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 oil solutio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물티슈용 소나무 오일 솔루션 제조 및 응용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the pine oil solution for wet tissues)

  • 김령;이기순;목지수;김인경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39-44
    • /
    • 2024
  • 본 연구는 현대인의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 불안, 불면증을 개선할 목적으로 천연 아로마 솔루션을 개발하고, 그 솔루션을 이용하여 물티슈에 응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나무오일 솔루션는 한국산 소나무 오일과 블랙체리 오일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한 소나무 오일 솔루션에 대하여, 중금속 분석, 항균 분석, 심리 평가 및 피부 평가를 수행하고 스트레스 개선용 기능성 아로마 물티슈 제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더나아가, 소나무오일 솔루션 물티슈의 피부 개선 여부를 조사한 결과, 보습 및 탄력 측면에서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meliorative Effect of Pine Needle Oil on Liver Protection and Lipid Metabolism of Alcohol Fed Rats

  • Lee, Jae-Seok;Ahn, Ki-Heung;Park, Kap-J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99-101
    • /
    • 2005
  • The effect of treatment with pine needle oil upon rat hepatocytes exposed to alcohol was investigated. The body weight gain, ratio of liver and kidney to body weight, and serum biochemistry of rats administered both alcohol and pine needle oil were compared to control rats treated with alcohol alone. Normal untreated control rats, negative control rats with ethanol treatment, positive control rats with both alcohol and the commercially available hangover cure solution (HCS) treatment and the test group with both alcohol and pine needle oil treatment exhibite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levels of $84.43{\pm}47.88\;U/L$, $254.57{\pm}463.20\;U/L$, $70.29{\pm}12.60\;U/L$ and $67.00{\pm}5.06\;U/L$, respectively, and cholesterol levels of $95.71{\pm}6.86\;mg/dl$, $113.80{\pm}38.19\;mg/dl$, $91.57{\pm}6.30\;mg/dl$ and $82.29{\pm}4.98\;mg/dl$, respectively.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levels were $44.00{\pm}9.04\;U/L$ in normal untreated control rats, increased to $215.43{\pm}428.93\;U/L$ with the administration of ethanol, but interestingly were significantly reduced to $37.83{\pm}6.57\;U/L$ in the test group (p<0.05). Triglyceride (TG) levels were $39.57{\pm}8.62\;mg/dl$ in normal untreated rats, increased to $73.71{\pm}61.20\;mg/dl$ in rats administered alcohol, but were reduced to $26.14{\pm}4.82\;mg/dl$ in the test group (p<0.0l). The pine needle oil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s of AST, ALT and TG compared to the control ra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ine needle oil can positively mediate the effects of alcohol on hepatocytes and general liver functions.

솔잎향미유 처리에 의한 건면의 품질개선 효과 (Quality improving effect of dries noodle according to treatment of pine needle seasoning oil)

  • 손무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1-194
    • /
    • 2001
  • Autoclaving법으로 제조한 솔잎향미유(pine needle seasoning oil, PNSO) 0~3%(w/w)와 유화제를 2:1(w/w)로 혼합하여 식염수에 용해시킨 후 이를 밀가루와 반죽하여 건면을 제조하였다. PNSO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흡수율, 부피팽창율, 고형분 용출율은 감소하였으며, 조리시간은 연장 되는 것으로 나타나 적정 처리량은 2~3%(w/w) 수준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관능검사 결과 PNSO의 처리에 따라 조리면에서 솔잎 고유의 녹색이 나타났으며, 조리면의 표면이 매끈하였고, 쫄깃쫄깃한 rheology 및 texture가 크게 개선되었다. PNSO 2%(w/w) 이상 처리군에서는 조리 후 20~30분이 경과하여도 조리면의 쫄깃쫄깃한 특성이 그대로 유지되어 식당, 단체급식소 등의 대량 취식용으로도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II. ULV 엽면살포 (Chemical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I). ULV Foliar Spray of the Insecticides)

