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renzepin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8초

Ligand Binding Properties of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s in Caenorhabditis elegans

  • You, Suck-Jong;Choi, Jung-Do;Cho, Nam-Jeong
    • BMB Reports
    • /
    • 제29권6호
    • /
    • pp.525-529
    • /
    • 1996
  • Ligand binding properties of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s (mAChRs) in the nematode Caenorhabditis elegans (C. elegans) were characterized by using filtration binding assays. Scatchard analysis using $[^{3}H]N-methylscopolamine$ ($[^{3}H]NMS$) showed that the dissociation constant ($K_d$) and the maximum binding value ($B_{max}$) were $3.3{\pm}0.8{\times}10^{10}$ M and $9.0{\pm}1.1$ fmol/mg protein, respectively. Binding competition experiments indicated that the affinities of C. elegans mAChRs to atropine, scopolamine, and oxotremorine were similar to those of mammalian mAChRs. Pirenzepine binding experiments revealed that the binding pattern of mAChRs in C. elegans closely resembled that of mAChRs in rat brain, suggesting that the receptors consist primarily of Ml subtype. The affinity of mAChRs for oxotrernorin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guanylylimidodiphosphate (Gpp(NH)p), a non hydrolyzable GTP analog, suggesting that mAChRs in C. elegans might be coupled to G proteins. The data presented here indicate the possibility that C. elegans provides a living animal model to study the action mode of the muscarinic cholinergic system.

  • PDF

틸라피아 배대동맥의 콜린성 반응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cholinergic responses in tilapia dorsal aorta)

  • 최동림;정준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3-63
    • /
    • 1996
  • 경골어류의 혈관평활근에 대한 choline 작동성 조절기작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틸라피아의 배대동맥(dorsal aorta)에 대한 acetylcholine 효과와 이들 효과의 매개에 관여하는 수용체의 subtype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cetylcholine은 틸라피아의 배대동맥에 대하여 농도의존적인 혈관수축반응만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같은 반응은 혈관내피세포와 methylene blue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Acetylcholine에 의한 농도의존적인 혈관수축반응곡선은 비선택적인 muscarine 수용체 길항제인 atropine과 선택적인 $M_2$-수용체 길항제인 gallamine의 경우 그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하게 오른쪽으로 평행이동되었으나, 선택적인 $M_1$-수용체 길항제인 pirenzepine에 의해서는 고농도($1{\times}10^{-5}$M)에서만 약간 이동되었다. 3. Acetylcholine의 수축효과는 cyclooxygenase 억제제인 indomethacin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4. Acetylcholine의 혈관수축반응은 calcium제거 생리적 완충용액에서는 거의 소실되었으나, calcium 유입차단제인 verapamil에 의해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acetylcholine은 틸라피아 배대동맥에 대하여 내피세포와는 무관하게 혈관수축효과를 나타내었다. Acetylcholine에 의한 이 수축은 주로 $M_2$-subtype의 수용체를 매개하며 receptor-linked $Ca^{2+}$ channel을 통하여 유입된 세포질내의 $Ca^{2+}$에 의해 일어난다고 사료된다.

  • PDF

부신에서의 catecholamine분비작용 기전 검색(pentazocine에 의하여)

  • 임동윤;고석태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84-284
    • /
    • 1994
  • Pentazocine은 opioid 수용체에 대한 흥분작용과 길항작용을 겸유한 opioid계 약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흰쥐 적출 관류부신 으로 부터 pentazocine의 catecholamine (CA) 분비작용을 관찰하여 그 기전을 규명하고 또한 다른 opioid의 작용과 비교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Pentazocine (30-300$\mu\textrm{g}$)을 부신정맥내에 주사하였을때 현저한 용량 의존성의 CA 분비 작용을 나타내었다. Pentazocine의 이러한 CA 분비작용은 chlorisondamine ($10^{-6}$M), naloxone (1.22 $\times$ $10^{-7}$M), morphine (1.73 $\times$ $10^{-5}$M). enkephalin (9.68 $\times$$10^{-6}$M), nicardipine ($10^{-6}$M) 및 TMB-8 ($10^{-5}$M)등의 전처치로 뚜렷이 억제되었으나 pirenzepine (2 $\times$ $10^{-6}$M)의 전처치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Ca^{++}$-free Krebs 용액으로 30분간 관류한 후에 pentazocine의 CA 분비작용은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Pentazocine (1.75 $\times$ $10^{-4}$M)을 20분간 관류시킨 후에 ACh (5.32 $\times$ $10^{-3}$M)과 DMPP ($10^{-4}$M)에 의한 CA 분비작용이 의의있게 감약되었다.

