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 needle oil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Study on the Subacute Toxicity of Complex of Pine Needle Oil and Korean Medicinal Herbs against Rats

  • Park, Kap Joo;Ahn, Ki Heung;Lee, Hyung Hoan
    • 환경생물
    • /
    • 제22권4호
    • /
    • pp.513-518
    • /
    • 2004
  • Pine needle oil and Korean medicinal herbs (KMH) are known as effective therapeutic agents on various blood vessel disease. We have already reported the ameliorative effect of complex of pine needle oil and Korean medicinal herbs against hyperlipidemia. But safety and non - toxicity of pine needle oil and Korean medicinal herbs to normal animal cells have not been studied clearl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pine needle oil and Korean medicinal herbs show side effects on rat or not. These materials were administered to rats, and subacute toxicity was examined by measuring the hematological values, CBC differentiation, biochemical levels of blood (TP, total protein; albumin; ALP, alkaline phosphotase; AST, aspatate aminotrans- ferase;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T-Chol., total cholesterol; T-Bil., total bilirubin) and urine analysis, suggesting that the sample have no side effects and cytotoxic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plex of pine needle oil and Korean medicinal herbs may effective non- toxic, safety therapeutic agents on hepatocytes and hyperlipidemia.

Pine Needle Oil and Korean Medicinal Herb Complex Protect Hyperlipidemia and Liver Cell Damage Induced by Alcohol

  • Park, Kap-Joo;Kim, Kang-Sung;Ahn, Ki-Heung;Rhee, Joon-Shick
    • 환경생물
    • /
    • 제21권4호
    • /
    • pp.410-414
    • /
    • 2003
  • The effect of treatment with pine needle oil complex (complex of pine needle oil and Korean medicinal herbs) upon rat hepatocytes exposed to alcohol was investigated. We compared body weight gain and ratios of liver and kidney to body weight and the serum biochemistry of rats administered both alcohol and Pine needle oil complex to control rats treated with alcohol alone. Pine needle oil complex treatment resulted in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level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triglycerides (TG) compared to the control rats. These data suggest that Pine needle oil complex represents an excellent candidate for protection of rat hepatocytes from alcohol-mediated damage.

Fe ion과 활성산소 관련 지방산화반응에 미치는 솔잎 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 on Fe ion and Active Oxygen Related Lipid Oxidation in Oil Emulsion)

  • 김수민;조영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5-120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 on lipid oxidation and free radical reaction in iron sources reacted with active oxygen speci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 The pine needle extracts didn`t show a distinct effect on reduction of lipid oxidation if the iron ion didn`t exist in oil emulsion. The pine needle extracts played role as a strong chelating agents to bind iron ion if Ferrous iron(Fe\ulcorner) exist in oil emulsion. Ferric iron(Fe) was lower effect than Ferrous iron(Fe) on free radical reaction in oil emulsion. And also, the Fe\ulcorner reacted with pine needle extract did not show distinct effect on free radical reaction, compared to Fe\ulcorner reacted with pine needle extract. And also, Pine needle extracts reacted with H\ulcornerO\ulcorner were tended to show a low oxygen scavenging ability in case of H\ulcornerO\ulcorner only was existed, compared to those of H\ulcornerO\ulcorner + Fe\ulcorner complex. Pine needle extracts were the most powerful Fe\ulcorner binding agents, compared to other strong synthetic antioxidants such as EDTA and DTPA.