  • 최승윤;이형래;안용준;송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9
    • /
    • 1980
  • 본 시험은 살충제 제제원액(Sumithion ULV 80, Sevin oil ULV 50, Salithion EC25, Dimethoate EC 50, Zolone EC 25, Folimat EC 50)과 고농도 희석액(Salithion, Dimethoate 10, 20, 40배)의 ULV 엽면살포에 의한 술잎혹파리방제 효과를 비교 검토코자 실시하였다. 1. 제제원액 살포시험에서는 약제의 종류와 철포시기(5월 19일, 26일, 6월 2일, 9일)에 따라 방제효과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면 그 방제효과는 Salithion, Sumithion, Dimethoate, Sevin oil, Zolone 및 Folimat의 순이였으며 대부분 5월 26일 처리에서 비교적 방제 효과가 좋았다. 그리나 문제는 Zolone을 제외한 다른 공시약제들은 보다 처리시기에 상관없이 약해가 발생하였다. 2. 고농도 희석액 살포시험에서는 희석배수, 처리시기(6월 2일, 9일)에 상관없이 Dimethoate에 비하여 Salithion 처리에서 방제효과가 높았으며 약해도 발생하지 않었다. 3.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Salithion 유제를 10배로 희석하여 5월 중하순에서 6월 상순경에 걸쳐 ULV 1회 엽면살포로서 성력적인 솔잎혹파리적 약제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유채(Brassica napus L.) 종자의 발아와 초기생장을 억제하는 식물정유의 선발 (Selection of Essential Oils Inhibiting Germination and Initial Growth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 최성환;박기웅;손영걸;안재영;이증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9-205
    • /
    • 2010
  • 본 연구는 19종의 식물정유가 유채종자의 발아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식물정유를 100배 희석 처리 한 경우 anise, cinnamon, citronella, clove, geranium, lemongrass, mustard 및 pine oil 등의 8종은 유채의 발아를 완전히 저해하였으며, 초기생장의 저해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채의 발아와 초기생장에 대한 저해율을 근거로 하여, 상기의 8개의 식물정유로부터 cinnamon, clove 및 geranium oil이 실용 가능성이 있는 bio-herbicide로서 선발되었다. 선발된 cinnamon, clove 및 geranium oil을 토양처리한 경우 90kg ai $ha^{-1}$농도에서 유채의 출현율은 각각 7.1, 25.0, 3.6% 였으며, 초기생장율도 22.0, 9.9 및 11.0% 수준으로, 유채종자의 발아와 초기생장억제에 미치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알긴산을 이용한 송이 향의 캡슐화 (Encapsulation of Pine Agaric ( Tricholoma matsutake) Flavor with Alginates)

  • 유병진;임영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1-236
    • /
    • 2002
  • 국내산 송이의 특징인 송이 향을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알긴산으로 송이 향의 주된 성분인 1-oc-ten-3-ol을 캡슐화 공정과 송이 향의 잔존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무건조를 위한 alginates의 점도는 350cp 이하가 되어야 하므로, alginates 용액의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첨가한 citric acid 량이 증가할수록 점도는 낮아졌으며, 또한 $0.1\%의 농도에서 150cp 이하의 점도를 나타내었다. 1-octen-3-ol과 유화제를 첨가하여 에멀젼시킨 alginates 용액의 점도는 에멀젼시키기 전의 점도보다 높았지만 150cp 이하를 나타내 분무 건조 공정에는 영향이 없었다. alginates 용액의 점도가 낮을수록 용액의 EAI는 증가하였으나 ESI는 감소하였고 캡슐의 1-octen-3-of의 잔존량이 감소하였다. alginates 용액의 점도를 낮추는 공정에서 citric acid 첨가 후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점도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에멀전 전후의 점도는 큰 차이 없었다 생송이를 알긴 산용액으로 캡슐화할 때 첨가되는 대두유의 량이 많을수록 1-oc-ten-3-ol의 잔존량이 많았다. 생송이를 alginates용액으로 캡슐화한 후 진공동결건조한 캡슐이 풍건한 것보다 1-octen-3-ol의 잔존량이 많았다.

Phytoncide 처리가 신선편이 양상추의 저장 중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toncide Treatment on the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Lettuce)

  • 김도희;김한빛;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6-172
    • /
    • 2013
  • 본 연구는 솔잎 유래의 phytoncide essential oil을 증류수에 희석한 것(1%, v/v, DP)과 식용 에탄올에 희석한 것(1%, v/v, EP), 증류수(DW) 및 식용 에탄올(EE)을 침지액으로 이용하였다. pH는 DW 처리구에서 가장 높고 EP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증류수보다는 에탄올 포함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는 phytoncide 성분이 포함된 처리구에서 낮은 pH인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산도는 EP 처리구가 가장 높고, DW 처리구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pH의 결과와 잘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총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1.60~2.23의 범위로, 에탄올이 포함된 EE 및 EP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으로 나타났으며, 포장필름 내 기체조성 분석결과, EP 처리구가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의 원리인 저산소 및 고이산화탄소 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외관, 색 및 갈변 정도에서 EP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DW 처리구가 가장 낮은 점수를 얻어 갈변 저해에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총균수는 저장 중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EP 처리구가 가장 완만한 증가율을 보여 항갈변뿐만 아니라 항균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EP 처리구는 갈변 저해 및 항균에도 효과가 뛰어나 품질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고품질 신선편이 양상추의 가공 및 유통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처리온도(處理溫度)가 크레오소오트 약액(藥液)의 목재내(木材內) 흡수(吸收)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temperatures on the absorption of creosote solution by wood)

