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 Cleaning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37초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cleaning method in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of digested livestock wastewater

  • Kim, Sewoon;Park, Ki Young;Cho, Jinwoo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8권2호
    • /
    • pp.113-123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physical and chemical cleaning methods on the initial flux recovery of fouled membrane in membrane distillation process. A laboratory scale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DCMD) experiment was performed to treat digested livestock wastewater with 3.89 mg/L suspended solids, 874.7 mg/L COD, 543.7 mg/L nitrogen, 15.6 mg/L total phosphorus, and pH of 8.6. A hydrophobic PVDF membrane with an average pore size of $0.22{\mu}m$ and a porosity of 75 % was installed inside a direct contact type membrane distillation modul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feed and permeate side was maintained at $40^{\circ}C$ with the feed and permeate stream velocity of 0.18 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meate flux decreased from $22.1L{\cdot}m^{-2}{\cdot}hr^{-1}$ to $19.0L{\cdot}m^{-2}{\cdot}hr^{-1}$ after 75 hours of distillation. The fouled membrane was cleaned first by physical flushing and consecutively by chemicals with NaOCl and citric acid. After the physical cleaning the flux was recovered to 92 % as compared with the initial clean water flux of the virgin membrane. Then 94 % of the flux was recovered after cleaning by 2,000 ppm NaOCl for 90 minutes and finally 97 % of flux recovered after 3 % citric acid for 90 minutes. SEM-EDS and FT-IR analysis results presented that the foulants on the membrane surface were removed effectively after each cleaning step. The contact angle measurement showed that the hydrophobicity of the membrane surface was also restored gradually after each cleaning step to reach nearly the same hydrophobicity level as the virgin membrane.

물리치료실의 질 향상(QI)을 위한 내원 환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tients' satisfaction for quality improvement of Physical Therapy service)

  • 권춘숙;한동욱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83-49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quality improvement with physical therapy service and determining the factors affecting patients' satisfaction. The study subjects were ambulatory and admitted patients treated with physical therapy at B general hospital located in Taejon from July 15, 2000 to July 21. Authors developed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distributed it to each physical therapist of B general hospital. Total number of distributed questionnaire was 164, and 157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and analysed finally. Demand of physical therapy for quality improvement(QI) related to treatment time(r =0.746, P<01), treatment method(r =.664, P<.01). treatment effect(r=0.648, P<.01), equipments(r=0.620, P<.01), cleaning status(r =0.619, P<.01). Willingness to revisit and recommendation of this physical therapy room related to treatment method(r=0.489, P<.01), treatment time(r=0.469, P<.01), cleaning status(r=0.432, P<.01).

  • PDF

세척 후 수침고목재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 (Altera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s After Cleaning)

  • 차미영;이광호;김윤수
    • 보존과학회지
    • /
    • 제19권
    • /
    • pp.19-30
    • /
    • 2006
  • 저습지에서 출토된 상수리나무를 재료로 세척에 따른 수침고목재 내 이물질의 제거 효과와 물리 화학적 특성 변화를 파악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침고목재에 나타나는 대부분의 무기성분은 수침고목재가 매몰된 토양환경의 성분과 거의 동일하였다. 보존처리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세척방법 즉, 도구법, 탈기법, EDTA법 및 초음파세척법을 적용하여 독립적 혹은 연속적 방법으로 수침고목재를 세척하였다. 독려세척의 경우 도구법에 의해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었고, EDTA 처리에 의해 표면 색상이 밝아졌다. 그러나 탈기법과 초음파에 의한 세척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속 세척의 경우 1단계 세척(도구법)은 독립세척과 동일한 효과를 얻었으며, 2단계 세척인 탈기법은 수침고목재 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했다. 탈기법이 무기물의 제거에는 적절하지 않았지만, 탈기 후 수침고목재가 균일화되어 치수안정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은 결코 무시할 수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3단계 EDTA처리는 수침고목재 내의 철분(Fe)을 제거함으로써 수침고목재의 색상이 밝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4단계 세척은 3단계 세척시 목재 내에 잔류한 약품(Na)과 미세 이물질의 제거에 효과적이었다.

  • PDF

2,2,2-trifluoroethanol (TFEA)를 기초로한 세정제의 물성 및 세정성 영향 연구 (Physical Properties and Cleaning Ability of New Cleaning Agents Based on 2,2,2-trifluoroethanol (TFEA))

