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1초

영국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Analysis of Species and Tree-Ring Dating of Wood Elements Used for the Daewoongjeon Hall of Youngguksa Temple)

  • 손병화;박원규;윤두형
    • 건축역사연구
    • /
    • 제15권2호
    • /
    • pp.23-38
    • /
    • 2006
  • During the repair and restoration of the Daewoongjeon Hall of Youngguksa Temple,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for both present wood elements and charred ones excavated under the Hall, were conducted. The species of 74 wood elements of Daewoongjeon Hall, were identified as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and only 1 was identified as exotic Pinus species. The latter wood, which was used in the laths, seems to have been replaced during past repairs. Many documentary records and various artifacts pertaining to Youngguksa Temple are being excavated, but none described precisely the construction date of the present Daewoongjeon Hall. Also, from beneath the Daewoongjeon Hall, cornerstone and foundation of previous building and several charred wood elements were excavated. In comparing the direction of the stone columns of foundation of the previous structure and the existing Daewoongjeon Hall, the previous structure was rotated in an angle of approximately $15^{\circ}$. Therefore, in order to find the association of the previous structure with the present Daewoongjeon Hall, tree-ring dating was conducted. The dating of 41 original timbers and 14 roof-filling timbers of the present construction elements revealed that the last annual ring was of A. D. 1703 with complete latewood, indicating that those woods was cut some time between the autumn of 1703 and spring of 1704, and the building was erected in 1704 when we assume no period of wood storage. The year of the last annual ring of the charred elements, which were excavated from beneath the Daewoongjeon Hall, was analyzed as 1674. The cutting year of the woods used for the present building began in 1698, therefore, it can be presumed that the Daewoongjeon Hall before the fire was a structure that was elected shortly after 1674 and that a catastrophic fire occurred some time between 1674 and 1698.

  • PDF

흰쥐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송엽(松葉) 추출물(PNE)의 영향 III. 뇌세포막의 유동성 및 신경전달관련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PNE의 투여효과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 (PNE) on Physilolgical Activity of SD Rats III. Feeding Effect of PNE on Fluidity and Neurotransmitter-Related Enztmes in Brain Membranes of SD Rats)

  • 최진호;김정화;김동우;황찬호;김대익;이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7-172
    • /
    • 1998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 (PNE) on membrane fluidirt and neurotransmiter-related enzymes in brain of Spragu-Dawley(SD), male SD rats were fed basic diets (control group), and experimantal diets (PNE group)with 0.5% and 0.1% fo PNE for 6 weeks. pine (pinus tabulaeformis C$_{ARR}$ is one of the popular plant drugs which has used as a medicine in Asia. Cholesterol levels in brain mitochondria of 0.5%-PNE and 0.1%-PNDE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15% and 25%, respective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cholesterol levels in brain microsomes of these PNE groups howed almost no chang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Lipofuscin accumulations in brain membranes of 0.5%-PNE and 0.1%-PNE groups were sgnificantly inhibited in 18% and 21%, respective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rain memberance fluidity was also activated in 50% and 100% by the administration of 0.5%-PNE and 0.1%-PNE. higher acetylcholinesterase(15% and25%) and lower monoamine oxidase B (25% and 15%0 activities were effectively modulated by the administration of 0.5%-PNE and 0.1%-PNDE.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e beneficial effects such as inhibition of cholesterol and lipofuscin, increase of membrane fluidity, higher acetylcholinesterase and lower monoamone oxidase activities in brain membranes of SD rats may be effectively modulated by administration of pine needle extract (PNE).

