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g iron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2초

철분 투여한 돼지에서 비타민 C의 항산화 작용 (Antioxidant activity of vitamin C in iron-overloaded swine plasma)

  • 임동주;송호철;박전홍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05-310
    • /
    • 2001
  • Iron deficient anemia in piglets could be overcome by supplementary iron. Overloaded iron induced peroxidation of cell membrane and increased malonaldehyde (MDA). Antioxidant activity of vitamin C has been studied in iron-overloaded swine plasma. Erythrocyte fragility, MDA, glutathione, vitamin A, and vitamin E were measured in swine plasma with or without iron (0~1mg/dl) and vitamin C (0~10mg/dl). Erythrocyte fragility increased from 8% to 45% in iron group and reduced from 57% to 43% in vitamin C group with dose dependant response. MDA was $0.94{\pm}0.05$ and $1.86{\pm}0.10$ nmol/ml in piglet and pig, respectively, and significantly high in pig (p<0.05). Iron increased MDA from $1.86{\pm}0.10$ to $9.46{\pm}0.04$ nmol/ml in pig, but not in piglet (p<0.05). Vitamin C reduced MDA from $9.46{\pm}0.04$ to $4.80{\pm}0.10$ nmol/ml in pig. Iron increased glutathione from $90.12{\pm}0.10$ to $108.52{\pm}5.29$ nmol/dl in pig, and vitamin C reduced glutathione from $108.52{\pm}5.29$ to $93.52{\pm}2.44$ nmol/dl (p<0.05). Vitamin A and E were $24.86{\pm}2.70$ to $138.29{\pm}6.70{\mu}g/dl$, respectively in iron group, and $35.76{\pm}0.60$ to $177.21{\pm}2.95{\mu}g/dl$, respectively in supplementary vitamin C group (p<0.05). These data indicated an antioxidant activity of vitamin C in iron-overloaded swine plasma.

  • PDF

탄소열환원 반응에 의한 동제련슬래그로부터 주철용 선철 제조 연구 (Fabrication of Casting Pig Iron from Copper Smelting Slag by Carbothermic Reduction)

  • 최무성;최동현;왕제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8권3호
    • /
    • pp.59-67
    • /
    • 2019
  • 본 연구는 동제련슬래그 내에 존재하는 Fe와 Cu의 동시 환원을 통해 주물용 선철을 제조하고, 선철 제조 시 황 함량 저감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Roasting 실험은 실험온도 $500^{\circ}C$, $700^{\circ}C$, $900^{\circ}C$ 온도 조건에서 1시간에서 9시간까지 2시간 간격으로 시간을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진행 하였다. 산소분압에 따른 실험은 산소분압 0.5, 0.8, 1.0, 실험 온도는 $900^{\circ}C$, 유지시간 30분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Roasting 및 산소분압에 따른 황 저감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첨가제로 CaO를 사용하여 첨가량 15 % 이상부터 S 성분 함량은 0.001 wt% 이하로 확인되었다. 반응온도에 따른 선철 및 슬래그 분리 실험의 조건은 $1300^{\circ}C{\sim}1600^{\circ}C$까지의 온도조건에서 유지시간 30분, Ar 가스 분위기에서 진행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른 선철 및 슬래그 분리 실험의 조건은 유지시간 5 ~ 25분까지 5분 간격, 반응온도 $1600^{\circ}C$, Ar가스분위기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1600^{\circ}C$, 30분 유지 환원 조건에서 선철의 회수율이 가장 높았다.

