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ine root

Search Result 14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해송(海松)의 근계밀도(根系密度)의 분포(分布)에 관(關)한 연구(硏究) (Distribution of root density in Pinus thunbergii Parlatore)

  • 주성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9권
    • /
    • pp.109-114
    • /
    • 1991
  • The depth and spread of root systems and the density of root branching affect the success and survival of plants subjected to drought. The type and size of root systems are controlled by heredity and soil conditions. There are also important interaction between roots and shoots; roots are dependent on shoots for carbohydrates, growth regulators, and certain vitamins, and shoots are dependent on roots for water, minerals, and certain growth regulators. Pinus thunbergii Parlatore had most of roots in the top 20cm of soil, and had little short of roots in the less than 80cm of soil. Average of root density was $270cm/cm^3$ in the upper soil(0~20cm). Root density of Pinus thunbergii Parlatore was similar to that of Cryptomeria japonica. There is no saying that Pinus thunbergii Parlatore has an advantage over Cryptomeria japonica in the drought. This data will be used to the root density values in the simulation model of black pine stands.

  • PDF

리기다소나무 입목(立木)의 수분분포(水分分布)에 관(關)하여 (The moisture distribution in standing Pitch Pine trees)

  • 이필우;한관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5-49
    • /
    • 1968
  • 이 시험(試驗)은 리기다소나무의 재(材) 부분별(部分別) 함유(含有) 수분량(水分量)을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실시(實施)된 시험(試驗)인데 조사(調査)된 재부분(材部分)은 간재(幹材)에서 심재(心材)와 변재(邊材) 그리고 기재(技材), 말목재(末木材), 근재등(根材等)이다. 이 시험(試驗)에서 사용(使用)한 시험목(試驗木)과 측정(測定)된 재부분별(材部分別) 평균함수율치(平均含水率値)는 table(l), (2)와 같고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리기다소나무 동계벌목재(冬季伐木材)의 각(各) 재부중(材部中)에서 함수율(含水率)이 가장 높은 부분(部分)은 말목재(末木材)이었고 가장 낮은 부분(部分)은 심재(心材)이었다. (2) 재부분별(材部分別) 함수율(含水率)을 비교(比較)하여 보면 근재(根材)와 기재간(技材間) 그리고 근재(根材)와 변재간(邊材間)에는 차이(差異)가 없었고 말목재(末木材)와 기타재부간(其他材部間) 그리고 심재(心材)와 기타재부간(其他材部間)에는 차이(差異)가 있었다. (3) 개체간(個體間)의 재부분별(材部分別) 연균(年均) 함수율간(含水率間)에는 일반적(一般的)으로 큰 변이(變異)가 없으나 기재(技材)에서는 매우 큰 변이(變異)를 나타낸다.

  • PDF

옥수수(Zea mays L.)와 소나무(Pinus densiflora L.) 추출물의 생물학적 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Zea mays L. and Pinus densiflora L.)

  • 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03-210
    • /
    • 1998
  • Environmental concerns arising from synthetic herbicides in plant management systems have led to an interest in plant-derived compounds as natural herbicides. Inhibitory effects of compounds extracted with 50% methanol from corn (Zea mays L.) and pine (Pinus densiflora L.) were evaluated on large crabgrass (Digitaria sanguinalis (L.) Scop.), annual bluegrass Poa annua L.), radish (Raphanus sativus L.), and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The aqueous extracts inhibited seed germination and had postemergence activity on the four species. The stability of biological activity of corn grain, stover, and root extracts was not affected by heating to $135^{\circ}C$ or freezing/thawing treatments when applied at levels above 0.25kg m(sup)-2 based on dry weights of powders before extraction. Heating reduced the activity of pine litter and bark extracts at all levels except the highest application level but had little effect on pine needle extracts.

  • PDF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on Growth of Allium tuberosum Rottler and Weed Control

  • Kim, Jin-H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2-247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the growth of Chinese chive (Allium tuberusum Rottler) and weed control. Chinese chive was grown under five mulching materials, pine leaf, oak leaf, rice straw, rice hull and sawdust, at the Experimental Farm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from June 20, 2009 to September 30, 2009. Amaranthus mangostunus, Digitaria sanguinalis, Portuclaca. oleracea, Echinochioa crus-galli var. frumetacea and Setaria viridis were dominant weeds. Both pine and oak leaves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mulching materials in terms of weed control indices in both nursery and field. Soil moisture contents were 1.2~3.7% higher in mulching, especially in oak leaf mulching. Mulching with pine leaf significantly increased plant height, sheath length, leaf length, bulb-, root- and leaf-weights and yield of Chinese chiv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other mulching materials although better than those in non-mulching.