  • PDF

횐쥐 적출 관류부신을 이용한 Catecholamine 분비작용의 검색방법

  • 고석태;임동윤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2년도 제1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38-38
    • /
    • 1992
  • 횐쥐 적출 완류부신을 이용하여 neuronal nicotinic(NN) agonist인 DMPP와 M1-muscarinic agonist인 McN-A-343의 카테콜아민(CA) 분비 작용의 차이와 특성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DMPP (100 $\mu$M)와 McN-A-343(100 $\mu$M)은 부신정맥내로 투여시 유의한 카테콜아민 분비작용을 나타내었다. Mol농도로 비교시 McN-A-343의 CA분비작용은 DMPP의 약 1/5정도였다. DMPP의 CA분비작용은 chlorisondamine이나 desipramine 또는 $Ca_2$$^{2}$-free Krebs + EGTA 관류등의 전처치로 의의있게 억제되었으나, pirenzepine, ouabain 및 physostigmine등 전처치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않았다. 그러나 atropine 전처치시 DMPP의 분비작용은 오히려 증강되었다.

  • PDF

Changes of M1 muscarinic receptor mRNA and $[^3H]$ pirenzepine receptor binding in the brain of sensitized mice by methamphetamine administration

  • Kim, Kyung-In;Yoo, Ji-Hoon;Cho, Jae-Han;Im, Ki-Dong;Lee, Seok-Yong;Lee, Sun-Bok;Jang, Choon-Go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84.1-84.1
    • /
    • 2003
  • Methamphetamine is a powerful stimulant that appears to produce locomotor activity and behavioral sensitization. Previous study has indicated that dopaminergic receptors are implicated in the behavioral responses of methamphetamine.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other receptors, especially, M1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M1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behavioral responses, and this receptor is abundantly expressed in brain regions, including the cerebral cortex, striatum, and the hippocampus of the animal. (omitted)

  • PDF

교감신경계, Renin-Angiotensin계, Vasopressin계의 차단이 혈압 및 Norepinephrine, Angiotensin II 및 Vasopressin의 승압효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Blockade of Sympathetic Nervous System, Renin-Angiotensin System, and Vasopressin System on Basal Blood Pressure Levels and on Pressor Response to Norepinephrine, Angiotensin II, and Vasopressin)

  • 정행남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1-74
    • /
    • 1992
  • 마취가토에서 혈압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교감신경계, renin-angiotensin계, vasopressin계를 차단하였을때의 혈압자체의 변동과 norepinephrine (NE), angiotensin II (AII) 및 vasopressin (VP)의 승압효과의 변동을 조사하였다. 교감신경계와 renin-angiotensin계의 차단에는 각각 교감신경절 차단약인 chlorisondamine (CS)과 pirenzepine (PZ), angiotensin 변환효소억제약인 enalapril (ENAL)를 사용하였다. VP계의 차단에는 혈장 VP농도를 하강시킴이 알려져 있는 kappa opioid 수용체의 작용약인 bremazocine (BREM)을 사용하였다. CS (0.4mg/kg), ENAL (2mg/kg), BREM (0.25mg/kg)은 각각 비슷한 정도의 저혈압상태를 일으켰다. BREM에 의한 저혈압은 VP와 같은 효과를 가진 합성약인 desmopressin으로 유의하게 길항되었으며 BREM에 의한 저혈압이 적어도 일부 혈장 VP농도의 하강과 관계있음을 시사하였다. CS는 ENAL 또는 BREM으로 하강된 혈압을, ENAL은 CS 또는 BREM으로 하강된 혈압을, BREM은 CS 또는 ENAL로 하강된 혈압을, 더욱 하강시켰다. CS, PZ 그리고 ENAL 또는 CS, PZ 그리고 BREM에 의한 저혈압은 CS이외의 세약물에 의한 저혈압보다 심하였다. CS는 NE에 의한 승압효과 뿐만아니라 AII와 VP의 승압효과도 강화시켰다. AII의 승압효과는 또 ENAL과 BREM으로도 증대되었다. VP의 승압효과는 BREM으로도 강화되었다. ${\alpha}$-수용체의 길항약인 phentolamine과 phenoxybenzamine은 AII와 VP승압효과를 강화시켰다. 3승압계 차단이 혈압자체에 미치는 실험결과는 3계가 모두 혈압조절에 관여하고 그 중에서도 교감신경계가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가리키고 있다. 한 승압계의 차단하에서, 그 계의 승압 hormone 뿐만아니라 다른 계의 승압 hormone의 승압효과도 증대됨은 이 3승압계가 긴밀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증거이다.

