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ce Name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4초

해외에서의 한국지명 표기 실태 분석 (Analysis on Romanization of Korean Geographical Names in Foreign Countries)

  • 김선희;박경;이해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06-722
    • /
    • 2009
  • 본 연구는 해외에서의 한국지명 표기실태를 분석하여 오류시정 및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해외지명사전, 지명데이터베이스, 온라인 지도서비스 사이트 등에 수록된 한국지명을 분석한 결과 상당수 표기상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주요 표기상의 문제점으로는 이명표기, 종속병기, 중복표기, 철자문제, 행정단위오류, 위치오류 등을 들 수 있으며, 오류형태와 방식은 보다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오류시정을 위한 대응방안으로 오류지명에 대한 적극적인 시정노력과 지속적인 모니터링, 민 관의 합의에 의한 한국지명의 영문표기 표준화 구축, 지명정보의 신속한 업데이트와 홍보, 미등재 또는 미표기 지명목록 작성 및 우선적 등재노력, 지명관리 주체의 단일화와 독립성 등이 요구된다.

신경망을 이용한 음소분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oneme Segmentation Using Neural Network)

  • 이광석;이광진;조신영;허강인;김명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72-481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신경망으로 음성신호를 음소분할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제안된 신경망은 1개의 은닉층을 가지는 다층 인식자로 구성하였다. 실험결고 연속보음과 6개 지명음을 자료로 하여 종속화자인 경우 100% 독립화자인 경우 99.4% 그리고 6개 지명음을 동시에 학습하여 각 지명음에 대해 음소분할한 결과는 94.5%의 정합율을 얻었다.

  • PDF

감수성(感受性)이 다른 작물(作物)과 잡초(雜草)에 있어서 Chlorsulfuron 의 대사작용(代謝作用) (Metabolismus von 14C-Chlorsulfuron in Verschieden Empfindlichen Kulturpflanzen und Unkrautern)

  • 강병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5-124
    • /
    • 1984
  • Chlorsulfuron (chemical name : 2-Chloro-N-(4-methoxy-6-methyl-1,3,5-triazin-2-yl)-aminocarbonyl-benzenesulfonamide) is a herbicidally active ingredient which shows effect against susceptible weeds already at such low rates like 5-20g active ingredient per hectare. In the here reported trials metabolism in several sensitive cultivated plants and weeds have been analysed using ^{14}C-labelled active ingredient. The uptake of chlorsulfuron by leaves or the root system is good in all plants species, and translocation takes place either symplasmatically or apoplasmatically. Metabolism takes place in all investigated plant species by development of hydrophile suhstances in roots and shoots. Decomposition of chlorsulfuron in roots and shoots of tolerant species (Triticum aestivum and Hordeum vulgare) to polare substances takes place quantitatively faster and quicker than in susceptible species (Beta vulgaris and Matricaria chamomilla).

  • PDF

도시 '본정통'의 장소 기억 -충무로.명동 일대의 사례- (Place Memories of the Downtown 'Bonjeong-tong': the Case of Chungmu-ro.Myeongdong Area in Seoul, Korea)

  • 전종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433-452
    • /
    • 2013
  • 일제강점기에 기원한 일본식 지명이자 상업 중심지로서의 본정통은 오늘날까지 우리나라 도시들에서 번화가를 일컫는 대명사로 통한다. 이 연구는 서울의 충무로와 명동 일대를 사례로 도시 본정통이 함축하고 있는 다양한 장소 기억들을 탐색한 것이다. 연구자는 장소 기억이라는 개념을 지리학의 입장에서 정초한 다음, 이 개념을 매개로 본정통이라는 한 장소에 쌓인 기억의 다층성과 경합성에 주목하며 본정통의 장소 기억을 세 가지 층위로 재구성할 수 있었다. '식민 권력의 상징' vs. '근대의 표상', '금융 자본주의의 심장' vs. '문화 예술인의 마당', '유행의 공간' vs. '정체성의 장소'가 그것이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도시에서 우리 삶의 흔적이 여기 저기에 수평적으로 산재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 안의 한 장소 그 자체가 일종의 팔림세스트라는 점을 강조하였고, 따라서 도시 공간에 대한 연구에서 수평적 접근보다는 수직적 접근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 PDF