  • PDF

솔잎 향미유의 제조와 기호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Pine Needle Flavor oil)

  • 원종숙;안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9-138
    • /
    • 2001
  • 우리나라 어디서나 자생하고 있어서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고 예로부터 약용, 향료, 구급 식료품 등으로 사용되어 온 소나무잎의 일반성분과 향기성분을 분석한 후 솔잎의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autoclaving법을 사용하여 솔잎 및 솔잎분말 향미유를 제조하여 저장중의 색도 변화와 산화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실용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솔잎과 솔잎 분말의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이 각각 54.5와 8.2%, 조지방량은 4.9와 8.1%, 조단백질량은 1.4와 2.9%, 조회분은 0.8과 2.3%, 조섬유는 2.3과 4.9%, 탄수화물은 36.2와 73.7%였다. 2. 옥배유를 기질로 하여 제조한 솔잎 향미유의 산패도는 솔잎과 솔잎분말로 만든 솔잎 향미유들의 유도기간이 솔잎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유의 유도기간보다 각각 1.1 및 1.2배 증가되어 산패 억제가 인정되었으며 그 효과는 솔잎보다 솔잎분말로 제조된 향미유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3. 솔잎향미유의 저장중 색도의 변화는 기기적인 수치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육안적으로는 PNO(pine needle falvor oil)는 저장에 따라 투명해지는 반면 PPNO(flavor oil from powdered pine needle)는 혼탁해짐을 알 수 있었다. 4. 솔잎 분말 향미유에서 33종의 향기 성분들이 분리되었으며 주 된 성분은 $\alpha$ -pinene 20. 1ppm(31.1%), pentane 6.4ppm(9.8 %), tricyclene 4.8ppm(7.5%) camphene 4.4ppm(6.8%), hexanal 4.0ppm(6.2%), propane 3.9ppm(6.0%), $\beta$ -pinene 3.6ppm (5.6%), limonene 2.5ppm(3.9%)등 8종이었으며, 이들 주요성분의 총량은 49.6ppm으로 전체 검출량의 76.8%를 차지하였다. 5. 솔잎 분말 향미유를 송편 제조시 솔잎 향을 주는 참기름의 대체 기름으로 사용가능성의 관능 검사 결과, 기호성이 낮았으나 솔잎 분말 향미유와 참기름을 1 : 1v/v로 혼합한 경우는 기호도가 참기름과 거의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5). 또한, 이 혼합유에 대해서 정량적 묘사검사를 실시한 결과 참기름의 고소한 향과 맛, 솔잎 분말 향미유의 솔잎향과 맛 등과 같은 특성들을 비교적 강한 것으로 인지(p<0.01)되어 송편의 맛과 향을 줄 수 있는 참기름대체 향미유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Ameliorative Effect of Pine Needle Oil on Liver Protection and Lipid Metabolism of Alcohol Fed Rats

  • Lee, Jae-Seok;Ahn, Ki-Heung;Park, Kap-J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99-101
    • /
    • 2005
  • The effect of treatment with pine needle oil upon rat hepatocytes exposed to alcohol was investigated. The body weight gain, ratio of liver and kidney to body weight, and serum biochemistry of rats administered both alcohol and pine needle oil were compared to control rats treated with alcohol alone. Normal untreated control rats, negative control rats with ethanol treatment, positive control rats with both alcohol and the commercially available hangover cure solution (HCS) treatment and the test group with both alcohol and pine needle oil treatment exhibite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levels of $84.43{\pm}47.88\;U/L$, $254.57{\pm}463.20\;U/L$, $70.29{\pm}12.60\;U/L$ and $67.00{\pm}5.06\;U/L$, respectively, and cholesterol levels of $95.71{\pm}6.86\;mg/dl$, $113.80{\pm}38.19\;mg/dl$, $91.57{\pm}6.30\;mg/dl$ and $82.29{\pm}4.98\;mg/dl$, respectively.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levels were $44.00{\pm}9.04\;U/L$ in normal untreated control rats, increased to $215.43{\pm}428.93\;U/L$ with the administration of ethanol, but interestingly were significantly reduced to $37.83{\pm}6.57\;U/L$ in the test group (p<0.05). Triglyceride (TG) levels were $39.57{\pm}8.62\;mg/dl$ in normal untreated rats, increased to $73.71{\pm}61.20\;mg/dl$ in rats administered alcohol, but were reduced to $26.14{\pm}4.82\;mg/dl$ in the test group (p<0.0l). The pine needle oil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s of AST, ALT and TG compared to the control ra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ine needle oil can positively mediate the effects of alcohol on hepatocytes and general liver functions.