  • PDF

가토 측뇌실내 Nicotine 및 Muscarine의 혈압상승작용에 관하여 (Pressor Action of Intracerebroventricular Nicotine and Muscarine in the Rabbit)

  • 이충경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1-31
    • /
    • 1991
  • 미주신경절단 가토에서 니코틴성약물인 nicotine과 DMPP뿐아니라 무스카린성 약물인 muscarine과 bethanechol은 측뇌실내 투여로 모두 혈압상승작용을 나타냈다. Nicotine과 DMPP에 대한 승압반응은 측뇌실내 mecamylamine처리로 현저히 감약되었으나 측뇌실내 pirenzepine처리에 의해서는 영향받지 않았고, muscarine과 bethanechol에 대한 승압반응은 pirenzepin에 의해서는 억제되나 mecamylamine에 의해서는 영향받지 않았다. 이는 뇌내의 니코틴성 수용체 및 무스카린성 수용체가 모두 혈압상승에 관여함을 가리키고 있다. Nicotine과 muscarine에 대한 승압반응은 regitine, reserpine, enalapril, saralasin, SK&F-100273, regitine과 enalapril, regitine과 saralasin의 정맥내 처리에 의해서는 억제되지 않았으며 nicotine에 대한 승압반응은 regitine과 SK&F-100273 두약물의 병용처리에 의해서 억제되었고 muscarine에 의한 승압반응은 regitine, enalapril과 SK&F-100273의 세가지 약물의 병용처리에 의해서만 억제되었다. Nicotine이나 muscarine에 의한 혈압상승상태에서 정맥내 regitine의 투여는 혈압하강을 일으켰으나 enalapril이나 SK&F-100273은 혈압하강을 일으키지 못하였다. Enalapril은 regitine처리나 regitine과 SK&F-100273병용처리 가토에서 nicotine에 의해 상승된 혈압을 하강시키지 못하였으나 SK&F-100273은 regitine처리 가토에서 nicotine에 의한 상승된 혈압을 하강시켰다. Enalapril은 이러한 SK&F-100273의 할압하강작용을 강화시키지 못하였다. Enalapril은 regitine 처리 가토에서 muscarine에 의하여 상승된 혈압은 하강시키지 못하였으나, regitine과 SK&F-100273병용처리 가토에서 muscarine에 의해 상승된 혈압은 하강시켰다. SK&F-100273은 regitine처리 가토에서 muscarine에 의해 상승된 혈압을 하강시키지 못했으나 regitine과 enalapril병용처리 가토의 상승된 혈압은 하강시켰다. 이상의 성적은 뇌실내 nicotine에 의한 혈압상승에는 말초에서 교감신경계와 vasopressin이 관여하며 muscarine에 의한 혈압상승에는 교감신경계, vasopressin 및 angiotensin계가 관여함을 시사하고 있다. Regitine의 정상 가토 혈압하강작용은 enalapril이나 SK&F-100273의 단독처리에 의해서는 영향받지 않았으나 이 두약물을 병용처리시에는 유의하게 강화되었고, 이는 가토 동맥압의 유지에 교감신경, renin-angiotensin 및 vasopressin계가 관여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항 Histamine제와 Muscarinic Receptor와의 상호작용(II) -대뇌 Muscarinic $M_1$ Receptor에 대한 작용- (Interaction of Antihistaminics with Muscarinic Receptor(II) -Action on the cerebral muscarinic $M_1$ Receptor-)