  • 차안정;박지나;김홍곤;배재흠
    • 공업화학
    • /
    • 제16권4호
    • /
    • pp.533-541
    • /
    • 2005
  • 2,2,2-trifluoroethanol (TFEA)과 hydrofluoroether (HFE)를 혼합하여 비수계 세정제를 제조하고 이들의 혼합비에 따른 물성과 세정성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TFEA를 기초로 하고 비이온 계면활성제, 가용화제와 빌더를 첨가한 수계 세정제를 제조하고 이들의 세정능력을 비교하여 CFC-113, 1,1,1-TCE에 대한 대체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오염 물질로 수용성이거나 친수성, 지용성이거나 친유성인 각기 다른 플럭스, 절삭유, 그리스, 불소계 오일 등을 선정하고, 세정시간에 따른 오염물질의 중량변화를 비교하여 각 세정제의 세정능력을 비교함으로써 대체세정제로서의 TFEA를 기초로 한 세정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TFEA와 HFE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비수계 세정제는 플럭스와 불소계 오염물에 우수한 세정성을 보여주었지만 그리스 세정에서는 세정성이 떨어졌다. 이에 비하여 TFEA를 기초로 하고 비이온 계면활성제, 가용화제, 빌더 등을 첨가하여 제조한 수계세정제는 일정한 배합 조건에서 플럭스와 그리스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TFEA를 기초로 한 수계 및 비수계 세정제는 특정 오염물질에 대하여 좋은 세정력을 보여 주어 CFC-113, 1,1,1,-TCE 등의 대체세정제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계면활성제 무첨가 세정제의 배합 및 물성/세정성 평가 연구 (A Study on Formulation of Surfactant-free Aqueous Cleaning agents and Evaluation of Their Physical Properties and Cleaning Ability)

  • 이재령;윤희근;이민재;배재흠;배수정;이호열;김종희
    • 청정기술
    • /
    • 제19권3호
    • /
    • pp.219-22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계면활성제에 의한 수계 세정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친환경적이고 계면활성제가 없는 수계세정제 개발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자 부품 세정대상의 주 오염물인 플럭스(flux)에 대해 용해력이 있고 수용성인 propylene glycol과 propylene glycol alkyl ether계 용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여러 첨가제를 가하여 수계 surfactant-free 세정제 S-1, S-2를 배합하였고, 이들 개발세정제와 비교대상의 수계 surfactant-free 수입 세정제의 물성을 측정하여 세정성능을 예측하고 오염물인 플럭스와 솔더(flux and solder) 대하여 중량법을 이용한 초음파 세정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물성 측정 결과 비교대상 세정제인 수입세정제 V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배합세정제 S-1과 S-2의 세정제와 전반적으로 비슷한 결과 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대상 세정제 V와 배합세정제 모두 원액을 희석함에 따라 pH가 저하되다가 다시 상승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습윤지수값은 세정능력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양한 초음파 주파수(28, 45, 100 kHz)를 사용한 세정성 평가 실험 결과에서 솔더(solder)의 세정은 주파수 45 kHz에서 세정 성능이 가장 좋게 나타났고 플럭스(flux)의 세정 성능 결과는 실험 대상의 모든 세정제가 주파수 28 kHz에서 세정 성능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희석하지 않은 원액세정제의 플럭스 및 솔더(flux and solder) 세정의 경우 배합세정제 S-1, S-2 모두 수입세정제 V보다 빠른 세정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수입세정제 V의 권장 사용농도인 25%에서는 수입 세정제 V가 배합세정제 보다 초기 세정효율이 좋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결과를 가지고 판단할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배합세정제 S-1, S-2는 충분히 산업현장의 플럭스 및 솔더(flux and solder) 세정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Flux, Solder 및 Grease 세정용 CFC 대체 비수계 세정제 배합 연구 (Formulation of Alternative Non-Aqueous Cleaning Agents to Chlorofluorocarbon Compounds for Cleaning Flux, Solder and Grease)

  • 정용우;이호열;이명진;송아람;배재흠
    • 청정기술
    • /
    • 제12권4호
    • /
    • pp.250-258
    • /
    • 2006
  • CFC-113과 1,1,1-trichloroethane 등과 같은 CFC 화합물은 화학적 안정성 및 열역학적 특성 등이 우수하고, 불연성이며, 부식성이 없는 화합물로 오랜 시간 동안 전 산업에 걸쳐 널리 사용 되어 왔다. 하지만, 1989년 지구 환경의 보호를 위해 이들의 생산과 사용을 규제하는 국제협약인 '오존층 파괴물질에 관한 몬트리올 의정서'가 체결되어 대체 세정제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정 시스템을 변화시키지 않고 세정력이 우수하면서 환경 친화적이며 인체 유해도가 낮으며 부식성 물질을 발생 시키지 않는 비수계 세정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글리콜 에테르계의 용매와 파라핀계 탄화수소 물질을 일정 비율로 혼합, 배합하면서 실록산을 첨가하여 비수계 세정제를 배합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들 세정제의 물성과 세정성을 평가하여 대체 세정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배합세정제의 물성측정 결과 밀도와 표면장력이 낮아 오염물에 대한 침투력이 우수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인화점과 증기압 측정값으로 세정제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플럭스, 솔더 및 그리스에 대한 세정성능 측정결과 높은 세정성능을 보여주었고 피세정물의 표면에 잔류물이 생성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규제물질과 동등한 세정능력을 지니며 침투력이 우수하고 인체 유해도가 낮은 세정제를 개발할 수 있었다.