  • PDF

소나무의 유전적(遺傳的) 구조(構造)에 관한 연구(硏究) (I) : 영일(迎日) 집단(集團)의 유전적(遺傳的) 구조(構造) (Observations on the Genetic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I) : The Young-il Population)

  • 정민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2호
    • /
    • pp.246-254
    • /
    • 1991
  • 동립효소(同立酵素) 분석(分析)에 의하여 경상북도(慶尙北道) 영일지역(迎日地域) 한 소나무 집단(集團)의 유전적(遺傳的) 구조(構造)를 산(山)의 남(南)쪽과 북(北)쪽의 소집단(小集團)으로 구분(區分)하여 연구(硏究)하였다. 동립효소(同立酵素) AAT, GDH 및 LAP등 에서 각각 5개, 1개 및 2개의 유전자좌(遺傳子座)가 발견(發見)되였으며 상세(詳細)히 분석(分析)한 6개의 유전자좌(遺傳子座)에는 평균(平均) 3.33개의 유전자(遺傳子)가 있음이 확인(確認)되었다. 6개 유전자좌(遺傳子座)의 average heterozygosity는 양친집단(兩親集團)의 경우(境遇) 0.19였고 차대집단(次代集團)의 경우(境遇)는 0.17이었다. 몇 몇 유전자좌(遺傳子座)에 있어서 남(南)쪽 북(北)쪽 소집단내(小集團內) 및 소집단간(小集團間)에 모계(母系)와 부계간(父系間) 유전자빈도(遺傳子頻度)의 유의차(有意差)가 있었고 남쪽 및 북쪽 소집단간(小集團間)에는 모계(母系) 유전자(遺傳子) 빈도(頻度)에 차이(差異)가 있었다. 이 결과(結果)로 보아 산(山)의 북쪽과 남쪽에 위치(位置)한 소나무 소집단(小集團)에 있어서 교배(交配)가 무작위(無作爲)로 일어나지 않았으며 소집단간(小集團間)에도 자유(自由)롭게 교배(交配)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들 소집단(小集團)들은 최소(最小)한 생식집단(生植集團)으로서 부분적(部分的)으로 서로 격리되고 있음이 발견(發見)되었다. 양친(兩親)과 차대집단(次代集團)의 몇몇 유전자형(遺傳子型)들은 Hardy-Weinberg 평형(平衡)을 이루지 못하고 있었다. 이 소나무 집단(集團)의 유전적(遺傳的) 구조(構造)로 보아 현재의 소나무 집단(集團)은 소수(少數)의 양친수(兩親樹)에 의해 형성(形成)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소나무(Pinus densiflora) 줄기의 목부조직호흡 (Woody Tissue Respiration in Stems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Trees)

  • 김명현;;나영은;이정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03-20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동시에 여러 지점을 측정할 수 있는 open flow 시스템을 이용하여 소나무 줄기에서 발생하는 호흡을 겨울과 여름 두 시기에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줄기의 목부조직에서 호흡속도($R_{stem}$)는 겨울에 $0.25-0.55{\mu}mol\;m^{-2}s^{-1}$, 여름에 $1.25-1.63{\mu}mol\;m^{-2}s^{-1}$의 범위를 나타냈다. 시기별 측정된 수목(15개체)간 $R_{stem}$의 변화성은 변동계수로 나타낼 수 있으며, 그 결과 여름과 겨울이 모두 23%로 시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변동계수 값에 근거하면 $R_{stem}$ 이 95% 신뢰수준에서 실제 값과의 차이가 10%와 20%보다 적기 위해서는 샘플링 수가 각각 최소 24개와 6개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겨울과 여름의 온도와 개체간 평균 $R_{stem}$의 상관관계에서, $Q_{10}$ 값은 겨울이 1.49, 여름이 1.45로 계절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R_{20}$(줄기 온도 $20^{\circ}C$일 때의 $R_{stem}$)은 겨울($0.61{\mu}mol\;m^{-2}s^{-1}$)보다 여름($1.23{\mu}mol\;m^{-2}s^{-1}$)이 두 배 정도 컸다.