  • 이신웅;박영주;박인숙;이정수
    • 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24-237
    • /
    • 1990
  • A single uniform population of specific, saturable, high affinity binding site of $[^3H]QNB$ guinuclidinyl benzilate(QNB) was identified in the rat cerebral microsomes. The Kd value(37.2 pM) for $[^3H]QNB$ calculated from the kinetically derived rate constants was in agreement with the Kd value(48.9 pM) determined by analysis of saturation isotherms at various receptor concentrations. Dimenhydrinate(DMH), histamine $H_1-blocker$, increased Kd value for $[^3H]QNB$ QNB without affecting the binding site concentrations and this effect resulted from the ability of DMH to slow $[^3H]QNB-receptor$ association. Pirenzepine inhibition curve of $[^3H]QNB$ binding was shallow(nH = 0.52) indicating the presence of two receptor subtypes with high ($M_1-site$) and low($M_2-site$) affinity for pirenzepine. Analysis of these inhibition curves yielded that 68% of the total receptor populations were of the $M_1-subtype$ and the remaining 32% of the $M_2-subtype$. Ki values for the $M_1-$ and $M_2-subtypes$ were 2.42 nM and 629.3 nM, respectively. Ki values for $H_1-blockers$ that inhibited $[^3H]QNB$ binding varied with a wide range ($0.02-2.5\;{\mu}M$). The Pseudo-Hill coefficients for inhibition of $[^3H]QNB$ binding by most of $H_1-blockers$ examined except for oxomemazine inhibition of $[^3H]QNB$ binding were close to one. The inhibition curve for oxomemazine in competition with $[^3H]QNB$ was shallow(nH = 0.74) indicating the presence of two receptor populations with different affinities for this drug. The proportion of high and low affinity was 33:67. The Ki values for oxomemazine were $0.045{\pm}0.016\;{\mu}M$ for high affinity and $1.145{\pm}0.232\;{\mu}M$ for low affinity sites. These data indicate that muscarinic receptor blocking potency of $H_1-blockers$ varies widely between different drugs and that most of $H_1-blockers$ examined are nonselective antagonist for the muscarinic receptor subtypes, whereas oxomemazine might be capable of distinguishing between subclasses of muscarinic receptor.

  • PDF

흰쥐 관류부신에서 Histamine 수용체 활성화가 Catecholamine 분비작용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istaminergic Receptor Activation on Catecholamine Secretion in The Perfused Rat Adrenal Gland)

  • 임동윤;노상현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3-55
    • /
    • 1993
  • 흰쥐 관류부신에서 histamine의 catecholamine (CA) 분비작용의 특성과 기전을 규명코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Histamine $(37.5{\sim}150\;{\mu}g)$을 부신정맥내에 주사 하였을 때 현저한 용량 의존성의 CA 분비작용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histamine $(150\;{\mu}g)$을 120분 간격으로 반복 투여시 제 3차 투여시부터는 CA 분비효과가 뚜렷이 감소하였다. 즉, histamine의 반복투여로 인한 반응급강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Histamine의 CA 분비작용은 chlorisondamine, diphenhydrarmine, ranitidine, $Ca^{++}-free$ Krebs 용액의 관류, nicardipine 및 TMB-8 등의 전처치로 유의하게 억제 되었으나 pirenzepine의 전처치에 의해서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더우기 histamine $(6.8{\times}10^{-5}M)$으로 30분간 관류시킨 후에 ACh $(50{\mu}g)$의 CA 분비작용이 상당히 억제됨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 보아 histamine은 흰쥐 적출관류 부신에서 현저한 CA 분비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칼슘 의존성이었다. 이러한 CA 분비작용은 $H_1-$$H_2-$ 양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서 일어나며 또한 부신의 nicotine 수용체와도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fluence of Cytisine on Catecholamine Release in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s

  • Lim, Dong-Yoon;Jang, Seok-Jeong;Kim, Kwang-Cheo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6호
    • /
    • pp.932-939
    • /
    • 2002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cytisine on the secretion of catecholamines (CA) in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s, and to clarify its mechanism of action. The release of CA evoked by the continuous infusion of cytisine ($1.5{\times}10^{-5} M$) was time-dependently reduced from 15 min following the initiation of cytisine infusion. Furthermore, upon the repeated injection of cytisine ($5{\times}10^{-5}$), at 30 min intervals into an adrenal vein, the secretion of CA was rapidly decreased following the second injection. Tachyphylaxis to the release of CA was observed by the repeated administration of cytisine. The cytisine-induced secretion of CA was markedly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chlorisondamine, nicardipine, TMB-8, and the perfusion of $Ca^{2+}$-free Krebs solution, while it was not affected by pirenzepine or diphenhydramine. Moreover, the secretion of CA evoked by ACh was time-dependently inhibited by the prior perfusion of cytisine ($5{\times}10^{-6} M$). Taken together, these experimental data suggest that cytisine causes secretion of catecholamines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glands in a calcium-dependent fash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neuronal nicotinic ACh receptors located in adrenomedullary chromaffin cells. It also seems that the cytisine-evoked release of catecholamine is not relevant to the activation of cholinergic M$_1$-muscarinic or histaminergic recep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