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us densiflora S et. Z.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32초

백두대간 마루금일대 소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와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limate and Tree-Rings of Pinus densiflora in the Ridges of the Baekdudaegan, Korea)

  • 박상곤;주성현;이광희;박원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5호
    • /
    • pp.35-43
    • /
    • 2010
  • 백두대간의 마루금일대에 자라는 소나무 연륜생장과 기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21개 지역에서 48본 시료의 연륜을 분석하였다. 모든 지역의 소나무 연륜패턴이 서로 크로스데이팅 되어 우리나라 소나무의 생장이 기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연륜연대기는 3개의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지역적으로 그리고 해발 고도에 따라 분류되지 않아 백두대간에 분포하는 소나무의 연륜생장은 지역이나 고도보다는 미소 (microsite) 생육환경에 따른 생장량의 대소에 따라 분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백두대간 소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월 강수량과 월 평균기온)와의 관계를 상관계수로 분석한 결과, 백두대간 소나무의 연륜생장은 강수보다는 기온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생장이 양호한 군집이 기후의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서남해 도서의 소나무 (Pinus densiflora S. et Z.)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i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Islets of Southwestern Coast, Korea)

  • 양효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2호
    • /
    • pp.127-134
    • /
    • 2002
  • 본 연구는 1997년 3월부터 1998년 10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한반도 서남해 도서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의해 군락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26개의 방형구를 선정하여 결과 본 조사 지역의 소나무림은 자금-소나무군락과 방아풀-소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고, 각각의 군락은 털머위하위군락, 졸참나무하위군락 및 전형하위군락과 노간주나무하위군락, 윤노리나무하위군락 및 전형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소나무과 일부 수종의 에탄을 추출물에 대한 생물학적 평가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n the Extractives of Pinaceae)

  • 안정엽;배종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1-125
    • /
    • 2005
  • 소나무과는 우리 생활과 친숙한 수종이지만 천연물로써 그 평가는 전래되는 사용범위에 국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과 수종 Pinus koraienis S et Z. Pinus banksiana LAMBERT. Pinus rigida MILL. Pinus deniflora S. et Z.의 에탄을 추출물에 대하여 피부 노화방지에 대한 화장품 소재로써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추출물은 각 수종의 식물 부위를 껌질, 잎, 심재 등의 부위별 제조되었으며 각 부위에 따른 추출물은 생물학적 평가에 항산화 효과(DPPH, superoxide radical 소거실험), elastase 활성 억제 효과 및 세포 생존율에 과한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항산화 효과는 수종에 차이 없이 껍질 >잎>심재 순으로 활성이 나타났으며 껍질과 잎은 $10{\mu}g/mL$ 농도에서 L-ascorbic acid나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Human keratinocyte cell line인 HaCaT 세포주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10, In $100{\mu}g/mL$ 농도로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을 실험하였다 껍질부분의 추출물은 농도에 상관없이 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잎과 심재 부분의 추출물 $10{\mu}g/mL$ 농도에서 세포 증식 효과가 보이나 $100{\mu}g/mL$ 농도에서는 세포 증식이 저하되었다. 또한 세포기저층을 형성하는 분자 중 elastin을 분해하는 elastase 활성억제를 측정하여 사용된 식물 부위 중 껍질에서 elastase 활성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소나무과 수종의 활용에 있어 껍질 부분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일반적 조림용 이외 목재로 사용되는 경우 산림폐기물을 이용한 부가가치를 극대화하는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써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한국 서남해 도서의 소나무(Pinus densiflora S. et Z.)림에 대찬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i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Islets of Southwestern Coast, Korea)