율피, 솔잎, 호프의 아세톤 추출물의 항산화작용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cetone Extracts of Chestnut Inner Shell, Pine Needle and Hop)

  • 오승희;김용욱;김명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99-406
    • /
    • 2004
  • 율피, 솔잎, 호프로부터 70% 아세톤 추출물을 획득하여 대두유, 돈지, 대두유 유탁액, 돈지 유탁액에 대한 항산화력을 토코페롤과 비교하였다. Rancimat의 유도기간에 따른 항산화력 비교에서는, 대두유에서는 솔잎>율피>호프>토코페롤>무첨가구, 돈지에서는 토코페롤>율피>솔잎>호프>무첨가구로서 항산화력이 있었다. Peroxide value의 측정을 통한 항산화력 비교에서는, 대두유나 대두유 유탁액, 돈지나 돈지 유탁액에서 이들 세 추출물은 같거나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며, 율피가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폴리페놀화합물의 분석결과, 율피 추출물에는 ellagic acid가 솔잎 추출물에는 flavanol이 항산화력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형 당뇨 마우스에서 솔잎 추출용액의 경구투여가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 Oil on Blood Glucose and Serum Insulin Levels in db/db Mice)

  • 김미정;안진홍;최강호;이윤학;우경진;홍은경;정영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21-327
    • /
    • 2006
  • 본 연구는 솔잎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생산한 솔잎 추출용액을 2형 당뇨 마우스인 db/db mice에게 투여하여 솔잎 추출용액의 혈당강하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30{\sim}40g$정도의 6주령 수컷 C57BL/Ksj(BL/Ls) homozygous diabetic(db/db) mice(SPF)를 음성대조군(corn oil), 솔잎 추출용액 저용량군(112.5 mg/kg), 고용량군(450 mg/kg) 및 양성대조군(metformin 150 mg/kg)의 4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시험물질을 경구 투여하였다. 6주 사육기간 동안 혈당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매주 1회씩 6시간 공복 시 미정맥으로부터 혈당을 측정하였으며, 6주 실험종료 후 모든 동물은 희생시킨 후 복대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당화혈색소(HbAlc), 혈청 인슐린, C-peptide 및 leptin 농도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식이섭취량은 솔잎 추출용액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양성대조군은 섭취량의 변화가 없었고, 1일 1마리당 평균섭취량은 고용량군이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섭취량을 보였다. 체중은 군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간 무게와 상대적 간 무게는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솔잎 추출용액 고용량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혈당은 솔잎 추출용액 고용량군에서 실험개시 3주부터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최종 혈당은 저용량과 고용량군 모두 음성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아졌고, 용량 의존적인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당화혈색소의 함량 역시 솔잎 추출용액 고용량군에서 음성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혈청 인슐린과 C-peptide농도는 솔잎 추출용액의 투여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솔잎 추출용액이 인슐린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혈청 leptin 농도는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음성대조군에 비해 솔잎 추출용액 투여군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혈당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솔잎 추출용액의 혈당강하 효과의 작용기전으로 leptin과 관련된 인슐린 감수성에 영향을 미첬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 사용한 112.5 mg/kg 및 450 mg/kg의 솔잎 추출용액은 6주 경구투여 시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냈으며, 인슐린의 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솔잎 추출용액의 혈당강하 효과의 작용기전이 인슐린의 감수성이나 저항성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가 앞으로 솔잎 추출용액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솔잎분말을 첨가한 소시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 with Added Pine Needle Powder)

