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bilities and Phenomenology of Place, A Perspective for the Popular Narrative Studies -David Seamon's Life Takes Place

모빌리티와 장소 현상학, 대중서사 연구의 한 관점 -데이비드 시먼의 『삶은 장소에서 일어난다』를 중심으로

  • 김태희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 Received : 2019.10.10
  • Accepted : 2019.11.15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More than a few existing studies on popular narratives that pay attention to 'place' tend to adopt as their theoretical framework the celebrated distinction between space and place. According to this distinction, to put it simply, space is allegedly mobile, whereas place is static. Given this distinction, and in this age of high-mobility, where the spaces of mobilities seem to rapidly and extensively undermine the places of immobilities, would studies on popular narratives focusing on 'place' still remain convincing? Referring to David Seamon's recent book Life Takes Place: Phenomenology, Lifeworlds, and Place Making, this article aim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studies on popular narratives in the era of high-mobility. To explore the concept of 'place'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Seamon's book uses a theoretical framework called the 'progressive approximation,' which is attentive to synergistic relationality. According to this approach, the place should first be put under scrutiny as a whole, i.e. as the monad of place. Phenomenological studies on the monad of place as a whole identify places as the fundamental condition for human beings. Then,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ive' order of research, places are studied as dyads, i.e. as binary oppositions. Through these analyses, movement/rest, insideness/outsideness, the ordinary/the extra-ordinary, the within/the without, homeworld/alienworld are identified as the five dyads of place. To make a detour around these binary oppositions and confrontations, however, phenomenological studies on place now advance to the higher order of six place triads including place interaction, place identity, place release, place realization, place intensification, and place creation, whereby the study of place progressively approaches the 'approximate' essence of place. Reflectively asking himself about the idea of 'place' in the high-mobility era, the author of this informative and insightful book submits an answer that place is still the fundamental sine qua non of human beings. However, this answer is more likely to be bounded by the binary opposition of space/place, and movement/rest accordingly. In this article, I suggest as an alternative and hopefully more promising answer a perspective of transcending this kind of a dead-end dichotomy and of performing 'place-making' through the mobilities themselves, while presenting a noticeable example of the manner in which research on popular narratives could begin from this perspective.

'장소'에 주목하는 기존의 대중서사 연구들에서는 공간과 장소의 구별을 이론적 토대로 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르면 한마디로 공간은 이동적이고 장소는 정주적이다. 그렇다면 고도 모빌리티 시대, 즉 이동의 공간이 정주의 장소를 빠르고 광범위하게 잠식하는 것처럼 보이는 시대에도 이러한 의미의 장소에 주목하는 대중서사 연구는 여전히 유효할 것인가? 이 글은 데이비드 시먼(David Seamon)의 저서 『삶은 장소에서 일어난다: 현상학, 생활세계들, 그리고 장소 만들기(Life Takes Place: Phenomenology, Lifeworlds, and Place Making)』를 중심으로 고도 모빌리티 시대에 장소에 주목하는 대중서사 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 책은 현상학적 방법론에 기초하여 장소를 탐구하기 위해, 통합적 관계성(synergistic relationality)을 디딤돌로 하여 이른바 전진적 점근(progressive approximation)이라는 이론적 틀을 활용한다. 이에 따르면 장소는 먼저 하나의 전체, 즉 단자(monad)로 연구되어야 한다. 하나의 전체로서의 장소 단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는 장소가 인간의 근본 조건임을 식별한다. 그 다음 연구의 '전진적' 순서에 따라, 장소를 이항대립들의 결합체인 양자(dyad)로서 연구한다. 이에 따르면 운동/정지, 내부성/외부성, 평범함/비범함, 내향성/외향성, 본향/이향이 다섯 가지의 양자로 식별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항대립을 넘어서기 위해 이제 연구는 장소 삼자(triad)라는 상위 차수(order)로 이행하는데, 여기에는 장소상호작용, 장소 정체성, 장소 해방, 장소 실현, 장소 강화, 장소 창조가 포함된다. 이를 통해 장소에 대한 연구는 장소의 본질을 향해 전진적으로 점근하여 가는 것이다. 이 풍부하고 통찰적인 책의 저자는 고도 모빌리티 시대의 장소라는 물음을 스스로 제기하면서, 이에 대해 장소가 여전히 인간의 근본 운명이라는 답변을 제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답변은 여전히 공간/장소 및 이동/정주라는 이항대립에 머물러 있는 듯 보인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이항대립을 넘어설 가능성, 그리고 이동의 실천을 통해 '장소 만들기'를 수행할 가능성을 대안적 답변으로 제시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대중서사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8S1A6A3A03043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