SNS를 이용한 POI 공간관계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활용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POI Database with Spatial Relations Using SNS)

  • 김민규;박수홍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21-38
    • /
    • 2014
  • 지도를 검색하는 사용자는 특정 장소에 대한 정식 명칭보다는 자신이 알고 있는 명칭이나 일반적으로 불리어지는 명칭을 이용해 검색을 수행하기 때문에 원하는 장소를 찾는데 빈번히 실패하게 된다. 또한 지도의 공간검색에 있어서 대표적인 웹 지도 서비스에서는 '근처'와 '주변'이라는 공간어휘를 가지고 공간상 인접 장소를 탐색하는데 2km 이상 떨어진 장소까지 검색되어 원하지 않는 위치의 장소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SNS 중 트위터를 이용하여 POI 데이터를 추출하고, 기구축되어 있는 기존POI로부터 공간관계를 구축해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공간범위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장소 명칭을 획득하여 기존 POI 데이터의 다른 이름의 명칭으로 활용할 수 있었고, 기존에 없는 새로운 POI 데이터는 POI 변화가 많은 지역을 파악하는데 활용하여 POI 데이터 구축을 위한 지역선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공간검색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공간어휘와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공간범위를 이용해 보다 효율적인 공간검색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로표지판 인식을 위한 사영 변환을 이용한 왜곡된 표지판의 기하교정 (Geometrical Reorientation of Distorted Road Sign using Projection Transformation for Road Sign Recognition)

  • 임희철;코식뎁;조강현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088-1095
    • /
    • 2009
  •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reorientation method of distorted road sign by using projection transformation for improving recognition rate of road sign. RSR (Road Sign Recogni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s for implementing driver assistance i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using pattern recognition and vision technology. The RS (Road Sign) includes direction of road or place name, and intersection for obtaining the road information. We acquire input images from mounted camera on vehicle. However, the road signs are often appeared with rotation, skew, and distortion by perspective camera. In order to obtain the correct road sign overcoming these problems, projection transformation is used to transform from 4 points of image coordinate to 4 points of world coordinate. The 4 vertices points are obtained using the trajectory as the distance from the mass center to the boundary of the object. Then, the candidate areas of road sign are transformed from distorted image by using homography transformation matrix. Internal information of reoriented road signs is segmented with arrow and the corresponding indicated place name. Arrow area is the largest labeled one. Also, the number of group of place names equals to that of arrow heads. Characters of the road sign are segmented by using vertical and horizontal histograms, and each character is recognized by using SAD (Sum of Absolute Difference). From the experiments, the proposed method has shown the higher recognition results than the image without reorientation.

안동부 고지도의 유형별 수록지명 연구 (A Study on the Place-Names in Old Maps of Andong-Bu)

  • 배미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11-538
    • /
    • 2004
  • 지명은 특정 지역의 생활양식이나 고유한 지리적인 특성을 반영한 상징적 언어이다. 지도에 수록된 지명을 통하여 과거나 현재의 지역성과 역사적 연속성을 살펴볼 수 있다. 조선시대 안동대도호부를 그린 지도의 지명을 추출하여 과거 안동부의 지역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오늘날의 안동문화권을 이해하고자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안동부 고지도의 자연지명을 통하여 산천을 신앙시하는 선조들의 사고를 엿볼 수 있다. 그리고 합리적인 행정을 위해 지도가 갖추어야 할 조건에 충실하여 방면 등 행정지명에 비중을 두었음을 알 수 있다. 봉수중심의 군사지명과 역원중심의 교통지명은 중앙과의 연계에서 안동부 사람들의 지역의 안위에 대한 인식과 영남내륙의 교통중심으로서 안동부의 위상을 설명해준다. 영남사림의 중심지역인 안동부는 삶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사상으로서 유교를 중심축으로 하여 공간구성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안동부 고지도에 수록된 문화지명 속에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 PDF