  • 이필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21
    • /
    • 1966
  • This experiment was accomplished to study the effect affecting to the absorption of creosote solutions by treating temperatures 20, 50 and $80^{\circ}C$ when the small test pieces were treated as short timed immersion process. The test speciemen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cut into 180 pieces of $2.5{\times}2.5{\times}5cm$ size from the air dried sapwood of Righda Pine (Pinus rigida M.). They were controlled to about 8 to 9% moisture contents and measured specific gravities. Four creosote solutions of $S_1$(straight creosote), $S_2$(creosote 70% : heavy oil 30%), $S_3$(creosote 50% : heavy oil 50%) and $S_4$(creosote 30% : heavy oil 70%), and three treating temperatures of $T_1$($20^{\circ}C$), $T_2$($50^{\circ}C$) and $T_3$($80^{\circ}C$) were applied by factorial split plot design in the each treatment of 3, 7, 15, 30 and 60 minutes immer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study may be concluded briefly as follows : 1. In this immersion process the absorption effects of creosote mixtures by the increase of temperatures are recognized considerably in the each treating times. However in the straight creosote of treated solutions the effective differences were not shown but most effective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S_2$ solution. 2. Although the solutional absorptions were raised considerably by temperature increase in every treating times the absorption effects of creosote mixtures were not reached to that of straight creosote because the effects are considerably lowered if the treating solutions were mixed with heavy oil even a small quantities. 3. The relations between the creosote contents of treating solutions and the absorptions in wood are shown as Fig. 1, 2, 3, 4 and 5. In these figures the absorption curves made by higher temperature treatment $T_3$ are on the lower treatments $T_1$ and $T_2$ if the solutions were mixed with heavy oil. 4. This report is a part of the consolidated results announced at the annual meetings of Korean Forestry Association in 1964 and 1965.

  • PDF

잣기름 성분분석 및 비만 예방효과 연구 (Analysis of Pine Nut Oil Composition and Its Effects on Obesity)

  • 김경곤;강윤환;김대중;김태우;최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30-63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성분분석을 통해 품질이 확인된 PNO의 항비만효과를 세포수준에서 확인하고 기능성소재로서의 연구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PNO는 기존에 알려진 바와 같이 linoleic acid, oleic acid, pinolenic acid, 및 palmitic acid가 분석되었으며 정량을 위한 표준물질인 undecanoic acid의 함량을 기준으로 확인한 결과 linoleic acid 43.4%, oleic acid 25.7%, pinolenic acid로 예측되는 11번 unknown peak 12.8%, palmitic acid 5.2% 및 다수의 미량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다. 세포독성 실험을 통해 0.2 mg/mL 농도 까지 독성이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도 PNO보다는 용매 DMSO에 의한 독성이 관찰되었다. PNO를 이용하여 항비만 효과에 대한 잠재적 기능 및 기전을 연구하기 위해 Oil Red O staining, $PPAR{\gamma}$ 및 aP2 mRNA 발현 확인 그리고 leptin의 분비량 측정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PNO는 MDI solution 처리를 통해 분화가 유도된 mature adipocyte에서 지방적(lipid droplet) 형성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PNO가 항비만 활성에 잠재적으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PPAR{\gamma}$와 aP2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 두 유전자가 유의한 수준으로 MDI control 대비 감소하는 반면 SREBP-1c, $C/EBP{\alpha}$, glucokinase,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및 perilipin에는 영향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data not shown). RT-PCR 결과는 PNO의 처리가 지방대사 및 축적을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조절 기전에 의해 억제할 수 있음을 제시하여 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확인한 PNO의 leptin 방출유도 실험을 통해 leptin이 PNO의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방출량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Leptin은 식욕억제 효과가 있는 호르몬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는 PNO가 기존에 알려진 cholecystokinin과 glucagon like peptide-1 (GLP-1)의 분비증가를 통해 식욕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leptin의 방출을 유도하여 추가적인 식욕억제작용을 유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PNO는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우수한 식물성유지이며 기능적으로 항비만 효능을 잠재적으로 가지는 우수한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 및 소재의 개발을 위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재배 단감 과수원의 병해충 종합관리기술 (Comprehensive Pest Management Techniques of Organic Cultivation Sweet Persimmon Orchards)

  • 최덕수;마경철;고숙주;김효정;이진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445-460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단감 유기재배 선도농가의 병해충 방제 실태조사, 주요 병해충에 대한 친환경 방제자재 선발, 수립한 방제시스템의 현장실증시험을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 동안 수행하였다. 유기재배 선도농가의 주 재배품종은 "부유"였으며, 병해충 방제를 연간 9~17회 유기농업 자재를 살포하였다. 피해가 가장 심한 병해충은 탄저병, 노린재, 감꼭지나방, 깍지벌레 등이었으며, 사용한 방제자재는 결정석회황합제, 황토유황, 유화제, 보르도액 그리고 마늘, 은행, 소나무를 이용한 자가제조 식물추출물제를 이용하였다. 탄저병 방제에 효율적인 자재는 결정석회황, 황토유황이었고, 마늘유+ 시트로넬라유제, 고삼종자 추출물+차추출물제가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독나방에 효과적이었다. 감꼭지나방 교미교란트랩을 60개/10a 설치하면 감 착과율을 30% 향상시켰다. 유기재배 단감에 연간 10회 방제하는 방제시스템의 현장실증시험 결과 70.7%의 과일을 수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수확기 즈음인 9월, 10월에는 약제를 살포할 수 없기 때문에 이때 가해하는 노린재류의 피해는 감소하지 않았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