  • 권순용;신명은;이경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57-364
    • /
    • 2012
  •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 with added pine needle powder (0%, 0.5%, 1.0%, 1.5%, 2.0%, and 2.5%) as an ingredient. The basic ingredients of sausage consisted of pork meat 60%, olive oil 20%, and ice water 20%. Sensory properties of sausage were analyzed by a sensory test, and the texture and color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using a texturometer and color meter, respectively. In the results of the sensory test,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were highest in the sample with added 1.5% pine needle powder. The sausage with added 1.5% pine needle powder was moderate in color intensity, pine needle flavor, and astringent taste. Hardness and gumminess of sausage were higher in 1.0% and 1.5% pine needle powder. However, springness and chewiness of sausag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color intensity of sausage, L-value and a-value were lower and b-value was higher, depending on the pine needle powder amount. Development of off-flavor of sausage during storage was greater in 0% and 1.5% added sausages than in 2.0% sausage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As a conclusion, sausages with added 1.5% and 2.0% pine needle powder were the most suitable for making functional sausage with added pine needle powder.

솔잎 추출물의 기능적 특성과 대두유 산화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 (Functional Properties of Pine Needle Extract and Its Antioxidant Effect on Soybean Oil)

  • 정갑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139-1146
    • /
    • 2008
  •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and the antioxidant effect of pine needle(Pinus densiflora), the pine needle extract was obtained with methanol and its functionality was measured by spectrophotometric method, and the antioxidant experiment on soybean oil was carried out by the active oxygen method. The extraction yield of pine needle with 99% methanol was about 19%,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the pine needle-methanol extract was 11.32 mg/g on dry basis and the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was 94.3%.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he extract was pH dependent with the values of 77.44% at pH 1.2, 48.45% at pH 3.0 and 11.04% at pH 6.0, respectively. The peroxide value was 92.6 meq/kg at 5% dosage, 138.4 meq/kg at 2% dosage of the extract on 8 oxidation days. The period of the peroxide value to be 100 mg/kg was 4.9, 6.3 and 8.5 days at control, 2% and 5% dosage of extract, respectively. And the relative antioxidant effectiveness of the extract was 27.9% and 72.3% increase at 2% and 5% dosage,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The thiobarbituric acid value showed few differences within 4 oxidation days, but with the dosage of the extract it fairly decreased with considerable antioxidant effect to control above 4 days.

솔잎추출유의 산화 안정성 및 추출유를 이용한 맛김의 관능적 평가 (Oxidative Stability of the Pine Needle Extracted Oils and Sensory Evaluation of Savored Laver Made by Extracted Oils)

  • 정혜경;최창숙;이지현;장문정;강명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9-95
    • /
    • 2003
  • 생· 찐솔잎에 콩기름과 올리브유를 첨가하여 추출한 솔잎추출유의 저장기간에 따른 산패도를 측정하였고 솔잎추출유를 김에 발라 제조한 맛김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장기간에 따른 중량변화 측정 결과, 콩기름은 14일째 생 찐 솔잎추출유는 21일째 생 찐 올리브유 솔잎추출유는 14일부터 중량이 서서히 증가하여 28일에 중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TBARS 생성량도 저장기간 14일째 콩기름에 비해 콩기름에 생 찐 솔잎을 첨가할 경우 TBARS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28일째 올리브유도 생 찐솔잎을 첨가할 경우 TBARS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3. 지방산 산화의 2차 생성물은 aqueous layer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였고 특히 14일째에 다른 추출유에 비해 콩기름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organic layer는 저장기간 14일째 콩기름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솔잎을 첨가할 경우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리브유의 경우도 솔잎을 첨가한 올리브 솔잎 추출유에서 2차 생성물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제조된 생 찐 솔잎 추출유를 김에 발라 7점 기호척도법을 이용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향, 맛 그리고 전반적인 기호도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솔잎추출유를 김에다 바를 경우 거부감을 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 솔잎에 콩기름과 올리브유를 첨가하여 추출한 솔잎추출유는 원유보다 산화에 대해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이용한 맛김도 좋은 것으로 평가되어 솔잎추출유의 식품에 이용 가능성이 시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