전국 수어(手語)지명의 유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 Folktale of Sign Language Place Names)

  • 박문희;정욱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664-675
    • /
    • 2019
  • 이 연구는 전국 수어지명의 유래에 대한 것으로 수어지명에서 나타나는 한국수어 형태론적 특성과 어원론적 형태를 통해 유래를 알아보고자 전국의 한국농아인협회 각 시·군 지회를 통한 간행자료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어지명에서는 한자, 한글, 외래어 등에서의 차용성보다 토박이 수어지명 즉, 농인에 의해 만들어지고, 사용된 수어지명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명은 해당 지역의 문화, 정체성 등과 함께 역사를 나타내는 소중한 문화유산에 해당한다고 볼 때에 수어지명에 나타난 풍부한 도상성, 토박이 수어지명은 농문화 혹은 한국수어에 있어 보존, 전승의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수어지명의 유래가 해당 지역의 특산품, 지리적 특성 등에 의한 수어지명이 현대에 이르러 그 지역의 지리적 특성이 변화되었거나, 특산품 자체가 사라진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여러 세대를 거쳐 이어져 오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수어지명에서 볼 수 있는 농인의 시각중심적인 한국수어의 특성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으며, 농문화사적인 자료보존 차원에서 매우 값진 유산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Method of Improving Personal Name Search in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 Han, Heejun;Lee, Seok-H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2권2호
    • /
    • pp.17-29
    • /
    • 2012
  • All academic information on the web or elsewhere has its creator, that is, a subject who has created the information. The subject can be an individual, a group, or an institution, and can be a nation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relevant information. Most information is composed of a title, an author, and contents. An essay which is under the academic information category has metadata including a title, an author, keyword, abstract, data about publication, place of publication, ISSN, and the like. A patent has metadata including the title, an applicant, an inventor, an attorney, IPC, number of applica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Most web-based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enable users to search the information by processing the meta-information. An important element is to search information by using the author field which corresponds to a personal name.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of efficient indexing and using the adjacent operation result ranking algorithm to which phrase search-based boosting elements are applied, and thus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search results of personal names. It also describes a method for providing the results of searching co-authors and related researchers in searching personal names. This method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providing accurate and additional search results in the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한국산 수선화과 식물에 관한 본초학적 연구 (A Herbological Study on the Plants of Amaryllidaceae in Korea)

  • 정종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1-47
    • /
    • 2016
  • Objectives :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Korean herbology of the plants to Amaryllidaceae in Korea, the literatures of the successive generations have been thoroughly investigated to prepare this article.Methods : Books and research papers about Herbology which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were examined.Results : A list was made about Amarylliaceae plant which were cultivated or grew naturally in Korea, after investigated the data on domestic and foreign Amarylliaceae plants. Out of those lists, serviceable plants were selected and with those available plants, their distributions were analysed and parts which can be used as medicines were divided into 3 categories such as oriental medicine name, scientific name and non-official name. Amarylliaceae's properties flavor, channels they use, effects, and toxicity were also noted. Amarylliaceae (grew in Korea) were divided into 4 classes with 16 species. Out of those, 4 classes with 7 species were found serviceable which indicates 44 % of all. Out of all 16 specified Amarylliaceae plants, Lycoris plants were found 9 species, which were shown the most. And 4 classes of Lycoris plants were also selected the most in serviceable Amarylliaceae. Out of all serviceable parts in Amarylliaceae, bulbus parts took first place as 6 species.Conclusions : There were totaled to 4 genera and 16 species in Amarylliaceae in Korea and among them medicinal plants are 4 genera, 7 species, some 44 % in to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