토양산성화(土壤酸性化)가 소나무 묘목(苗木)의 생장(生長) 및 영양상태(營養狀態)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oil Acidification on Growth and Nutrient Status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 이충화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4호
    • /
    • pp.611-619
    • /
    • 1998
  • 황산용액을 첨가하여 인위적으로 산성화시킨 갈색산림토양에 2년생 소나무 묘목을 온실내에서 120일 동안 생육시킨 후, 묘목의 생장과 영양상태를 조사하였다. 토양용액의 Al 농도는 토양의 $H^+$ 부하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또한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은 토양의 $H^+$ 부하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소나무 묘목 지하부 Al 농도의 증가는 엽내 Ca 및 Mg 등과 같은 식물생장 필수원소 농도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과 토양용액의 (Ca+Mg+K)/Al 몰비와의 사이에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r=0.96, p<0.001), 토양용액의 (Ca+Mg+K)/Al 몰비가 7.0이하로 낮아지면 건물생장이 감소가 발생하고 몰비가 1.0일 때의 건물생장은 대조구에 비하여 약 40%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토양용액의 (Ca+Mg+K)/Al 몰비의 이용은 산성강하물에 대한 임계부하량 평가에 중요한 지표(指標)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기후대별 입지환경 인자에 의한 소나무류의 지위지수 추정식 및 적지 구명 (Site Index Equations and Estimation of Productive Areas for Major Pine Species by Climatic Zones Using Environmental Factors)

  • 신만용;원형규;이승우;이윤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79-187
    • /
    • 2007
  • 본 연구는 산림입지 자료를 이용하여 주요 소나무 수종의 기후대별 산림생산력을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지방소나무, 중부지방소나무, 그리고 해송의 3개 소나무 수종을 대상으로 입지환경인자에 의한 기후대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만들고, 적지 판정 기준에 따라 수종별 적지면적을 산출하였다. 기후대는 수종분포에 따라 온대북부, 온대중부, 온대남부, 그리고 난대의 4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산림입지 자료를 기후대별 수종별로 분류한 후, 지위지수 추정식 산출에 필요한 추정자료와 통계 검증에 필요한 검증자료로 분류하였다. 산림입지 자료에 포함된 임령 및 수고에 근거하여 기준 임령을 30년으로 하는 기후대별 수종별 지위지수를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입지환경 인자에 의한 기준임령 30년에서의 기후대별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도출하였으며, 검증자료를 사용하여 통계적 검증을 실시한 후 검증 결과에 따라 최종 기후대별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출된 기후대별 소나무 수종의 지위지수 추정식은 $4{\sim}8$개의 입지환경 인자에 의해 산림생산력을 비교적 잘 추정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출된 지위지수 추정식을 산림입지 자료에 적용하여 기후대별 수종별 산림생산력을 추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적지를 판정한 후 적지 면적을 산출하였다. 수종별 적지 면적은 강원지방소나무는 온대북부와 온대중부에서 약 24만ha로 추정되었으며, 중부지방소나무는 전체 기후대에 걸쳐 약 49만ha가 적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온대북부를 제외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해송의 경우에도 전체 산림면적의 약 4%인 23만ha가 적지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환경요인에 의한 주요 침엽수종의 지위지수 추정식 개발과 적지 평가 (Development of Site Index Equations and Assessment of Productive Areas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for Major Coniferous Tree Species)

  • 이용석;성주한;천정화;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395-404
    • /
    • 2012
  • 본 연구는 환경인자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주요 침엽수종(중부지방소나무, 강원지방소나무, 낙엽송, 잣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적지면적을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림입지도와 산림기후도로부터 산림생산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43개 환경인자를 도출한 후, 최적 조합에 의해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조제하였다. 최종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에는 각각 6개의 환경인자가 독립변수로 사용되었으며, 경사형태, 유효 토심, 연 평균기온, 연 최고기온, 연 최저기온, 그리고 생장기간 동안의 총강수량 등의 변수가 지위지수 추정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0.36~0.56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모형의 평균편의, 정도, 표준오차의 3가지 평가통계량에 근거하여 검증을 실시한 결과 비교적 지위 추정능력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종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이용하여 각 수종의 적지면적을 산출하고 적지분포를 도해하였다.