고양 벽제 제철 유구 출토 철기의 분석을 통한 제철방법 연구 (A Study on Iron-manufacture Method through Analysis of Ironware excavated from Byeokje, Goyang)

  • 임주연;김수기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67-376
    • /
    • 2012
  • 철기 생산 기술은 당시 사회 발전을 가늠하는 척도로서 과거의 제철 방법을 이해하기 위한 철기 유물의 미세조직과 개재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려시대로 추정되는 고양 벽제 제철 유구에서 일괄로 수습된 철제 유물의 시편을 채취하여 광학현미경과 미세경도시험기, SEM-EDS를 이용하여 미세 조직의 성분분석을 통해 제철과 제련 기술을 추론하여 보았다. 연구결과 철괴는 주철괴와 탄소강 철괴로 분류되었다. 주철괴의 경우 백주철 조직과 인(P)의 함량이 높은 회주철 조직으로 분류되었으며 회주철 내 높은 P의 함량은 석회질 등의 융제가 첨가되며 혼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주철 조직의 철괴 및 고탄소강 철괴는 제련공정을 거치지 않은 선철들로 추정된다. 또한 철기 제작에는 크게 두가지 방법이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첫번째는 주물에 주철을 부어 제작하는 주철괴 제작 방법이며, 두번째는 선철의 제련 공정을 통하여 생산되는 탄소강을 제작하는 방법이다. 특히 탄소강의 고른 강 조직과 적은 양의 MnS 개재물은 현대 제철 조직과 매우 유사한 특징을 지니나 고양 벽제 제철유구에서 수습된 탄소강 내 Mn의 함유에 대하여 판단하기에는 좀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주철의 제강공정을 통한 고탄소강의 생산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용선슬래그를 활용한 고화토의 역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Mechanical Properties of Solidified soil using Pig Iron Slag)

  • 양철진;배준석;변호석;이강휘;이종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10
    • /
    • 2018
  • 제철 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용선 슬래그를 재활용하여 활성제를 융합한 표층처리공법용 고화재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은 폐기 또는 매립되는 제철소의 용선 슬래그를 재활용하여 자원 순환 및 고화재의 기능성을 부여하고 토양의 유실, 침하, 싱크홀 등의 기초지반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하여 표층토양의 문제점 해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용선슬래그 및 활성재를 융합한 고화재를 가지고 압축강도, 유해물질용출시험, 투수계수 시험을 통해 용선슬래그의 고화재 원료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압축강도 시험 결과 고화재 혼합률이 12%인 고화토의 양생 28일 강도의 값이 각각 0.93, 0.96, 1.3MPa의 값으로 본 연구 개발 고화재의 소요강도 값인 1MPa에 만족하는 값을 나타내었으며, 투수계수의 경우에는 고화재 혼합률 12%에서 각각 $4.1{\times}10^{-8}$, $7.0{\times}10^{-7}$, $1.7{\times}10^{-7}cm/sec$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유해물질용출시험 결과 6가 크롬 항목에서 미소량 검출되었지만 함유기준을 만족하였으며, 나머지 항목에서는 중금속이 용출되지 않았다.

경상지역 제철유적의 산지추정 연구: 암석기재학 및 지화학적 접근 (A Provenance Study of Iron Archaeological Sites in the Gyeongsang Province: Petrographic and Geochemical Approaches)

  • 조재국;김서진; 한지선;김수경;신동복;곽병문;홍주현;유병용;임진아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4호
    • /
    • pp.475-499
    • /
    • 2023
  • 경상지역 제철유적의 원료산지 추정을 위해 제철시료와 주요 철광상 철광석을 대상으로 암석기재학 및 지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 지역에서 발굴된 제철유적 시료는 제련공정 단계에 따라 원료철광석, 괴련철, 괴련철슬래그, 선철, 선철슬래그, 단조박편, 단야철, 철정 및 화살촉으로 분류되었고 각각 상이한 구성광물과 조직을 보였다. 또한 슬래그를 구성하는 규산염광물에서의 알루미늄 및 칼슘 등의 주원소 성분의 농집과 제철유물에서 니켈 및 구리 등의 미량원소 함량이 높은 것은 원료철광석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잠재적인 제철원료의 산지추정인자로 여겨진다. 특히 제철유적 시료의 납-스트론튬 동위원소비는 크게 1) 원료철광석과 유사한 조성을 보이는 경우, 2) 스트론튬 동위원소비가 부화된 경우, 그리고 3) 납-스트론튬 동위원소비 모두 부화된 경우로 구별되며 이러한 동위원소비 특성은 고온의 제련공정 과정에서 첨가된 특정 조재제와의 혼염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첨가물이 제련과정에 미치는 잠재적인 기여 측면에서 경상지역 제철유적의 산지추정 해석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개의 비장에서 분리한 페리틴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Ferritin Isolated from Dog Spleen)