참나무림내 천연발생한 잣나무 치수의 지상부 현존량 및 양분분포 (Aboveground Biomass and Nutrient Distribution of Korea Pine (Pinus koraiensis) Advance Growth in Deciduous Oak Forests)

  • 지동훈;변재경;정진현;이명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144-1149
    • /
    • 2011
  • 잣나무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림수종으로서 종자가 비산하지 못하고 조류나 설치류등의 동물에 의해 운반, 산포됨으로써 잣나무 인공조림지 주변 산림의 하층에 잣나무 치수가 천연 발생하게 된다. 조사 임분 내에서는 직경급, 수고급별 분포에서 역 J자형을 나타내는 음수의 잣나무가 상층의 참나무림에 의해 낮은 광환경과 토양의 비옥도가 낮은 조건하에서 생육하고 있다. 조사 임분은 비교적 온도가 높고 건조한 남서사면이지만 상층의 참나무림 임관에 의해 완화되며, 따라서 잣나무 종자의 발아나 치수를 보호하는 미세 입지환경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잣나무 치수의 전체 현존량은 잣나무 인공림에 비해 높았으며 참나무림 하부의 낮은 광 환경에서도 적응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각 기관별 질소와 인의 농도는 인공 잣나무림 및 혼효하는 참나무림의 각 기관별 농도보다 낮았으며 양분량도 현존량에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들 양분은 일반적으로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주요 성분이므로 잣나무와 활엽수 혼효림의 시업에 있어서 지조부는 임상에 존치 시키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나무속 식물의 뿌리생장에 대한 알루미늄 내성 (Aluminum Tolerance in Pine Root Growth)

  • Ryu, Hoon;Joon-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1호
    • /
    • pp.36-46
    • /
    • 1996
  • Variation of Al tolerance in Pinus densiflora, P. rigida and P. thunbergii was investigated in a solution culture. Root length decreased as Al concentration increased, and decreased more in dilute culture media than in dense one. Aluminum tolerance based on relative root length was in the order of P. rigida > P. densiflora > P. thunbergii. Al content in tissue increased as Al concentration of the media increased, but the reverse was true for content of Ca and Mg. Al tolerance for root length showed intraspecific variation, even under the same Al concentration in the media.

  • PDF

Effects of elevated CO2 on growth of Pinus densiflora seedling and enzyme activities in soil

  • Kim, Sung-Hyun;Jung, Soo-Hyun;Kang, Ho-Jung;Lee, In-So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2호
    • /
    • pp.133-139
    • /
    • 2010
  • Atmospheric $CO_2$ concentrations have increased exponentially over the last century and, if continued, are expecte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lants and soi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levated $CO_2$ on the growth of Pinus densiflora seedling and microbial activity in soil. Three-year-old pine seedlings were exposed to ambient as well as elevated levels of $CO_2$ (380 and 760 ppmv, respectively). Growth rates and C:N ratios of the pine seedlings were also determined. Dissolved organic carbon content, 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microbial activity were measured in bulk soil and rhizosphere soil. The results show that elevated $CO_2$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oot dry weight of pine seedling. In addition, overall N content decreased, which increased the C:N ratio in pine needles. Elevated $CO_2$ decreased soil moisture, nitrate concentra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soil phenolic compounds. In contrast, soil enzymatic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rhizosphere soil, including ${\beta}$-glucosidase, N-acetylglucosaminidase and phosphatase enzyme activities. In conclusion, elevated $CO_2$ concentrations caused distinct changes in soil chemistry and microbiology.

심비디움 Pine Clash 'Moon Venus'의 생장 및 양분함량에 미치는 폐타이어칩의 영향 (Effect of Waste Tire Chips on the Growth and Nutrient Content of Cymbidium Pine Clash 'Moon Venus')

  • 김홍열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2호
    • /
    • pp.17-21
    • /
    • 2009
  • 본 실험은 폐타이어칩이 심비디움 Pine Clash 'Moon Venus'의 생장 및 양분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잎, 줄기의 지상부 생장은폐타이어칩과 바크를 혼용한 경우에는 관행구인 바크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폐타이칩 단용구에서는 지상부의 생장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총근수, 신근수, 근장 등 지하부의 생장도 지상부의 생장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패근수는 폐타이어칩 중립과 대립의 단용구에서 증가하였다. 전당, 전분, 엽록소와 N, P, K 등 무기양분의 함량도 폐타이어칩과 바크를 혼용한 경우에는 관행구인 바크와 차이가 없었으나, 폐타이칩 단용구에서는 감소하였다.

