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sp.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초

부여군 부소산의 산림군락 구조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in Mt. Busosan, Buyeo-Gun)

  • 정용문;김동석;김광동;이상화;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5-63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community character and classify forest community with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quadrat method to forest of Mt. Busosan in Buyeo-Gun.1. Communities by phytosociological method were classified into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Quercus sp. community. With the classification of TWINSPAN, the community was categorized into Pinus densiflora -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 Styrax japonica community.2. The importance value of Pinus densiflora, Quercus acutissima, Prunus sargentii, Styrax japonica, Quercus serrata, Quercus variabilis, Pinus rigida, Quercus aliena in tree layer were 83.20, 41.87, 30.93, 24.85, 23.27, 20.97, 20.28, and 9.46, respectively. The relative coverage of Stephanandra incisa, Quercus serrata, Styrax japonica, Parthenocissua tricuspidata, Rhododendron mucronulatum, Lindera obtusiloba, Prunus sargentii, Quercus variabilis, Indigofera kirilowii, Quercus acutissima, Lespedeza maximowiczii, and Acer pseudosibolianum in shrub layer were 9.62%, 9.55%, 9.18%, 7.85%, 6.18%, 5.25%, 4.82%, 4.15%, 3.98%, 3.98%, 3.55%, and 2.98%, respectively.3. According to size distribution map of diameter breast height of dominant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of Mt. Busosan was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 such as Quercus acutissima,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serrata may compete with the Pinus densiflora in the future.4. According to the ordination analysis of Mt. Busosan forest, Pinus densiflora - Styrax japonica community was found in moist site and Pinus densiflora -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was found in dry site.

Survey of Nematodes in Coniferous Bonsai in Korea

  • Eun, Geun;Ko, Youngjin;Kang, Heonil;Ha, Jihye;Chun, Jaeyong;Kim, Donggeun;Choi, Insoo
    • 식물병연구
    • /
    • 제22권4호
    • /
    • pp.243-248
    • /
    • 2016
  • As preventive measures for bonsai exports, nematodes were isolated from 55 bonsai samples of five coniferous species (Chamaecyparis pisifera, Juniperus chinensis,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and Taxus cuspidate) from all 15 bonsai gardens in Korea. Nematodes belonging to 21 genera in 7 orders were isolated from the 55 bonsai samples. Among plant-parasitic nematodes, Tylenchus spp. was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14.9%), followed by Ditylenchus spp. (10.5%), Aphelenchoides spp. (9.5%), Aphelenchus sp. (5.5%), Criconemoides sp. (4.0%), Helicotylenchus sp. (0.7%), Hemicycliophora sp. (0.7%), Mesocriconema sp. (0.7%), Tylenchorhynchus sp. (0.7%), and Paratylenchus sp. (0.4%). Among nonparasitic nematodes, Cephalobina was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nematodes (26.5%), followed by Rhabditida (19.3%), Dorylaimida (17.8%), Pangrolaimida (14.5%), Plectida (6.5%), Tryphylida (6.2%), Mononchida (3.3%), Alaimida (2.9%), Monhysterida (2.5%), and Triplonchida (0.4%).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re is no problematic plant-parasitic nematode in bonsai gardens of Korea.

적송 (Pinus densiflora) 림내 송이(Tricholoma matsutake) 발생지와 미발생지의 토양 균류의 수직 분포 (Microfungal flora of Tricholoma matsutake producing and nonproducing sites in the forest of Pinus densiflora)

  • 송현순;민경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9-119
    • /
    • 1991
  • 송이 (Tricholoma matsutake) 생산의 대표적인 지역으로 알려진 강원도 양양 지역과 명주 지역을 선택하여 송이 발생지와 미발생지의 미세균류를 분리 동정하였으며 수직분포를 조사하였다. 진균의 선별방법으로 희석법, $42^{\circ}C$에서 48시간 배양 후 $37^{\circ}C$로 배양하는 방법, $70^{\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 방법, 그리고 ethanol처리 방법으로 토양의 수직적 분포를 파악하였다. $42^{\circ}C$배양법에서는 두 장소에서 분리된 토양균은 7속 18종이 분리되었으며, 송이 발생지에서는 Aspergillus fumigatus, A. ochraceus, A. terreus, Acremonium sp., Penicillium frequentans, Talarom-yces stipitatus가 분리되었으며, 송이 미발생지에서는 Aspergillus fumigatus, Penicillium lilacinum, P. oxalicum, Westerdykella multispora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70^{\circ}C$열처리 방법으로 분리한 경우 7속20종이 분리되었으며, 송이발생지에서는 Aspergillus fumigatus, Mucor sp. 가 우점적으로 나타났으며, 송이 미발생지에서는 A. iumigatus, Atternaria alter-nate, Mucor sp., Neurospora sitophita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Ethanol처리 방법으로 분리한 경우는 1속 1종이 분리되었으며, 송이 발생지와 미발생지에 관계없이 우점종은 Mortierella sp.로 분류되었다. 이들 분리된 토양균은 전체균의 수와 우점종균수 그리고 나타나는 종의 빈도수는 그 수직적 분포에 있어서 상층에서 하층으로 내려갈수록 감소하였다.