  • 박재학;전도연;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39-446
    • /
    • 2005
  • 페리틴은 생체 내 주요 철 저장 단백질로서 포유류에서 세균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생명체에 존재한다. 페리틴 분자는 $18\~22 kDa$의 단량체 24개가 결합된 약 240 kDa분자량을 지닌 거대분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의 비장에서부터 열처리, 염석,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그리고 한외여과 등의 방법으로 페리틴을 정제한 후, 그 전기영동상의 특성 및 면역화학적 특성을 말, 소, 돼지 등의 비장 유래 페리틴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정제방법에 의해 개의 비장으로부터 페리틴의 양은 비장 1g당 약$84{\mu}g$이었다. 정제된 개 페리틴의 철 함량은 $22.7\%$로서 함께 비교 검토한 다른 동물 유래의 페리틴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개 페리틴의 비변성 겔에서의 이동상은 소페리틴과 유사하였고, 변성 겔에서는 돼지 및 말의 페리틴과 유사하였다. SDS-PACE상에서 나타난 개 페리틴 subunit의 분자량은 19.5kDa이였으며 이때 SDS-PACE상의 ferritin subunit은 철과 결합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 페리틴의 면역화학적 특성을 다른 동물유래의 페리틴과 비교하고자, 개의 페리틴에 대한 다클론 항체를 쥐에서 생산하였다. 생산된 항-페리틴 항체를 이용하여 Ouchterlony doulbe immunodiffusion방법으로 개, 소, 말, 돼지 페리틴들을 항원으로 항원-항체반응을 조사한 결과, 항-개 페리틴 항체가 소, 말, 돼지의 페리틴과도 항원-항체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 소, 말, 돼지 페리틴들이 항원적 동일성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한다. 항-개 페리틴 항체를 이용하여 타 동물 유래의 페리틴에 대한 Western blot analysis를 시도한 결과, 항-개 페리틴 항체가 개 페리틴 및 돼지 폐리틴에는 강하게 반응하였으나 말과 소 유래의 페리틴에 대해서는 비교적 약하게 반응하여, 개의 페리틴이 면역화학적으로 돼지 페리틴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개의 페리틴에 대한 생화학적 및 면역학적 특성을 제시한다.

The strategies for the supplementation of vitamins and trace minerals in pig production: surveying major producers in China

  • Yang, Pan;Wang, Hua Kai;Li, Long Xian;Ma, Yong Xi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8호
    • /
    • pp.1350-1364
    • /
    • 2021
  • Objective: Adequate vitamin and trace mineral intake for pigs are important to achieve satisfactory growth performance. There are no data available on the vitamin and trace mineral intake across pig producers in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describe the amount of vitamin and trace minerals used in Chinese pig diets. Methods: A 1-year survey of supplemented vitamin and trace minerals in pig diets was organized in China. A total of 69 producers were invited for the survey, which represents approximately 90% of the pig herd in China. Data were compiled by bodyweight stages to determine descriptive statistics. Nutrients were evaluated for vitamin A, vitamin D, vitamin E, vitamin K, thiamine, riboflavin, vitamin B6, vitamin B12, pantothenic acid, niacin, folic acid, biotin, choline, copper, iron, manganese, zinc, selenium, and iodin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functions in Excel.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variation for supplemented vitamin (vitamin A, vitamin D, vitamin E, vitamin K, vitamin B12, pantothenic acid, niacin, and choline) and trace minerals (copper, manganese, zinc, and iodine) in pig diets, but most vitamins and trace minerals were included at concentrations far above the total dietary requirement estimates re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and the China's Feeding Standard of Swine. Conclusion: The levels of vitamin and trace mineral used in China's pig industry vary widely. Adding a high concentration for vitamin and trace mineral appears to be common practice in pig diets. This investigation provides a reference for supplementation rates of the vitamins and trace minerals in the China's pig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