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xel Value Difference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31초

화소의 기울기와 레이블링을 이용한 효율적인 바코드 검출 알고리즘 (Bar Code Location Algorithm Using Pixel Gradient and Labeling)

  • 김승진;정윤수;김봉석;원종운;원철호;조진호;이건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0D권7호
    • /
    • pp.1171-1176
    • /
    • 2003
  • 바코드의 기하학적 특징과 레이블링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네 개의 라인 연산자(line operator)[8]를 이용하여 화소가 가지는 방향을 구한 후, 블록 별로 각 방향에 대한 화소의 누적 히스토그램(histogram)을 구한다. 히스토그램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가장 큰 블록을 바코드 영역의 블록이라고 결정한다. 구해진 블록만을 이용하여 바코드의 중심을 지나가는 직선을 구할 수도 있지만 좀더 정확한 직선을 구하기 위해 바코드 영역에 있는 많은 블록들을 찾는다. 가장 큰 차 값을 이용하여 문턱값을 구하고 블록별로 히스토그램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문턱값보다 큰 블록을 바코드의 기하학적(a) 특징을 갖는 블록으로 분류함으로써 블록을 대상으로 영상을 이진화한다. 이진화 한 영상에 대해 레이블링(labeling)[8,9]을 행하여 바코드 영역의 후보 블록들을 결정한다. 후보 블록들의 화소를 이용하여 바코드의 기울기와 중심점을 바코드의 중심점을 구하여 바코드와 수직이고 바코드의 중심을 지나가는 직선을 그을 수 있으며 바코드를 검출 할 수 있다. 수직선이 지나갈 때 화소값을 순차적으로 획득함으로써 바코드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파악한다.

Sentinel-2 위성영상과 SRTM DEM을 활용한 연안습지 탐지: 서해안 곰소만을 사례로 (Detection of the Coastal Wetlands Using the Sentinel-2 Satellite Image and the SRTM DEM Acquired in Gomsoman Bay, West Coasts of South Korea)

  • 정윤재;김경섭;박인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2-63
    • /
    • 2021
  • 기존 연구에서는 연안습지를 탐지하기 위해 위성/항공 영상의 다중분광 밴드로부터 산출한 식생지수 또는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였으나, 단일 센서만을 활용할 경우 토지피복정보와 지형정보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 높은 정확도의 연안습지 탐지 및 대규모 연안습지 관리 업무 수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서해안 곰소만 지역을 촬영한 Sentinel-2 위성영상의 다중분광 밴드와 디지털 지형 모델인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사용하여 서해안 곰소만의 대규모 연안습지를 다음의 과정을 통해 탐지하였다. 우선 Sentinel-2 위성영상의 Green 및 근적외선 밴드를 활용하여 정규수분지수 영상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정규수분지수 영상에서 픽셀의 밝기값 0.2를 임계치로 설정하여 물과 육지를 구분하는 이진화 영상을 제작하였으며, SRTM DEM에서 픽셀의 밝기값 0을 임계치로 설정하여 해수면 아래와 해수면 위를 구분하는 이진화 영상을 제작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두 장의 이진화 영상에 중첩 분석을 적용하여 이진화 영상 기반 연안습지 지도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한 이진화 영상 기반 연안습지 지도의 정확도는 94%로서 매우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연안습지가 아닌 내륙습지, 산지습지 등은 탐지되지 않아서 연안습지 관리 업무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dentification of two common types of forest cover, Pinus densiflora(Pd) and Querqus mongolica(Qm), using the 1st harmonics of a Discrete Fourier Transform

  • Cha, Su-Young;Pi, Ung-Hwan;Yi, Jong-Hyuk;Park, Chong-Hwa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29-338
    • /
    • 2011
  • The time-series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product has proven to be a powerful tool to investigate the phenological information because it can monitor the change of the forests with very high time-resolution, This study described the application of the DFT analysis over the 9 year MODIS data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two types of vegetation cover, Pinus densiflora(Pd) and Querqus mongolica(Qm) which are dominant species of evergreen and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respectively, The total number of samples was 5148 reference cycles which consist of 2160 Pd and 2988 Qm. They were extracted from the pixel-based MODIS scenes over the 9 years from 2000 to 2008 of South Korea. The DFT analysis was mainly focused on the 0th and $1^{st}$ harmonic components, each of which represents the mean value and the variation amplitude of the NDVI over the years, respectively. The $0^{th}$ harmonic values of the vegetation Pd and Qm averaged over the 9 years were 0.74 and 0.65, respectively. This implies that Pd has a higher NDVI than Qm. Similarly obtained $1^{st}$ harmonic values of Pd and Qm were 0.19 and 0.27, respectively. This can be intuitively understood considering that the seasonal variation of Qm is much larger than Pd. This distinctive difference of the $1^{st}$ harmonic value has been used to identify evergreen and deciduous forests. Overall agreement between the Fourier analysis-based map and the actal vegetation map has been estimated to be as high as 75%. This study found that the DFT analysis can be a concise and repeatable method to separate and trace the changes of evergreen and deciduous forest using the annual NDVI cycles.

