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ce Making

검색결과 790건 처리시간 0.032초

글로컬라이제이션과 지역발전을 위한 창조적 장소만들기 (Creative Place-making for Regional Development in the Era of Glocalization)

  • 이병민;남기범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421-439
    • /
    • 2016
  • 세계의 경제가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이라는 조건 속에서 변화하면서, 국가의 역할은 축소되고, 도시 및 지역의 공간적 역할이 상대적으로 중요해지고 있으며, 관련하여 장소의 역할에 대해 장소마케팅이나 장소브랜딩 등을 통해 지금까지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결과로서의 마케팅전략보다는 과정과 참여를 중요시하는 광의적 의미의 종합적인 '장소만들기'가 중요하다는 의미에서 본 논문은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발전이라는 부분에 집중하여 창조적 장소만들기의 전략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재조명하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콘텐츠산업을 통한 창조적 장소만들기의 한국과 일본사례의 검증을 통하여, 글로컬라이제이션 시대 장소마케팅과 장소브랜딩, 장소만들기의 융합모델을 제시하고, 가치사슬적 특성을 고려하여 자원의 투입과 과정, 산출 등 각 과정의 특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특히, 문화를 기반으로 장소를 해석하고, 지역공동체에서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목표를 위해 어떻게 선순환구조를 만들것인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PDF

귀농.귀촌지 선정에 있어서 이중환의 <택리지> 재조명 - 현대 귀농.귀촌 지침서들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Interpretation of Jung-Hwan Lee's in the Decision Making of a Returnfarm Place -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Contemporary Guide Books -)

  • 허성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21-128
    • /
    • 2012
  •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returnfarmer is increasing in Korea, interlinked with baby boomer's retirement. One of the returnfarmer's serious problems is the decision making for his returnfarm place. This study intends to get information about a ideal returnfarm place by interpreting Jung-Hwan Lee's written in the Choseon Dynasty, and to use it for returnfarmer's decision making as a lesson in the present age. In the results, this study could finds 8 evaluation criteria in his book except his 4 requirements for a ideal place to live : Ji-ri(地理, geographic), Saeng-ri(生理, physiology), In-sim(人心, popular mind), and San-su(山水, landscape), which are (1) distance from seoul, (2)multi-habitation, (3)convenient transportation, (4)a natural disaster, (5)thief(public order), (6)refuge from a war & escaping from a troubled society, (7)feeling from a place, and (8)Jang-gi(poison coming from earth).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의 장소 만들기와 장소성 (The Process of Place-making and the Placeness of the 'Kim Gwang-seok Road' in Daegu)

  • 박순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8-45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인 장소 만들기의 대표적인 사례인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을 대상으로 장소 만들기 과정과 그 과정에서의 주체들의 역할과 상호관계를 고찰하고 나아가서 장소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과거 방천시장과 신천대로 옹벽 사이의 골목길은 김광석 컨셉에 착안한 약 10여 년간의 도시재생 사업을 통하여 김광석의 추모공간이자 예술문화공간으로 뿌리내리게 되었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의 지나친 관광명소화로 기존의 장소성이 약화된 반면에 문화상업공간의 특성이 강화되면서 장소성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장소성의 변화는 새롭게 형성되기 시작한 커뮤니티의 해체에 따른 지속가능한 발전의 동력 상실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기존 커뮤니티의 역량 및 내재된 사회자본과 장소자산을 새로운 방향으로 확대 재생산할 수 있는 내생적 거버넌스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대구 지역 초등학교의 생태학습장 조성과 활용 (Making and Using an Ecological Learning-Place in Primary Schools in Daegu)

  • 최병두;정철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2호
    • /
    • pp.89-102
    • /
    • 2008
  • Because of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urban dwellers are lack of opportunity to contact with nature, and hence alienated from it. In particular, primary school children who are very sensible to nature need more opportunities to learn nature by direct interactions with it. For this purpose, a movement for making and using ecological learning-place in play-ground within primary school. It has been found as a result of research on ecological learning-places in 7 primary schools in Daegu that such places, equipped with several ecological facilities, provide both pupils and local dwellers around schools with a place for ecological learning and for rest. But some of them have been left without care and hence can not be properly used, because of inappropriate site, insufficient facilities, and deficient programme for practical use. In conclusion, the paper reconfirms importance of ecological learning-place within grounds of primary school in terms of its educational, social and ecological effects, and suggests briefly some measures to encourage its construction and practical use.