  • PDF

온도변화에 기인한 토양미생물 우점종의 변화에 관한 연구 (Dominant-species Variation of Soil Microbes by Temperate Change)

  • 박갑주;이병철;이재석;박찬선;조명환
    • 환경생물
    • /
    • 제29권1호
    • /
    • pp.52-60
    • /
    • 2011
  • 식물과 그 식물의 근권미생물과의 협력관계는 이미 오래전부터 관심을 받아왔고 지구 기후변화에 따라 식물과 그 근권미생물의 생태 및 지구환경에 대한 적응성은 막대한 지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따라서 지구온난화에 따라 식물뿌리에 서식하는 근권미생물인 토양미 생물의 우점종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규명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한국 식물생태계의 대표종인 소나무 (A), 잣나무 (B), 상수리나무 (C), 오리나무 (D) 를 선발하여 각각 실온인 $27^{\circ}C$$29^{\circ}C$(실온$+2^{\circ}C$), $31^{\circ}C$(실온$+4^{\circ}C$), $33^{\circ}C$(실온$+6^{\circ}C$)에서 1년 이상 성장시킨 후 이들의 뿌리토양을 무균적으로 채취하여 미생물 screening법과 colony counting을 통하여 각각의 군에서 우점종을 선별한 뒤 16S rRNA 분석에 의해 이들 각각의 우점종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소나무 $27^{\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와 Enterobacter sp. CCBAU 15492, 소나무 $29^{\circ}C$에서는 Bacillus sp. 210_64와 Enterobacter sp. CCBAU 15492, 소나무 $31^{\circ}C$에서는 Bacillus sp. 210_64와 Enterobacter ludwigii, 소나무 $33^{\circ}C$에서는 Bacillus sp. 210_64와 Enterobacter sp. CCBAU 15492, Bacillus marisflavistrain DS6이 검출되었고, 잣나무 $27^{\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 Q1, Pseudomonas sp. PR1-3, Arthrobacter woluwensisstrain CBU05/5295, 잣나무 $29^{\circ}C$에서는 Bacillus sp. G3, Pseudomonas sp. PR1-3, Bacillus sp. 210_24, 잣나무 $31^{\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 Q1, Pseudomonas sp. PR1-3, 잣나무 $33^{\circ}C$에서는 Bacillus coagulans strain, Pseudomo-Dominant-species Change of Soil Microbes 59 nas sp. PR1-3, Chryseobacterium sp. COLI2, 상수리나무 $27^{\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 strain B1, Pseudomonas putida strain W30, Arthrobacter woluwensis strain CBU05/5295, 상수리나무 $29^{\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 strain CICC10185, Pseudomonas putida strain W30, 상수리나무 $31^{\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 strain CG-T2, Pseudomonas sp. W15Feb9B, 상수리나무 $33^{\circ}C$에서는 Bacillus sp. CCBAU 51490, Arthrobacter woluwensis strain CBU05/5295, 오리나무 $27^{\circ}C$에서는 Bacillus sp. B18, Pseudomonas sp. PD 16, Enterobacter sp. CCBAU 15492, 오리나무 $29^{\circ}C$에서는 Rhodococcus erythropolis PR4, 오리나무 $31^{\circ}C$에서는 Enterobacter cloacae, Pseudomonas sp. PD 16, 오리나무 $33^{\circ}C$에서는 Bacillus subtilis strain SYH15, Pseudomonas sp. PD16을 우점종으로 동정하였다. 이 중 소나무는 $33^{\circ}C$에서 Bacillus marisflavi strain DS6가 $27{\sim}31^{\circ}C$에서는 발견되지 않다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출현한 새로운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잣나무에서는 $27^{\circ}C$에서 Bacillus cereus Q1, $29^{\circ}C$에서는 Bacillus sp. G3, $31^{\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 Q1 등의 Bacillus속이 주요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나 온도가 가장 많이 상승한 $33^{\circ}C$에서는 Chryseobacterium sp. COLI2으로 우점종이 변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은 차후 더 다양한 온도에서의 토양미생물 우점종 변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들 연구결과들이 연계되어 지구온난화와 미생물의 관계, 그리고 새롭게 출현한 토양미생물과 식물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도움이 되는 데이터가 도출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소나무재선충에서 분리한 세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teria Isolated from Pine Wood Nematodes in Korea)