수정된 MSDS를 이용한 영상의 후처리 기법 (A Image Post-processing Method using Modified MSDS)

  • 김은석;채병조;오승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8B호
    • /
    • pp.1480-1489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블록 기반 DCT 부호화 방식의 단점인 블록화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MSDS 방법을 개선한 후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MSDS방법의 문제점인 예측된 DCT 계수값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의 블록 경계 화소차 분포를 규정할 수 있는 OSLD(Overlapped Sub-Laplacian Distribution)를 정의한다. 블록화 현상은 블록간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불연속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정량화 되고, 정량화 된 값을 최소화하도록 양자화 오류값을 예측한다. OSLD를 이용하여 각 블록들을 네 가지 형태로 분류하고 이를 에지 부류와 평탄 부류로 구분한다. 에지 부류로 판별된 블록에서는 예측된 양자화 오류의 범위가 해당되는 양자화 간격보다 크면 이 간격으로 예측된 양자화 오류를 보정한다. 본 방법을 사용하여 실험 영상에서 블록화 현상을 제거할 때 기존의 MSDS 방법에서 요구하였던 입력 영상에 따라 실험적으로 문턱값을 설정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PSNR 값을 영상에 따라 0.1∼0.3 dB 정도 향상시키면서 시각적으로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블록 경계 화소차값의 특성을 이용한 블록화 현상 제거 알고리즘 (A blocking artifacts reduction algorithm using block boundary pixel difference characteristics)

  • 채병조;손채봉;오승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299-130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블록 기반 DCT변환을 이용하는 JPEG/MPEG과 같은 영상압축 방법에서 발생하는 블록화 현상을 줄이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에지 블록에서 발생하는 양자화 오류 예측 값에 대한 오류를 방지하여 순수한 양자화 오류만을 예측한다. 순수한 양자화 오류만을 판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양자화되어 블록화 현상이 존재하는 영상의 블록 경계 화소차값의 특성을 이용한다. 이 특성은 입력 영상과 독립적으로 거의 일정한 형태를 가지며 양자화 계수(QF)에 관련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부가적인 에지 검출과정없이 블록의 에지 영역을 판별할 수 있으며, 블록 영역의 특성에 따라 양자화 오류와 그 보상치를 결정하여 블록화 현상을 제거한다. 손실된 양자화 오류를 구하고 블록 경계 화소차값 특성을 이용하여 각 영역별로 보상치를 결정함으써 에지 성분을 보존하면서 블록화 현상을 줄인다. 대표적인 실험 영상을 사용하여 성능을 비교하였을 때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서 요구하는 제약조건을 두지 않고도 블록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 PDF

패치 기반 영상처리를 위한 텍스쳐 분류 알고리즘 (Texture Classification Algorithm for Patch-based Image Processing)

  • 유승완;송병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1호
    • /
    • pp.146-154
    • /
    • 2014
  • 텍스쳐 분류에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인 지역적 이진화 패턴은 일반적으로 영상 내의 평탄한 부분, 에지, 코너의 분포를 사용한다. 그러나 영상이 가지는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크고 작음만을 비교하는 지역적 이진화 패턴의 특성때문에 화소간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영상의 분포를 사용하기 때문에 작은 크기의 영상에 대해서는 분류 성능이 저하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방향성 분포와 고유치 행렬을 이용한 세부 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지역적 이진화 패턴으로 초기 분류에서 누락된 텍스쳐 영상에 대하여 두 가지 특징을 이용하여 세부적으로 분류한다. 첫째, 영상이 가질 수 있는 방향을 여덟 가지로 양자화하고 그 방향들의 분포를 계산한다. 둘째, 구조 행렬을 이용하여 나온 고유치 중 큰 값의 분포를 구한다. 모의 실험을 통해 지역적 이진화 패턴만을 사용하였을 때 대비 제안 방법이 약 8% 정도 분류 정확도가 향상됨을 보였다.