  • 양효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3호
    • /
    • pp.197-204
    • /
    • 2002
  • 본 연구는 1997년 3월부터 1998년 10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한반도 서남해 도서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의해 군락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26개의 방형구를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 본 조사 지역의 소나무림은 자금우-소나무군락과 방아풀-소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고, 각각의 군락은 털머위하위군락, 졸참나무하위군락 및 전형하위군락과 노간주나무하위군락, 윤노리나무하위군락 및 전형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소나무와 해송 화분의 화학적 성분과 파쇄 조건에 관한 연구 (Chemical Components and Pulverization Conditions of the Pollens of Pinus densiflora S. et Z. and Pinus thunbergii Parl)

  • 김계환;오혁근;윤계순;박준모;최태기
    • 임산에너지
    • /
    • 제18권2호
    • /
    • pp.47-54
    • /
    • 1999
  • 소나무와 해송 화분에 대하여 화학적 성분을 분석하고 화분 파쇄 최적 조건을 구명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소나무 화분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 9.8%, 조회분 2.3%, 조단백질 11.9%, 조지방 2.9%, 조섬유 7.7%, 당질 65.4%이었으며, 해송 화분은 수분 10.5%, 조회분 2.2%, 조단백질 13.5%, 조지방 3.5%, 조섬유 8.5%, 당질 61.8%로서 일반곡류보다 높게 나타났다. (2)소나무와 해송 화분에서 각각 18종의 아미노산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10종의 필수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어 영양원으로서 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소나무 화분은 비탄민 A 7.9㎎, B1 8.7㎎, B2 19.2㎎, C 31.5㎎, E 2.0㎎, 해송 화분은 비타민 A 8.5㎎, B1 9.4㎎, B2 15.7㎎, C 35.3㎎, E 1.8㎎ 함유하고 있었으며, 특히 비타민 C가 풍부하였다. (4)소나무 화분립은 5,000rpm으로 40분간, 해송 화분립은 5,000rpm으로 50분간 파쇄함으로써 100% 화분 파쇄가 가능하였다.

  • PDF

소나무수피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의 분리 및 구조분석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of Proanthocyanidin in Bark of Pinus densiflora)

  • 송홍근;오성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2호
    • /
    • pp.81-93
    • /
    • 1996
  • To elucidate the structure of procyanidin in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bark, the extractives were extracted with acetone-water mixture(7:3, v/v) from inner bark of Korean red pine. The extracts separated three fractions which were extracted by liquid-liquid extraction. The extracting solvents were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and water. The part of ethylacetate soluble was chromatographed by liquid chromatography. The ethylacetate soluble portion yielded four natural procyanidin dimers, two known epicatechin-($4{\beta}{\rightarrow}6$)-catechin, catechin-($4{\alpha}{\rightarrow}8$)-catechin and two unknown catechin-($4{\beta}{\rightarrow}6$)-catechin and conformational isomer of epicatechin-($4{\alpha}{\rightarrow}6$)-catechin. The additional catechins was also isolated. The structures of these procyanidins were elucidated by their $^{13}C$-NMR spectra.

  • PDF

중부(中部) 산림(山林) 지역(地域)의 증발산량(蒸發散量) 추정(推定)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in a Forest Watershed in Central Korea)

  • 김재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1호
    • /
    • pp.86-92
    • /
    • 1999
  • 증발산량은 산원 수자원의 제한 요인이며, 한편으로는 임목의 생장, 분포에 관여하는 중요한 생태계의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식생에 의한 증산은 주로 기상학적 요인에 의하여 좌우된다. 조사 유역의 하부는 수고 8m의 소나무로 밀생되어 있으며, 상부는 생장이 불량한 소나무와 참나무류가 산생하고 있다. 1993년도 강수, 유출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구하고, Penman-Monteith 모델의 수관저항을 정하여, 이 모델에 의한 산림지역의 일 증발산량의 계절적 변이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연간 증발산량은 590.3mm이었으며 수관저항값은 99s/m로 결정되었다. 연간 증발산량 중에서 5월의 증발산량이 106.4mm로 가장 큰 값을 나타내며 이는 식생에 의한 수관차단 및 증산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