  • 서상태;문일성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76-380
    • /
    • 2012
  • 국내 20개 지역의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된 소나무와 잣나무에서 분리된 소나무재선충으로부터 총 110개의 세균을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Cedecea neteri(64균주)가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으며, 다음으로 Ewingella americana(21균주), Pseudomonas sp.(15균주), Flavobacterium sp.(8균주), Rahnella aquatilis (2균주) 순으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세균의 phytotoxin 생성능을 조사한 결과 Pseudomonas sp.(Ba2) 세균은 해송 유묘에 갈변과 고사를 유발하였다. 21개의 항생물질을 이용하여 분리된 3개의 세균, Pseudomonas sp.(Ba2), E. ameircana(Ba4), C. neteri(Ba10)에 대한 감수성 조사 결과 carbenicillin, doxcycline, tetracycline에서 생장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충남 백동 사문암지역의 토양 및 식물체내 중금속 함량 - 소나무 및 리기다소나무를 중심으로 -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Soils and Plants in Baekdong Serpentinite Area, Chungnam - A Case of Pinus densiflora and Pinus rigida -)

  • 민일식;송석환;김명희;장관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71-278
    • /
    • 1998
  • 충남 홍성에 위치한 백동 사문암지역에서 암석 및 토양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함량과 이 지역에서 생육하고있는 소나무 및 리기다소나무에 의해 식물체의 부위별로 흡수된 중금속 농도를 다른 모암지역(각섬석 편암 및 편마암)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암석의 경우 사문암의 Ni, Cr, Co, Fe 농도가 각섬석 편암 및 편마암에 비해 더 높았다. 상부토양도 암석과 매우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서, 특히 Ni, Cr, Co, Fe는 사문암토양이 가장 높았고, Zn과 Sc는 각섬석 편암이 더 높았다. 소나무의 평균 중금속 함량은 사문암지역에서 Ni, Cr, Co, Au, As, Sb. W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 중 Ni, Cr, Co는 암석 및 토양내 높은 함량 변화와도 일치하였다. 그외에 Zn, Sc는 각섬석 편암지역이 높았으며, Fe, Mo는 편마암이 각각 높았다. 같은 사문암지역에 분포하는 두 수종을 비교하면 대부분의 원소에서 소나무보다 리기다소나무내 함량이 더 높았으며(Ni 및 W은 예외), 이로 보아 식물체로의 중금속 흡수량이 리기다소나무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식물체의 부위별로 비교해 보면 두 수종 모두 모암의 구별없이 대부분 원소에서 뿌리부분이 지상부보다 흡수량이 높았다. 사문암지역에서 대부분 원소(Ni, Cr, Co, Zn, Sc, Fe)의 상대적인 비(평균 식물체 함량/토양 함량)는 모두 사문암보다 각섬석 편암이나 편마암지역에서 더 높았다. 특히 편마암지역은 Zn을 제외하고 전 원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고려대장경 경판전 기둥의 재질 (Wood Quality of Column in Storage Halls of Tripitaka Koreana Woodblock)

  • 박상진;정기호;김재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1-8
    • /
    • 1999
  • 해인사 고려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 기둥 108개의 수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첩기둥 6개를 포함한 114개의 기둥 중 느티나무가 73개 64%, 잣나무가 17개 14.9%, 소나무 16개 14%, 전나무가 5개 4.4%, 상수리나무류가 2개 1.8%, 리기다소나무가 1개 0.9%의 순이다. 수다라장에는 여러 가지 수종이 검출되었으나 법보전은 48개 기둥 충 47개가 느티나무이었다. 검출된 수종의 특성으로 불 때 법보전은 적어도 고려중 후기 이전에 건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다음이 수다라장, 동 서사간장은 이 보다도 훨씬 후대에 건조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소나무류 균근균의 배양적 특성비교 및 인공접종에 의한 해송묘목에의 균근협성 (Comparison of mycorrhizal fungi associated with Pinus species in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rtificial mycorrhizal synthesis on Pinus thunbergii seedlings)

