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per methysticum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Microbial Metabolism of Yangonin, a Styryl Lactone from Piper methysticum (Kava)

  • Kim, Ji-Hye;Kim, Hyun-Jung;Lee, Ik-So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6권3호
    • /
    • pp.148-152
    • /
    • 2010
  • Microbial metabolism studies of yangonin (1), a major styryl lactone from Piper methysticum, have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three hydroxylated metabolites (2-4).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elucidated to be 4-methoxy-6-(12-hydroxystyryl)-2-pyrone (2),4-methoxy-6-(11,12-dihydroxystyryl)-2-pyrone (3),and 4,12-dimethoxy-6-(7,8-dihydroxy-7,8-dihydrostyryl)-2-pyrone (4) on the basis of the chemical and spectroscopic analyses. The compounds 3 and 4 are reported herein as microbial metabolites of yangonin for the first time.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 카바뿌리로부터 분리한 Flavokavain C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lavokavain C from Kava (Piper methysticum) Root in the LPS-induced Macrophages)

  • 박청;한종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11-320
    • /
    • 2016
  • 카바(Piper methysticum, P. methysticum)는 비뇨생식기 질환, 류머티즘, 위장 장애, 호흡기 자극 및 폐 통증에 대해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카바에서 분리된 flavokavain C (FKC)가 염증성 유전자의 발현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핵요소-${\kappa}B$ (NF-${\kappa}B$) 의존성 산화 질소(NO) 생산 및 산화 질소 합성 효소(iNOS)의 발현에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처리된 대식세포에서 항 염증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FKC는 과산화수소와 같은 반응성 산소 종(ROS)의 축적을 억제하고, LPS로 유도된 NO 생성 및 각종 염증 관련 유전자(iNOS, IL-$1{\beta}$, IL-6)의 발현을 NF-${\kappa}B$ 및 MAPKs (ERK 및 JNK)의 억제를 통해 농도 의존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FKC가 NF-${\kappa}B$ 경로와 MAPKs 포함한 염증 프로세스를 억제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항 염증 및 항산화 효능 기반 기능성 화장품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Piper methysticum 의 뿌리로부터 추출한 Flavokawain B와 C가 Melan-a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 (Flavokawain B and C, Isolated from the Root of Piper methysticum, Inhibit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 류종혁;이정아;고재영;황재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1-24
    • /
    • 2022
  • Piper methysticum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은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 활성화 B16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flavokawain B (FKB)와 flavokawain C (FKC)는 항멜라닌 생성 활성을 기반으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본 연구는 melan-a 세포에서의 멜라닌 합성에 대한 FKB 및 FKC의 억제 및 그 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FKB와 FKC는 각각 10 μM, 5 μM 농도에서 melan-a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FKB와 FKC 모두 세포 외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은 억제하지 않았다. FKB는 타이로시네이즈 (tyrosinase, Tyr), 타이로시네이즈 연관 단백질 1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과 2(tyrosinase-related protein 2, TRP-2),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단백질 발현량을 감소시켰으며 Tyr와 TRP-1의 mRNA 발현량을 감소시켰다. FKC는 TRP-2와 MITF의 단백질 발현량을 감소시켰으며 Tyr와 TRP-1의 mRNA 발현량을 감소시켰다. Tyr와 TRP-1의 감소된 발현은 주요 멜라닌 생성 단백질을 조절하는 MITF발현 감소로 인한 것임을 예상할 수 있었다. 다만 MITF의 mRNA 발현량은 FKB와 FKC 처리에 의해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MITF의 분해를 조절한다고 알려진 세포 외 신호 조절 키나아제(ERK)/AKT 인산화에 대한 FKB와 FKC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FKB와 FKC는 AKT의 인산화를 증가시키지는 않았지만 ERK1/2의 인산화를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FKB와 FKC가 다양한 색소 침착 증상들에 대한 잠재적인 미백제로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