  • PDF

세라믹 막여과 정수처리 공정에서 유입수질 및 막여과유속이 막오염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mbrane fouling formation by feed water quality and membrane flux in 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ceramic membrane)

  • 강준석;박서경;이정준;김한승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7-87
    • /
    • 2018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operating conditions on the formation of reversible and irreversible fouling were investigated in the filtration using ceramic membrane for water treatment process. The effect of coagulation pretreatment on fouling formation was also evaluated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membrane filtration both with and without addition of coagulant. A resistance-in-series-model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of membrane fouling. Total resistance (RT) and internal fouling resistance (Rf) increased in th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without coagulation as membrane flux and feed water concentrations increased. Internal fouling resistance, which was not recovered by physical cleaning, was more than 70% of the total resistance at the range of the membrane flux more than $5m^3/m^2{\cdot}day$. In the combined process with coagulation, the cake layer resistance (Rc) increased to about 30-80% of total resistance. As the cake layer formed by coagulation floc was easily removed by physical cleaning, the recovery rate by physical cleaning was 54~90%. It was confirmed from the results that the combined process was more efficient to recover the filtration performance by physical cleaning due to higher formation ratio of reversible fouling, resulted in the mitigation of the frequency of chemical cleaning.

출토 직금직물의 세척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leaning Method of Excavated Gold Brocade)

  • 홍문경;이미식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162-1174
    • /
    • 2010
  • Excavated gold brocade, often shows signs of serious damage and contamination from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exposure to soil or human remains. Therefore, most of the conservation procedures are focused on the consolidation of the gold thread and on cleaning with water or organic solvents. Indiscreet cleaning using solvents could damage the gold leaf, which identifies the features of fabric. There is a need to develop cleaning protocols appropriate for relics through the careful analysis of the condition of the relics. This study finds the appropriate cleaning method for the excavated gold brocade. Four different cleaning methods, vacuum cleaning, kneaded rubber eraser cleaning, immersion wet cleaning, and absorption wet cleaning were applied to the excavated gold brocade. The degree of cleaning and damage were examined depending on the cleaning methods, changes to the physical condition (before and after cleaning) were also analyzed through the surface observation. Although immersion cleaning showed the best cleaning result, this method had a risk of damage to the gold thread. Absorption wet cleaning safely eliminated the various soluble contaminants and the rotten smell of relics. Kneaded rubber eraser was suitable for the excavated gold brocade fabric because it can be applied to selective parts, intentionally excluding some sensitive parts such as the gold thread. The vacuum cleaning method required special attention because of a possibility of suctioning off loosely attached gold leaf. Dual cleaning, the kneaded rubber eraser cleaning, followed by the absorption cleaning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preserve and clean excavated gold brocade.

과열 수증기를 이용한 세정 시스템 설계 (Cleaning System Design using Supper Heating Steam)

  • 조도현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8권2호
    • /
    • pp.47-51
    • /
    • 2011
  • 본 논문은 LCD등에 사용되는 유리기판 가공 과정에서 표면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세정 공정 시스템은 알카리 전해수의 화학적 세정과 과열 수증기 시스템의 물리적 세정방법을 사용한 세정, 린스, 건조 공정으로 구성된다. 또한 세정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알카리 전해수의 화학적 세정효과를 실험을 통해, 알카리 전해수의 세정 효과와 과열 수증기 시스템의 제거효과를 보인다.

청혈요법이 혈중젖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lood cleaning therapy for Blood Latate Concentration)

  • 백승룡;박래준;김태숙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9권1호
    • /
    • pp.147-15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reduction in lactic acid of blood in the course of time 1)whoa applying the blood cleaning therapy during recovery after anaerobic exercise, 2)when applying the massage during recovery after anaerobic exercise, and 3)while taking a rest during recovery after anaerobic exercise, respectively.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s of 30 men who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uch as group 1(n=10) for the blood cleaning therapy, group 2(n=10) for the massage and group 3(n=10) for rest. The blood-gathering was performed over four times ; during rest, immediately after unaerobic exercise, and at 10 and 15 minutes during recover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ellows. 1. There was reduction in lactic acid when applying the blood cleaning therapy during recovery after anaerobic exercise. And remarkable differences were shown from immediately after exercise to at 10 and 15 minutes during recovery(p<0.01 and p<0.001, respectively). 2. There was also reduction in lactic acid when applying the massage during recovery after anaerobic exercise. No difference wan shown from immediately after exercise to at 10 minutes during recovery. However a remarkable difference was shown from immediately after exercise to at 15 minutes during recovery(p<0.05). 3. The rest group which took a rest during recovery after anaerobic exercis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from immediately after exercise to at 10 and 15 minutes during recove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