  • 이종규;이훈용;이상용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77-88
    • /
    • 1999
  • 소나무류의 뿌리나 토양에서 분리된 균근균의 배양특성 비교와 인공접종에 의한 소나무 묘목에의 균근형성을 시도하였다. 소나무류 균근균은 다양한 생장특성을 지니고 있었는데, 배지별 생장에서 민자주방망이버섯(Ln73/92)은 PDA 에서, Paxillus sp.는 FDA 에서, 알버섯(FRI91017)은 Hagem배지에서, 나머지 균근균들은 MP배지에서 생장이 양호하였다. 용도나 pH를 달리한 배양조건에서 대부분의 균근균들은 $25^{\circ}C$에서 생장이 양호하였으나 모래밭버섯(FRI91004와 Pt 1)은 $30^{\circ}C$가 최적온도였고, pH도 균근균의 종류에 따라 약산성에서부터 약알칼리성에 이르기까지 최적 pH가 다양하였다. 생장시에 선호하는 탄소원의 종류도 균근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였으나 탄소원으로 xylose를 첨가한 배지에서는 모든 균근균의 생장이 불량하였다. 질소원은 $KNO_3$ 또는 asparagine을 선호하는 종류가 많았고 urea를 첨가한 배지에서는 거의 모든 균근균이 생장하지 못하였다. 균근균을 해송묘목에 인공접종하여 균근균을 형성시킨 결과, 모래밭버섯인 Pt1균주만 3개월만에 성공적으로 균근을 형성하여 외생균근의 전형적인 특징인 두꺼운 균사막으로 덮인 분지된 세근이 관찰되었으며 조직염색법에 의해 처리된 균근형성뿌리의 횡단절단면을 Nomarski interference microscope로 관찰하여 표피세포에 형성된 fungal mantle과 피층세포에 형성된 Hartig net을 확인하였다.

  • PDF

Pisolthus tinctorius, Rhizopogon spp. 및 Suillus pictus균(菌)의 접종에 의한 리기테다소나무 묘목에 형성된 외생균근의 형태 (Morphology of Ectomycorrhizae of Pinus rigida × P. taeda Seedlings Inoculated with Pisolthus tinctorius, Rhizopogon spp. and Suillus pictus)

  • 이창헌;고대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319-327
    • /
    • 1993
  • 본(本) 연구(硏究)는 우리나라에 인공식재(人工植栽)된 몇몇 지역(地域)의 리기테다소나무림(林)에 자생(自生)하는 몇가지 균근균(菌根菌)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고, 도입(導入) 균근균(菌根菌)인 Pt균(菌)과 분리된 자생(自生) 균근균(菌根菌) Ra균(菌), Rb균(菌), Sp균(菌) 등(等)의 접종에 의해 리기테다소나무묘(苗)에 형성(形成)된 균근(菌根)의 해부학적(解剖學的)인 형태(形態)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분리(分離) 동정(同定)된 Rhizopogon rubescens, Rhizopogon sp., Suillus pictus균(菌)과 도입종(導入種)인 Pisolithus tinctorius균(菌) 등(等)을 리기테다소나무묘(苗)의 근부(根部)에 인공접종(人工接種)한 결과(結果) 균근(菌根)을 형성(形成)하였다. 2. 균근(菌根)이 형성(形成)된 뿌리는 균사(菌絲)가 뿌리 표면(表面)을 감싸고 있으며 Hartig net와 균투(菌套)가 발달(發達)하였다. 또한 Hartig net의 발달(發達)로 인(因)하여 세포간극(細胞間隙)이 두꺼워졌다. 3. 균근(菌根)의 세포에서는 비균근(非菌根)의 세포(細胞)에서보다 액포의 크기는 작았고, 세포질(細胞質)의 양(量)은 많았다. 그러나 핵(核)의 크기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 PDF

완도(莞島) 보길도(甫吉島)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 유적(遺跡) 나막신의 보존(保存) (Conservation of Sabot from Gosan Yoon Sun-Do Site, Bogildo, Wando-gun)

  • 차미영;박영만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7권
    • /
    • pp.63-68
    • /
    • 2006
  • 국립광주박물관은 전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한 완도 보길도 윤선도 유적에서 출토된 나막신의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나막신의 수종은 소나무속 경송류(Pinus sp. (hard pine))로 식별되었으며 처리방법은 t-butanol 치환 후 PEG-진공동결건조법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