new potential subject, Pierre moves from his hometown, Saddle Meadows, New York City to the dungeon of the city prison and creates three different relationships that symbolize what ideology and principles repress his mind and behavior and how he handles them. Firstly, in Saddle Meadows, Pierre has a narcissistic relationship with his mother, Mary, who teaches him the principles of American manhood and forces him to be docile: he has to obey Mary's order that a man should be a gentleman. Therefore, since he does not know his potential, he does not create his own work and is involved in plagiarism. Secondly, in New York City, Pierre creates an associated relationship with Isabel, his half-sister, who represents an ambiguous and mysterious character and has the 'potential not to do' that leads Pierre to destroys the beliefs of American manhood and performs the potential to do. Consequently, Pierre puts himself in an extreme situation and is absolutely liberated from the influence of his dead father, who unconsciously controls Pierre's behavior and thoughts. Thus, he makes a dissociated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In the dungeon, he physically dies, but symbolically metamorphoses into Isabel, so that he blurs the differences between Isabel and himself. Furthermore, he never stays in his own way: in this on-going process, Pierre cannot determine which is good or bad, legitimate or illegitimate and life or death.

대중음악 음원제작과정에서의 분쟁발생과 그 개선점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Disputes and its Improvement in the Process of Producing Digital Music Source)

  • 강다혜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7권2호
    • /
    • pp.59-8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solution to dispute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digital music sources. At present, the center of the world music market including the domestic market has been completely transformed from the tangible musical record market to the intangible sound source market. Due to these environmental changes, the music production process becomes industrialized and specialized, causing conflicts of interest among the individuals in the process.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the music market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dispute, identified the problems of the process and suggested solutions while summarizing the meaning and role of each process of producing a sound source that may arise during the sound production process. This study covers plagiarism between producers, copyright infringement of the creator against assistant creator caused by the industrialization and division of the production environment, issues related to the rights of sound engineers whose role and importance become bigger as acoustic technology develops and music genres become more diverse, and vertical hierarchy due to the formation of oligopoly by several distributors with huge capital.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system is suitable for solving these problems. Specific methods of using ADR include activation of the dispute settlement system of the Korea Copyright Commission, active use of the arbitration clause specified in the standard contract, and recalculation of labor costs and earnings from copyright through mutual negotiations. This paper can be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studied overall problems that might arise in the process of digital music source production and suggested ADR utilization as the solution.

부동산정보윤리의 개념 정립 및 부동산정보윤리 확립 방안에 관한 연구 (Institutionalization for the Real Estate Electronic Commerce System)

  • 이국철;강병기;김동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29-142
    • /
    • 2008
  • 본 논문은 부동산정보윤리 의의와 필요성, 부동산정보윤리의 정립 방법 등을 도출하고, 현재 문제가 되는 부동산정보윤리 위반 행위에 대한 윤리적 수준을 제고하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부동산정보윤리의 정의와 필요성, 범위, 기능, 기본원리를 도출하였다. 또한 현행 법률 상 불법적 행위를 제외한 부동산정보윤리의 대상으로 '우발적 오보'와 '지워야할 목록의 보존', '가벼운 표절', '정보의 부적절한 관리'를 도출하였다. 아울러 부동산관련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부동산시세정보와 매물정보의 비윤리적 현상을 유형화하고 그 원인도 함께 분석함으로써, 부동산정보윤리 제고 방안도 함께 도출하였다.

