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5초

전통 민속주의 생리기능성 탐색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in Korean Traditional Liquors)

  • 김재호;이대형;최신양;이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8-122
    • /
    • 2002
  • 전통 민속주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리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이들의 조단백질 함량은 $0.15{\sim}10.97%$이었고 pH는 $3.5{\sim}5.0$이었으며 경기도 YA 민속주가 약 14%의 당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ACE 저해 활성은 전라도 SO-주가 87.2%로 가장 높았고 혈전 용해활성은 경기도 HO-주가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은 각각 충청도 SA-주 85.5%와 경기도 OK-주 70.7%이었으며 tyrosinase 저해 활성은 경상도 KO-주와 전라도 TO-주 및 경기도 CH-주에서 높았으며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전라도 TO-주에서 높았다.

Saccharomyces cerevisiae 로부터 Tyrosinase Inhibitor 의 생산 (Production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 장인택;김영헌;강민구;이성훈;임성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0-64
    • /
    • 2012
  • 한국식품연구원으로부터 분양받은 효모 49종과 곰팡이 34종등 총 83종의 진균류들의 PD broth 배양 농축물들의 생리 기능성을 측정 하였다. 효모 배양 농축물중에서는 Saccharomyces cerevisiae Y277-3 과 Saccharomyces cerevisiae Y157-1 의 PD broth 배양 농축물들의 tyrosinase 저해활성이 각각 42.7%와 41.2%로 생리기능성중 제일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곰팡이 배양 농축물에서는 Aspergillus oryzae CN20-3-1-4 배양 농축물의 항산화 활성이 15.8%로 가장 높았으나 대체로 낮은 생리기능성을 보였다. 시험 진균류들의 생리기능성중 가장 높았던 Saccharomyces cerevisiae Y277-3 의 세포내 tyrosinase 저해물질은 이 효모를 PD broth 에 접종하여 $30^{\circ}C$에서 24시간 배양 하였을때 가장 많이 생산 되었다.

Saccharomyces cerevisiae와 Kluyveromyces fragilis 및 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발효로 제조한 배 유과 발효제품의 생리기능성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Fermented Pear Fruitlet Product Made by Mixed Ferment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Kluyveromyces fragil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 장인택;김영헌;나광출;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3-37
    • /
    • 2013
  • 배 유과를 이용하여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생리기능성 배 유과 시제품을 개발하고자 냉동배 유과를 해동하여 건조시킨 후 Saccharomyces cerevisiae, Kluyveromyces fragilis 및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혼합발효시켜 배 유과 발효 시제품을 제조한 다음 이들의 주요 생리기능성을 조사하였다. 배 유과 발효 시제품은 87.4%의 높은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을 보였고 항산화 활성도 69.6%로 높았다. 또한, 냉동 배 유과를 $20^{\circ}C$에서 해동시키고 효모와 젖산균으로 혼합발효 시켜 제조한 배 유과 발효 시제품이 $40^{\circ}C$ 해동 후 S. cerevisiae나 Bacillus subtilis로 단독발효 시킨 시제품보다 항고혈압활성과 항산화활성 등이 더 높았다.

맥문동(청심, 맥문동 1호)의 영양특성 및 생리 기능성 (Nutritional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Liriope Tuber (Cheongsim and Liriope Tuber No. 1))

  • 송정화;강민구;김나미;이종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78-483
    • /
    • 2011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Liriope tuber for development of new bioactive compound from Liriope tuber. Crude protein and carbohydrate contents of Chenogsim were 9.25% and 77.98%, respectively and crude protein, 9.86% and carbohydrate, 79.08% were also contained in Liriope tuber No.1. Both of Liriope tubers were showed very high contents of sucrose (Cheongsim; 4.08%, Liriope tuber No.1; 4.91%), oxalic acid (0.98%, 0.86%) and glutamic acid (3.736 g/100 g, 4,196 g/100 g). Among several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ere showed very high 86.4% in Cheongsim and 82.02% in Liriope tuber No.1, respectively.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ted radish extract

  • Kim, Hyun-K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2호
    • /
    • pp.38-46
    • /
    • 2018
  • This study proceeded an experiment that can increase such physiological properties of heated radish extract. During the extraction of radish, including the byproduct, an increase in antioxidant properties of radish according the heating temperature was performed. Upon the extracts of radish bark and radish green extract(mucheong),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color of radish ethanol extract in dependence of heating temperature, showed light brown color at low heating temperature and black color from $150^{\circ}C$.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significantly increased as a result of heat treatment; 6.7 times and 22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at $110^{\circ}C$ and $150^{\circ}C$,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antioxidant property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ing temperature; in comparison to heat-treated radish at $110^{\circ}C$ and $150^{\circ}C$, $IC_{50}$ decreased by 1/22 times. $IC_{50}$ of the control was 23times higher than $150^{\circ}C$ heat treated radish (Control $IC_{50}$:130.305). According to the graph that represents ABTS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increased in dependence of heat treatment likewise to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D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pon heat treatment at $150^{\circ}C$, antioxidant activity in consequence of ABTS assay increased 23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시판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과 젖산균 함량 및 생리기능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ctic Acid Bacteria Content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Korean Commercial Makgeolli)

  • 김영헌;민진홍;강민구;김재호;안병학;김하근;이종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5-332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막걸리의 우수성을 발굴하고자 60종의 시판 생 막걸리와 저온살균 막걸리를 수집하여 이들의 주요 이화학적 성질과 젖산균 및 항고혈압활성 등의 생리기능성을 조사하였다. 생 막걸리의 에탄올 함량은 3.6%~9.6% 이었고 이들의 잔당 함량은 0.20%에서 4.52%,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3.50~101.9 mg%로 다양하였다. 저온살균 막걸리의 경우 에탄올 함량은 4.0%~7.0%로 생 막걸리와 비슷하였으나 잔당함량은 0.98%~7.57%로 생 막걸리보다 높았다. 또한 시판 생 막걸리의 젖산균 생균수는 평균 $2.0{\times}10^8$ CFU/mL 이었다. 여러가지 생리기능성 중 시판 EDS-14 생 막걸리와 PWR-12 저온살균 막걸리의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이 각각 89.0%와 87.0%로 매우 높았으나 여타의 생리기능성은 30% 미만으로 낮았다. 또한 ${\beta}$-Glucan 함량은 생 막걸리와 저온살균 막걸리가 각각 건조고형물 g당 평균 14.1%와 14.6%을 보였다.

Juxtacrine regulation of cellular senescence

  • Narita, Masashi
    • BMB Reports
    • /
    • 제52권1호
    • /
    • pp.3-4
    • /
    • 2019
  • Cellular senescence is defined as a state of stable cell cycle exit in response to various stimuli, which include both cytotoxic stress and physiological cues. In addition to the core non-proliferative aspect, senescence is associated with diverse functionalities, which contribute to the role of senescence in a wide range of pathological and physiological processes. Such functionality is often mediated by the capability of senescent cells to communicate with their surroundings. Emerging evidence suggests that senescence is not a single entity, but a dynamic and heterogeneous collective phenotype. Understanding the diverse nature of senescence should provide insights into the complexity of tissue homeostasis and its disruption, such as in aging and tumorigen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