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31초

피츠버그 수면척도를 이용한 사상체질별 수면 비교 (Comparison of Sleep by Sasang Constitutional Type Using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 박기현;정경식;김상혁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2-108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sleep by Sasang constitutional type using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78 people who had information on Sasang constitutional type and PSQI among the data established at the Korean Medicine Data Center. We compared each item score in PSQI (subjective sleep quality, sleep latency, sleep duration, habitual sleep efficiency, sleep disturbance, use of sleep medication, daytime dysfunction) and PSQI global scores by Sasang constitutional type using analysis of varianc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odds ratio of poor sleep by Sasang constitutional type. Results & Conclusions The SE typ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TE type and SY type in subjective sleep quality, sleep latency, habitual sleep efficiency, sleep disturbance, and PSQI global score, indicating poor sleep compared to other constitutional types. The odds ratio for poor sleep also shows that even after adjusting sex, age, height, and weight, the SE 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constitutional types, indicating that the SE type could be a risk factor for poor sleep.

족냉과 수면의 질 : 수면다원검사와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를 이용한 탐색적 연구 (Cold Feet and Sleep Quality : An Exploratory Study Using Polysomnography and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 배광호;박기현;안일구;임수은;이시우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9-118
    • /
    • 2024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d feet and sleep quality using polysomnography (PSG) and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Methods : We divided 11 adults (6 females, 5 males) with Insomnia Severity Index score below 21 into cold feet (CF) and a non-cold feet (NCF) group based on the median feet temperature (Taichong, LR3). PSG and PSQI were administered to assess sleep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sleep quality. Results : CF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time in bed, sleep period time, and total sleep time compared to NCF group.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sleep latency, wakefulness after sleep onset, or total arousal index, NCF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minimum oxygen saturation and apnea-hypopnea index in REM (rapid eye movement) sleep compared to CF group. Although the PSQI score and the proportion of poor sleepers were both higher in the CF group (7.40 and 80%) compared to the NCF group (5.50 and 50%), these differences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s : This study showed that foot temperature affects sleep characteristics and suggests the need to utilize PSG in sleep research in Korean medicine.

호흡근 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폐기능과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Respiratory Muscle Exercises on Pulmonary Function and Quality of Sleep among Stroke Patients)

  • 조요한;이상빈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23-131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impact of respiratory muscle exercises on the respiratory function and quality of sleep among stroke patients. METHODS: A total of 20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breathing-exercise training group(n=10) and a breathing-device-training group(n=10). Changes in pulmonary function, as well as the qualit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breathing exercise was performed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eight weeks. Breathing-device exercises made use of a lung-capacity-strengthening device and were performed for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One Flow FVC was used as a measurement tool for the pulmonary function test.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and a sleep measurement tool were used for sleep evaluation. RESULTS: In a comparison of changes in pulmonary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the breathing-exercise group and the breathing-device-training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s of sleeping measure and PSQI, the breathing-exercise group and the breathing-device-training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Diverse index analyses confirmed that breathing exercises and exercises using a lung-capacity-strengthening device, were effective in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and quality of sleep among stroke patients experiencing respiratory function disorders and sleep disorders.

한국어판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K)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ing of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 신승화;김수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48-155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어판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K)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수면장애군의 최적 절단점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초기 성인 64명을 대상으로 PSQI-K와 Fitbit charge 3TM을 이용하여 주관적 수면의 질과 수면양상을 측정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coefficient 계수로, 도구의 타당도는 요인분석 및 PSQI-K 점수와 Fitbit tracker 간의 Spearman's rho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PSQI-K 점수의 Cronbach's alpha coefficient는 0.69였고, PSQI-K와 Fitbit tracker의 각 지표값과의 correlation은 0.67 이상으로 유의하였다. 수면장애군 구분을 위한 절단점은 ≥6일 때 민감도 0.93, 특이도 0.84로 가장 적합하였다. PSQI-K는 초기 성인의 수면장애군을 스크리닝함에 있어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양호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노인여성의 수면의 질에 관련된 요인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Sleep in the Elderly Women)

  • 김영희;한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467-4474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여성의 수면의 질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된 연구로 지역사회 거주 60세 이상 노인여성 198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시행되었다. 연구도구로 수면의 질 도구는 Buysse등(1989)이 개발한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요실금은 Jackson 등(1996)에 의해 개발된 배뇨증상 도구가 사용되었고, 개별면접을 통하여 자료 수집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8.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여성의 수면의 질 PSQI 점수는 $7.09{\pm}4.29$점이었으며, 67.7%이 수면 장애를 겪고 있었다. PSQI의 하위영역에서 주관적인 수면의 질, 수면잠재기, 수면방해에서 수면의 질이 낮았고, 반면 습관적인 수면의 효율성, 수면제 등과 같은 약물 복용, 낮 동안의 기능장애는 상대적으로 경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여성의 교육정도,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가족관계, 규칙적인 운동 등에 따라 수면의 질에 차이가 있었고, 연령, 종교, 직업, 커피섭취 등은 수면의 질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대상자의 수면의 질 척도 PSQI와 요실금은 순상관관계가 있었고(r=.51, p=.000), PSQI의 하위영역 중 수면방해 요인과 요실금의 상관성이 가장 높았다(r=.465, p=.001). 마지막으로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는 요실금과 주관적 건강상태이었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1%이었다.