송이균(松茸菌) (Tricholoma matsutake)의 배양환경(培養環境)에 대한 증식반응(增殖反應)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Multiplication Response of "Tricholoma matsutake" (Pine Mushroom) Conidio to Cultural Media Environment)

  • 김창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33-41
    • /
    • 1984
  • 송이(松茸)는 적송(赤松)의 세근(細根)에 활물기생(活物寄生)한다고 하나 그 본질(本質)이 아직 구명(究明)되지 못하고 있음으로 인공재배(人工栽培) 확립(確立)이 모색(模索)되고 있는 중이다. 본논문(本論文)에서는 일차적(一次的)으로 송이(松茸)에서 순수분리(純粹分離)한 균(菌)을 배양(培養)하여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고 인공원기(人工原基)를 만들어 인공적(人工的)인 송이재배(松茸栽培)의 본질(本質)을 구명(究明)하여 송이재배(松茸栽培) 방법(方法)을 돕고자 송이균(松茸菌)의 생리특성(生理特性)에 대(對)하여 조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각종(各種) 배양기상(培養基上)에서의 송이균계(松茸菌系)의 발육(發育)은 봉밀(蜂蜜)+송이발생토양전즙(松茸發生土壤煎汁)+적송수근추출물(赤松鬚根抽出物)+건조효모(乾燥酵母)+$KH_2PO_4$+Inositol+엽산(葉酸)+Biotin의 배지(培地)가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2) 송이포자(松茸胞子)의 발아(發芽) 및 균계배양(菌系培養)에서 최적온도(最適溫度)는 $24^{\circ}C$, 최적(最適) pH는 4.5였다. 3) 송이균계배양(松茸菌系培養)에 있어서 송이자실체(松茸字實體)의 조직(組織)에서 분리(分離)한 것과 포자(胞子)에서 분리(分離)한 것은 그 발율(發育)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4) Hamada 배지(培地)에 각종(各種) 미량중금속염류(微量重金屬鹽類) $ZnSO_4$, $MnSO_4$, $MgSO_4$, $CaCl_2$ 구연산철(枸櫞酸鐵) 등(等)의 첨가(添加)는 별효과(別效果)가 없었다. 5) 적송수근추출물(赤松鬚根抽出物) 첨가(添加)는 균계발육(菌系發育)에 확실(確實)한 효과(效果)가 있었다. 적송(赤松)에는 송이균계(松茸菌系)의 생장(生長)을 촉진(促進)하는 인자(因子)가 존재(存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 송이균계(松茸菌系) 배양용(培養用) 인공배양기(人工培養基)의 C원(源)으로서 glucose보다 봉밀(蜂蜜)의 효과(效果)가 크다. 7) Fairy Ring이 가장 많이 존재(存在)하는 미생물(微生物)인 Mortierlla spp의 배양여액(培養濾液)을 송이균계(松茸菌系) 인공배양기(人工培養基)에 첨가(添加)한 것이 대조치(對照値)에 비(比)하여 균계(菌系)의 발육(發育)이 양호)良好)하였다. 8) 송이인공원기(松茸人工原基)의 배지(培地)에 적송수근추출물(赤松鬚根抽出物) lnsitol Biotin 엽산(葉酸)의 첨가(添加)는 효과(效果)가 크다. 균계(菌系)의 만연(蔓延)된 후(後) 온도(溫度)를 내려서 $19^{\circ}C$로 유지(維持)할 때 primordium의 형성(形成)을 확인(確認)하였다.

  • PDF

감염목 벌채 톱밥에 포함된 소나무재선충의 뿌리 감염 불가능성 (Improbability of Root Infection by the Pine Wood Nematode in Sawdust Discharged from Chain Saw Lumbering of Infected Trees)

  • 이승규;박주용;이총규;황진현;문일성;전향미;허혜순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99-305
    • /
    • 2010
  • 이 연구는 기계톱으로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된 나무를 벌채할 때 배출되는 벌채톱밥에 포함되어 있는 소나무재선충이 뿌리를 통하여 다른 나무로 전염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멸균수와 세 가지 토양습도(15%, 22.5%, 30%, v/v)로 조절된 포트 토양에서의 소나무재선충 생존가능기간, 뿌리의 상처 유무를 정밀하게 조절한 곰솔 묘목에 대한 접종실험, 그리고 소나무재선충병의 발생에 최적인 토양 습도 및 온도 조건에서 소나무재선충이 포함된 톱밥을 이용한 야외실연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토양 내에서의 소나무재선충의 생존가능기간은 약 3일 정도이었으며, 충분한 토양습도 조건에서도 뿌리에 상처가 없는 경우에는 병이 발생하지 않았고, 소나무재선충이 포함된 벌채톱밥을 이용한 실연시험에서도 병이 발생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방제현장에서 기계톱에 의한 감염목 벌채 시 배출되는 톱밥에 포함되어 있는 소나무재선충이 다른 나무로의 이동하여 병을 일으킨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