  • PDF

정적 주요 경로 API 시퀀스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유사성 검사 (Detecting Software Similarity Using API Sequences on Static Major Paths)

  • 박성수;한환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1권12호
    • /
    • pp.1007-1012
    • /
    • 2014
  • 소스코드가 없이 실행코드만으로 소프트웨어 간의 유사성을 비교하기위해 소프트웨어 버스마크를 이용한다. 소프트웨어 버스마크란 그 소프트웨어만의 고유한 특징으로 소프트웨어 식별에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정적 주요경로 상의 API 함수 시퀀스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간의 유사성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바이너리코드에서 소프트웨어의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API 함수만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 유사성 검사의 신뢰성을 높이고, 정적 분석 기법에 동적 분석 기법의 특징을 적용하여 강인성을 높이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정적 분석으로 바이너리코드의 주요경로를 추출하고, API 함수 시퀀스 간의 효과적인 유사성 측정을 위해 서열정렬 알고리즘인 Smith-Waterman 알고리즘을 이용한 유사성 척도를 제안한다. 버스마크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같은 프로그램의 여러 버전을 대상으로 실험하였고, 강인성을 평가하기 위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소스코드를 다양한 컴파일환경으로 바꾸어 실험하였다.

웹 이미지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디지털 워터마킹 시스템 (Digital Watermarking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of Web Image)

  • 조정원;정승도;이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682-368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원본 이미지에 저작권자의 저작권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저작권을 보호하고 차후 불법적인 도용을 방지하기 위해, 숫자와 로고로 구성된 워터마크 생성, 삽입 및 검출, 검증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본 시스템은 콘텐츠의 특성과 저작권자의 요구에 따라 워터마크를 숫자 또는 로고로 선택해서 구성할 수 있으며, 저작권 보호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관리자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추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디지털 이미지 워터마킹의 적용을 통한 소유권 및 저작권 보호는 궁극적으로 문화콘텐츠 등의 콘텐츠 제작 의뢰자로 하여금 제작 의지를 강화하여 제작 의뢰 건수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집합 기반 POI 검색을 이용한 문장 유사도 측정 기법 (Sentence Similarity Measurement Method Using a Set-based POI Data Search)

  • 고은별;이종우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711-716
    • /
    • 2014
  • 최근 논문 표절 논란과 지능형 텍스트 검색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문장 유사도 측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n-gram, 편집거리, LSA 등 기존의 다양한 방향으로 선행 연구가 있었지만 각 기법마다 장단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집합 기반 POI 검색 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방향의 문장 유사도 측정 기법을 제안한다. 집합 기반 POI 검색 기법은 하드매칭에 비해 단어의 도치, 누락, 삽입, 변경에 현저한 성능 향상을 보인다. 이 기법을 이용하면 보다 정확하고 빠른 문장 유사도 측정이 가능하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 집합 기반 POI 검색 기법의 데이터 로딩 알고리즘과 텍스트 검색 알고리즘을 변형하고 어절 연산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두 문장의 유사도를 백분율로 표현한다.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기법이 정확도와 속도에서 n-gram과 기존 집합 기반 POI 검색 기법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공공도서관의 개인정보보호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t Public Library: Focused o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임진택;김양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5-108
    • /
    • 2015
  • '개인정보보호법'은 2011년 3월에 제정되었고, 동년 9월부터 발효되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개인정보보호법"이 시행되어 3년이 지난 현재에도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사건, 사고가 발생하고 있고, 여전히 개인정보의 수집과 도용 유출 판매 등 여러 가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공공도서관도 예외가 아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공공도서관의 개인정보보호 정책의 현황을 알아보았다. 또한 "개인정보보호법"이 현장에서 제대로 적용되는데 제도적인 제한점이나 문제점은 없는가를 조사하고 '개인정보' 보호 시 참고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된 해결방안은 다음과 관련된다: (1) "개인정보보호법" 업무 수행에 필요한 충분한 예산의 확보; (2) '개인정보'와 관련된 '전문 교육'의 강화; (3) "개인정보보호법" 업무 수행에 필요한 공공도서관의 공통된 세부 지침의 마련 등이다.