성인의 수면의 질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Sleep Quality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Adults)

  • 이혜련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6-88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sleep quality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adult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986 adults aged 19 to 64 by convenience sampling. Subjects completed a questionnaire composed of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other questions that self-rated health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Statistical methods used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simple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global PSQI score was 5.7. About 45% of the subjects were poor sleepers (global PSQI score >5).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leep quality were depression and poor self-rated health in young and middle-aged adults. Depression was the most significant associated factor. The presence of a spouse was also associated with sleep quality in young adult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ople with poor sleep quality should have their health carefully screened for depression. In addition, we recommend the development of a nursing program for improving sleep quality.

지역사회 정신보건 서비스를 이용하는 불면증을 동반한 만성 조현병 환자의 수면의 특징 (The Sleep Characteristics of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with Insomnia in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s)

  • 황동기;남민;이유진
    • 수면정신생리
    • /
    • 제24권2호
    • /
    • pp.97-105
    • /
    • 2017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불면증과 정신병적 증상이 지속되는 조현병 환자의 수면 장애와 연관된 요인과 수면의 특징을 평가하는 것이다. 방 법 : 지역사회 정신보건 시설에 거주 중이며 불면증과 정신병적 증상이 동반된 조현병 환자들이 참여하였다(n = 63). The Korean version of Insomnia Severity Index (ISIK)와 the Korean Version of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K)와 같은 수면 척도가 평가되었고, ISI-K 점수가 15점 이상인 대상자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정신병적, 불안, 우울 증상은 각각 Brief Psychotic Rating Scale (BPRS), the Korean Version of Anxiety Sensitivity Index (K-ASI) 그리고 the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I(K-BDI)로 평가하였다. 사회인구학적 자료와 ISI-K 그리고 PSQI-K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 analysis를 시행하였다. ISI-K와 PSQI-K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ISI-K와 PSQI-K의 평균 점수는 각각 $18.1{\pm}2.6$점과 $12.0{\pm}2.2$점이었다.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결과에서 발병 연령과 ISI-K사이의 음의 상관관계와 BPRS와 PSQI-K 사이, K-ASI와 모든 수면 척도 사이의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ISI-K와 PSQI-K에 대해 K-ASI와 발병연령, K-ASI와 BPRS를 각각 단계적으로 입력한 모든 다중회귀분석에서 K-ASI만이 유의한 요인으로 남았다. 결 론 :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의 불면 증상이 우울 또는 정신병적 증상과 무관한 반면, 불안 증상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제안한다.

일부 남성 소방직공무원의 수면의 질 및 그의 관련요인 (The Quality of Sleep and Its Relating Factors in Firefighting Officers)

  • 최지현;김광환;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51-458
    • /
    • 2018
  • 본 연구는 소방직공무원들의 수면의 질을 평가하고, 이들의 일반적 특성, 건강습관특성 및 직업적 특성과 수면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는 2016년 10월에 D광역시의 5개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남성 소방직공무원 600명을 대상으로 Pittsburgh대학에서 개발한 수면의 질에 관한 질문 표(PSQI)를 사용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의 13.2%는 "수면의 질이 좋은 군"으로, 86.8%는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군"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및 건강습관 특성별 수면의 질은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흡연군보다 비흡연군에서,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높다는 군보다 낮다는 군에서 "수면의 질이 좋지 않다는 군"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직업적 특성별 수면의 질은 다른 업무보다 화재진압을 한다는 군에서, 비교대근무군보다 교대근무군에서, 업무의 신체적 부담이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업무에 대한 적성도가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현재의 소방직에 대한 직업전환의사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수면의 질이 좋지 않다는 군"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음주상태, 주관적인 수면의 질, 근무경력, 직위, 업무의 신체적 부담정도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4.4%이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소방직공무원들의 수면의 질은 일반적 특성, 건강습관 특성 및 직업적 특성의 여러 요인들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Sleep Quality Evaluation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 Jin, Jung-Yong;Lee, Kyung-Eun;Suh, Bong-Ji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1권4호
    • /
    • pp.188-194
    • /
    • 2016
  • Purpose: Burning mouth syndrome (BMS) is ambiguous and enigmatic oral condition. Sleep disturbance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complaints of patients with chronic pa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general sleep characteristics and propensity in patients with BMS. Methods: A total of thirty BMS patients and thirty healthy control subjects were investigated. Self-reported measures of sleep quality were conducted using two widely used methods;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Data were analyzed with one-way ANOVA, chi-square, Fisher's exact test, Kruskal-Wallis test, Holm method with 95% confidence interval and p<0.05 significant level. Results: BMS patients showed more poor sleepers than those in control subjects in both ESS and PSQI test. BMS patients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orer sleep quality compared with control subjects in both test. When BMS group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n the basis of numeric rating scale, the higher score subjects had, the more mean rank they had in the PSQI. Conclusions: BMS patients showed up poor sleep characteristics and propensity than control group, and they also showed the more severe the pain was, the worse the sleep quality was.

가미귀비환(加味歸脾丸) 투여로 호전된 갱년기 증후군 환자 치험 50례 (50 Case Reports of Climacteric Syndrome Treated with Gamiguibi-hwan)

  • 한지연;장새별;김민지;김서영;임영우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8-146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Gamiguibi-hwan on Climacteric Syndrome. Method: We treated 50 cases menopausal disorder patients with Gamiguibi-hwan for 12 weeks. We estimated the effects by Menopause Rating Scale (MRS),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Beck's Depression Inventory II (BDI-II). Results: After treatment, the mean of MRS, PSQI and BDI-II score were decreased. Conclusions: This case shows that Gamiguibi-hwan is effective in treating menopausal disorder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