  • PDF

미아리고개공원 설계 (Design of Miarigogae-park)

  • 김도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01-107
    • /
    • 1999
  • In 1994, Songbuk-gu Office of Seoul held a design competition for Miarigogae-Park, Miarigogae has a special sense of place. It was a place where bararians had crossed the boundary to this country during the Manchu war of 1636. It was a public cemetery where only Koreans had been burie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t was a place where national patriots had been kidnapped to the North during the Korean War. It's sorrows have been sung in the name of song-'Danjangeui-Miarigogae'(one of the most popular song in Korea). It's sense of place has been kept in every Korean people's mind in the form on 'non-physical image'. Even though, the site itself was a small space - only 1000㎡, the meaning of park-making was very significant. It meant that it would create a physical 'setting' to express the sense of place which has been existed only in our mind as a form of 'non-physical image'. In the winning scheme proposed by the author, the sense of place of Miarigogae was expressed in the form of 'castle walls' which could be easily come into everyone's mind as an image of war. The scope of work also included a crossing bridge and symbolic features. It was meaningful that a landscape architect won the competition including on those items which were not usually handled in pure landscape architectural offices.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rticulate the concept of the winning entry in detail and to describe how the concept actualized in reality.

  • PDF

장소가치 개념에서의 플레이스 브랜딩 평가 방안 (Research on Place Branding Evaluation based on Place Value)

  • 어정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99-209
    • /
    • 2013
  • 플레이스는 단순한 물리적 공간보다는 확장된 의미이다. 따라서 장소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활동들은 이와 같이 다양한 관계 구조를 지닌 장소의 특성을 이해하고 핵심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플레이스 브랜딩도 예외는 아니다. 본 연구는 플레이스 브랜딩을 장소와 가치라는 차원에서 재검토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새로운 평가체계의 구축은 다음과 같은 문제 제기를 통해 얻고자 하는 목적을 충족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장소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플레이스 브랜딩을 새롭게 정의하여 플레이스 브랜딩 시스템의 정확성과 보편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작게는 역동적인 플레이스 브랜딩 활동에 일익하고, 크게는 도시디자인 관련 평가 모델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글로컬시대 동아시아 도시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에 기반한 장소만들기 전략 (Place-Making Strategies based on Cultural Identity of East-Asian Urban Areas in the Age of Glocalization)

  • 송준민;김소라;남기범;이병민
    • 국제지역연구
    • /
    • 제22권3호
    • /
    • pp.293-317
    • /
    • 2018
  •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의 흐름 속에서 국가의 역할은 축소되고, 도시 및 지역의 역할이 중요해 지고 있다. 다른 도시나 지역과의 차별화를 위해 지역정체성에 근거한 지역 경쟁력 확보와 지속가능한 발전 방법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국내 외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대규모 개발 중심적 접근에서 벗어나 인간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장소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서구의 도시개발 정책과 차별화된 동아시아 지역의 장소만들기 개념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예술을 통해 장소만들기를 실현한 서울 목동, 일본 요코하마 코가네초, 중국 상하이 레드타운 사례의 추진단계, 진행단계, 사후단계 비교를 통하여,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이 장소만들기에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 이를 통해 도시지역의 지속가능한 장소만들기 전략을 모색한다.