복합잡음 환경에서 결합가중치를 이용한 영상복원 필터 (Image Restoration Filter using Combined Weight in Mixed Noise Environment)

  • 천봉원;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0-212
    • /
    • 2021
  • 현대사회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다양한 디지털 장비가 보급되고 있으며, 자동화 공정, 지능형 CCTV, 의료산업, 로봇, 드론 등 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상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시스템에서 전처리 과정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영상을 효과적으로 복원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잡음 환경에서 영상을 복원하기 위해 결합가중치에 기반한 필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입력 영상 및 필터링 마스크 내부의 화소값을 대상으로 공간적 거리에 따른 가중치와 화소값 차이에 따른 가중치를 각각 계산한다. 최종 출력은 두 가중치를 바탕으로 계산한 결합가중치를 마스크에 적용하여 필터링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 필터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

  • PDF

PET 영상의 잡음개선을 위한 적응적 공간 필터 개발 (Development of Adaptive Spatial Filter to Improve Noise Characteristics of PET Images)

  • 우상근;최용;임기천;송태용;정진호;이경한;김상은;최연성;박장춘;김병태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3-261
    • /
    • 2002
  •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영상 개선을 위하여 적응적 공간 필터를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필터의 성능을 시뮬레이션데이터. 모형 PET 영상과 환자 PET 영상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경계화소로 검출된 화소와 윈도우내의 모든 화소값이 동일한 화소는 보존하고. 그 외 화소에 대하여 2:7:2 비율로 가중치를 주어 정열한 후 중앙의 9개 화소에 대한 평균값으로 대치하였다. 경계화소를 검출하기 위하여 두 개의 임계값(TH7, TH2)을 이용하였으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면 경계화소로 판단하였다 . THl ($pix_max{\times}0.1/log_2(NPM)$, NPM :주변값중 최상위 값과 최하위 값을 제외한 주변값들의 평균) 보다 작은 ADs (중앙값과 주변값의 차에 대한 절대값) 개수는 8-k이고. TH2 ($NPM{\times}0.1$) 보다 큰 ADs 개수는 k. 여기서 k는 2, 3 ‥‥ 6의 값을 가진다 성능평가 결과 이 연구에서 제안한 필터가 가우시안 필터, 가중메디안 필터, 부분집합평균메디안 필터 등과 비교하여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간단한 적응적 공간 필터는 공간 분해능 저하는 최소화하면서 균일도와 대조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 이여서 정확한 PET 영상 해석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ex-, growth pattern-, and growth status-related variability in maxillary and mandibular buccal cortical thickness and density

  • Schneider, Sydney;Gandhi, Vaibhav;Upadhyay, Madhur;Allareddy, Veerasathpurush;Tadinada, Aditya;Yadav, Sumit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08-119
    • /
    • 2020
  • Objectiv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bone parameters (thickness and density) at four different interdental areas from the distal region of the canine to the mesial region of the second molar in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The secondary aim wa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bone parameters at these specific locations in terms of sex, growth status, and facial type.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tudy reviewed 290 CBCT images of patients seeking orthodontic treatment. Cortical bone thickness in millimeters (mm) and density in pixel intensity value were measured for the regions (1) between the canine and first premolar, (2)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emolars, (3) between the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and (4)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lars. At each location, the bone thickness and density were measured at distances of 2, 6, and 10 mm from the alveolar crest. Results: The sex comparison (male vs. female) in cortical bone thickne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 > 0.001). The bone density in growing subjects was significantly (p < 0.001) lower than that in non-growing subjects for most loca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 > 0.001) in bone parameters in relation to facial pattern in the maxilla and mandible for most sites.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sex-related difference in cortical bone thickness. The buccal cortical bone density was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Bone parameters were similar for subjects with hyperdivergent, hypodivergent, and normodivergent facial patterns.

평균 명암 측정을 이용한 승강기 내에서 여성의 성 추행 추출 (Extraction of Sexual Assault to Women in Elevator Using Average Intensity Measure)

  • 신성윤;이현창;이양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5-61
    • /
    • 2013
  • 성폭력은 강간, 강제 추행, 성희롱, 도촬 등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여 성적 자기 결정권을 침해하는 모든 신체적 정신적 폭력을 말한다. 남성이 가해자이고 여성이 피해자인 경우가 많은 범죄 행위 중 하나이다. 그 중에서 성폭력의 하나인 성추행은 강제추행을 뜻한다. 본 논문에서는 승강기 내에서 여성의 성 추행 사건을 평균 명암 측정을 통하여 추출하도록 한다. 각 픽셀은 RGB의 3개의 컬러 구성요소를 가질 경우의 컬러 프레임을 고려했다. 현재 프레임과 다음 프레임 사이의 절대 차이의 평균은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사이의 절대 차이로 나눠진다. 하지만, 이전 장면 전환 쌍 사이에 차이가 있다면 장면 전환 검출 나타내는 불연속 값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식을 재정의 하여 사용하고 재정의 한 알고리즘이 훨씬 더 우수함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