온라인 자료의 인용 및 참고문헌 수록 양식과 국내 대학 및 학술잡지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용 및 참고문헌 수록 양식 조사연구 (A Study on the Documentation Styles of Online Resources and the Documentation Styles Suggested by Graduate Schools and Scholarly Journals in Korea)

  • 박온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1-104
    • /
    • 1999
  • 현재 온라인 정보원을 이용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 되고 있지만 이를 인용하는 방법과 참고문헌에 수록하는 양식이 국내에서는 아직 널리 소개되어 있지 않다. 특히 인터넷을 통해 얻은 자료를 논문에 인용하고 이를 다른 사람들이 찾아볼 수 있도록 참고문헌으로 제시하는 방법을 몰라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연구논문이나 레포트를 쓸 때 참고할 수 있도록 미국 학계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미국심리학괴(APA) 양식과 미국언어학회(MLA) 양식에 제시된 최근의 온라인 정보원의 인용 및 참고문헌 수록 방법을 조사하여 소개하였다. 또 국내 학계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온라인 정보원을 이용하고 이를 참고문헌으로 제시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학요람에 실린 학위논문 작성 요령과 학회지에 실린 논문 투고 요령을 조사하였다. 1998년도까지 발행된 대학요람이나 학회지의 논문 투고 요령을 조사해 본 결과 온라인 자료의 인용 및 참고문헌 수록방법에 대해 언급한 곳은 없으며, 또한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미국심리학회(APA) 양식, 시카고대학 양식(Chicago Manual of Style) 중 어느 하나를 정확하게 일관성있게 지키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대부분의 경우 어떤 표준양식을 따르는 지를 알 수 없을 정도로 여러 양식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과학연구윤리교육에 대한 인식 (The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Regarding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 김성덕;김효남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393-40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chool teachers in science research ethics and perception of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A survey was administered for this study and a total 167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studying in K University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The survey was organized to examine participants' 1) science research ethics awareness, 2) status of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3) needs for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4) the perception of the direction of the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in school. Each item was responded using either 1 to 5 Likert type scale, multiple choices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oth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howed above average interest in science research ethic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erest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p<0.05). In degree of awareness of science research ethics, plagiarism (M=3.98) was the highest, followed by free-riding(M=3.78), the scientist's social responsibility(M=3.71), and forge(M=3.61). In response science research ethics problem occurs in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more than the average(M=3.39). Teacher's response on the teaching of science research ethics ranges from 3.02 to 4.47, but each science research ethics elements was showed a large devi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ponded that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needed(M=4.34).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school curriculum. Eighty-five percent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should be started from elementary school. 'Discussion-type classes with examples' was preferr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teachers needed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ers training' for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기하학적 해싱 기법을 이용한 음악 검색 (Music Retrieval Using the Geometric Hashing Technique)

  • 정효숙;박성빈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09-11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음악 데이터베이스의 멜로디와 사용자가 기술한 멜로디의 기하학적 구조를 비교하는 음악 검색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시스템은 멜로디의 구조적이고 상황적인 특징들을 분석하여 쿼리 멜로디와 데이터베이스의 멜로디가 일치성을 찾고자 한다. 검색 방법은 사전 처리 단계와 인식 단계로 이루어진 기하하적 해싱 알고리즘에 기반을 두고 있다. 사전 처리 단계 동안 구조적 특징을 찾기 위해서 음악의 멜로디를 여러 개의 프래그먼트(fragment)들로 분할하고 그 프래그먼트의 각 음의 높이 및 길이를 분석한다. 상황적 특징을 찾기 위해서 각 프래그먼트의 중심 화음을 찾는다. 인식 단계 동안 사용자가 입력한 쿼리 멜로디를 여러 개의 프래그먼트들로 분할하고 구조적이고 상황적 특성이 유사한 모든 프래그먼트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투표는 각 프래그먼트에 대해 이루어지고 총 득표수가 최대인 음악이 쿼리 멜로디와 일치하는 멜로디를 갖는 음악이 된다. 이러한 접근 방법을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사한 멜로디를 빠르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표절 음악을 감지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