모빌리티와 장소 현상학, 대중서사 연구의 한 관점 -데이비드 시먼의 『삶은 장소에서 일어난다』를 중심으로 (Mobilities and Phenomenology of Place, A Perspective for the Popular Narrative Studies -David Seamon's Life Takes Place)

  • 김태희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4호
    • /
    • pp.469-506
    • /
    • 2019
  • '장소'에 주목하는 기존의 대중서사 연구들에서는 공간과 장소의 구별을 이론적 토대로 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르면 한마디로 공간은 이동적이고 장소는 정주적이다. 그렇다면 고도 모빌리티 시대, 즉 이동의 공간이 정주의 장소를 빠르고 광범위하게 잠식하는 것처럼 보이는 시대에도 이러한 의미의 장소에 주목하는 대중서사 연구는 여전히 유효할 것인가? 이 글은 데이비드 시먼(David Seamon)의 저서 『삶은 장소에서 일어난다: 현상학, 생활세계들, 그리고 장소 만들기(Life Takes Place: Phenomenology, Lifeworlds, and Place Making)』를 중심으로 고도 모빌리티 시대에 장소에 주목하는 대중서사 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 책은 현상학적 방법론에 기초하여 장소를 탐구하기 위해, 통합적 관계성(synergistic relationality)을 디딤돌로 하여 이른바 전진적 점근(progressive approximation)이라는 이론적 틀을 활용한다. 이에 따르면 장소는 먼저 하나의 전체, 즉 단자(monad)로 연구되어야 한다. 하나의 전체로서의 장소 단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는 장소가 인간의 근본 조건임을 식별한다. 그 다음 연구의 '전진적' 순서에 따라, 장소를 이항대립들의 결합체인 양자(dyad)로서 연구한다. 이에 따르면 운동/정지, 내부성/외부성, 평범함/비범함, 내향성/외향성, 본향/이향이 다섯 가지의 양자로 식별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항대립을 넘어서기 위해 이제 연구는 장소 삼자(triad)라는 상위 차수(order)로 이행하는데, 여기에는 장소상호작용, 장소 정체성, 장소 해방, 장소 실현, 장소 강화, 장소 창조가 포함된다. 이를 통해 장소에 대한 연구는 장소의 본질을 향해 전진적으로 점근하여 가는 것이다. 이 풍부하고 통찰적인 책의 저자는 고도 모빌리티 시대의 장소라는 물음을 스스로 제기하면서, 이에 대해 장소가 여전히 인간의 근본 운명이라는 답변을 제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답변은 여전히 공간/장소 및 이동/정주라는 이항대립에 머물러 있는 듯 보인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이항대립을 넘어설 가능성, 그리고 이동의 실천을 통해 '장소 만들기'를 수행할 가능성을 대안적 답변으로 제시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대중서사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보육교사의 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ducare Center's Teachers on the Efficacy of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 이세나;이영석
    • 아동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5-5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eacher's variables that mad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efficacy for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and general self-efficacy, and to explore variables influencing in teacher's efficacy for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In this study, 212 inservice teachers in edu-care centers completed and analyzed. Efficacy for Child Care and Teaching(ECCT)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Age, status in working place, years of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of working place were found as important variables in teacher's efficacy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general self-efficacy. And status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of working place were found as important variables in explaining teacher's efficacy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 PDF

의복행동과 직업과의 관계연구 - 대전지역의 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Behavior and Occupations of Women in Dae Jeon)

  • 박길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3-44
    • /
    • 198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othing behavior of women in Dae Jeon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behavior and occupations. Measures selected for this study was‘Creekmore Scales of Eight Clothing Variables’, (Creekmore, 1966).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women in Dae Jeon including teachers, women working in a government office, women working in a company, nurses, women working in a bank, women working in a department store and the business center, technicians, women working in a merry making place, and house wives. For statistical analyses of the data from 400 respondents, F-test, and t-test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lothing behavior and occupations. The significant variables were modesty, comfort, approval, and dependence among the eight clothing variables. a) The group of highest interest in modesty and comfort was house wives and the group of lowest interest was women working in a merry making place. b) The group of highest interest in approval was women working in a merry making place and the group of lowest interest was women working in a bank. c) The group of highest interest in dependence was teachers and the group of lowest interest was nurses. 2.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lothing behavior between a working women and house wives: The house wives were more interest in modesty, comfort, management. 3.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clothing behavior between White-collar workers and Blue-collar workers were more interest in attention, approval, inter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