창경궁 통명전 목부재의 연륜연대 측정 -방에서 마루로 변형된 시기규명을 중심으로- (Tree-Ring Dating of Wood Elements Used for Tongmyungjeon Hall of Changkyung Palace - The Year of Transforming from Ondol Rooms to Wooden Floors-)

  • 박원규;손병화;한상효
    • 건축역사연구
    • /
    • 제12권3호
    • /
    • pp.53-63
    • /
    • 2003
  • Tree-ring chronologies can be used to date historical buildings by matching them with the chronologies of living trees or previously dated samples. Tree-ring dating gives a calendar year to each tree ring and produces the felling dates of logs or woods which had been used for buildings. In Korea, several chronologies of Japanese red pine(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sonamu' in Korean), a major species for the wooden building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for dating historical buildings. In this study, Tongmyungjeon Hall of Changkyung Palace in Seoul was dated by tree rings. The present Tongmyungjeon Hall was known to be reconstructed in A.D. 1834 after burned-out in A.D. 1790. We sampled total of 122 wood samples which were replaced during the repair process in 2002-2003. Felling dates of the samples were determined by the dendrochronological crossdating method. Crossdating method employs graphic comparison of the master patterns (ring-width chronologies of known dates) with those of the sample chronologies of unknown dates. Tree-ring dates confirmed that the reconstruction of 1834 utilized second-handed timbers as well as fresh-cut ones. The felling dates of wooden floor frames were mostly A.D. 1913, indicating the 'Ondol' floors were changed to the wooden floors around 1914 when the Japanese rulers brutally destroyed the royal Korean Palaces and transformed palace buildings to their offices or exhibition halls after occupying Korea in 1910. This study proved that tree-ring dating was a useful and accurate method to identify the critical dates for the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 PDF

통일신라~조선시대 우물지 출토 목재의 수종 - 상주(尙州) 복룡동(伏龍洞) 유적 - (Species of Woods Excavated from the Wells dated between the Unified Silla and the Joseon period - Bongnyong-dong site, Sangju -)

  • 이효선;오승준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0권
    • /
    • pp.63-74
    • /
    • 2009
  • 상주 복룡동 유적 발굴 동안 통일신라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우물이 모두 81기가 발견되었으며 우물지 조성에는 할석과 목재가 사용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목재는 우물지 조성 시 최하단 시설, 즉 벽석아래에 설치하는 구조물로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 중 136점의 목재에 대한 수종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소나무가 대부분(전체의 85.9%, 116점)을 차지했으며, 그 외 수종으로는 굴피나무(1점), 밤나무류(9점), 상수리나무류(3점), 졸참나무류(1점), 단풍나무류(5점)로 총 6종이 분석되었다. 이처럼 소나무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아 당시 우물지 제작에 적합한 목재로 소나무를 의도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Effect of a Metal-strap Thicknesses on the Bending Process

  • Jung, In-Suk;Kim, Jung-Whan;Lee, Weon-Hee;Chang, Jun-Pok;Bae, Hyun-M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3호
    • /
    • pp.14-20
    • /
    • 2001
  • On the bending process, metal-strap plays an important role in dispersing the stress generated in wood. Therefore, the metal-strap has more influence on the property of bentwood materials. The effect of the metal-strap thickness for bentwood was examined. The effect of metal-strap on the bending properties of Korean red pine(Pinus densiflora Sieb. et Zucc.)was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The metal-strap thickness is divided into 4 kinds such as 1.0, 0.8, 0.6, 0.4 mm. The specimens were selected by grain such as annual ring angles, flat grain and half-edge grain specimen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bending ability of 1.0, 0.8 mm, thickness of half-edge grain specimens was better than flat grain specimens but the result of 0.6, 0.4 mm were reversed. The bending ability of half-edge grain was better than flat grain and the grade was higher. When the processed specimens were dried, the radius of curvature(ROC) was decreased became drying-stress was not perfectly dispersed. An optimum drying-condition would deminish this phenomen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