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 Activity Therapy Program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7초

근골격계 강화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 여성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to strengthen the musculoskeletal system on the body of elderly women)

  • 이중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41-47
    • /
    • 2023
  • 본 연구는 노화로 발생하는 근골격계 변화를 예방하기 위해서 적용한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 여성의 통증, 근력, 균형능력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65세 이상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대퇴사두근 셋팅 운동, 브릿지 운동, 저항밴드 운동, 폼 롤러를 이용한 운동 등을 포함한 운동 프로그램을 주 1회, 8주간 적용하였다. 통증을 평가하기 위해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디지털 근력측정기를 이용하여 근력을 평가하였고, Berg 균형척도를 이용하여 균형능력을 측정하였으며, 낙상효능척도를 이용하여 낙상에 대한 두려움 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실험 전에 비해 허리와 무릎 부위의 통증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대퇴사두근과 대둔근의 근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균형능력과 낙상효능감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운동방법이 포함된 프로그램의 적용은 근골격계를 강화하여 노인 여성의 신체적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노화에 따른 신체적 변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근골격계를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방법들이 포함된 운동 프로그램이 적용되어야 한다.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의 체간 패턴 운동을 병행한 경두개직류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unk Pattern Exercise i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Integrate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Function of Low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 조혁신;차현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767-6773
    • /
    • 2014
  • 본 연구는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의 체간 패턴 운동을 병행한 경두개직류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 활성도와 균형 능력, 보행 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총 31명의 뇌졸중 환자가 참여하였으며, 대상자들은 무작위 추출법을 통해서 실험군 15명과 대조군 16명으로 각각 배정되었다. 모든 대상자들은 고유수용성 신경근촉진법의 체간 패턴 운동을 6주 동안, 주 3회 20분 씩 시행하였고, 실험군에는 추가적으로 경두개직류자극을 20분 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마비측 하지의 비복근, 전경골근의 활성도와 균형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러한 결과는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의 체간 패턴 운동을 병행한 경두개직류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하지 기능 회복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준 것으로 사료된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사용한 재활치료의 효과성 연구: 체계적 고찰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by Virtual Reality Program: Systematic Review)

  • 박다솔;신가인;우예신;박혜연
    • 재활복지
    • /
    • 제22권3호
    • /
    • pp.209-224
    • /
    • 2018
  •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사용한 재활치료의 효과성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임상현장에서 재활치료에 종사하는 의료인, 의료기사 및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가상현실 기반의 재활치료와 효과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가상현실 기반의 재활치료가 임상에서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Google Scholar,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07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Virtual Reality AND Rehabilitation', 'Virtual reality AND Effect'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10편의 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PIC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형식을 사용하여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10개의 논문에서 참여한 대상자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대상자는 총 4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그 종류는 뇌졸중, 뇌종양, 파킨슨병, 신장질환이었다. 중재에 사용한 가상현실 기반 도구들은 IREX 3건(30%), X-box Kinect 2건(20%), Nintendo Wii 2건(20%), [Existing tool + VR]이 1건(10%), [Mobile application + VR]이 1건(10%)이었다. 중재 결과 10개의 논문 모두 기능향상이 나타났으며 신체기능이 24회(66%), 정신기능 6회(17%), 인지기능 5회(14%), 일상생활활동이 1회(3%)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와 그 효과를 정리하여 재활치료서비스의 전문성과 질을 향상시키고, 영역을 확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상현실과 힘판을 통한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sual Feedback Treadmill Gait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a Force Plate Measurement System on Gait 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 이동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63-373
    • /
    • 2020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엔터테인먼트요소가 가미된 가상현실과 시각적 되먹임 보행 훈련 프로그램을 병행하여 보행능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휘돌림 보행을 하는 뇌졸중 환자 10명을 선정하여, 가상현실과 힘판을 통한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보행훈련을 일일 30분씩, 주5회, 5주간 총 25회 실시하였다. 이러한 보행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관절가동범위검사, 근활성도 검사, 버그 균형 척도(BBS), 보행분석, 삶의 질(SS-QOL) 평가를 중재 전·후 시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보행 흔듦기 시기에 마비측 관절가동범위와 근활성도, 동적균형능력, 보행능력, 삶의 질이 중재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5).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보행훈련이 휘돌림 보행을 하는 뇌졸중 환자의 발처짐, 근활성도, 동적 균형 및 보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한 삶의 질도 개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휘돌림 보행을 하는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 향상과 삶의 질 개선을 통한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해 가상현실과 힘판을 통한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보행훈련 프로그램 적용을 권장한다.

아래팔의 자세 변화에 따른 어깨 가쪽돌림 시 가시위근과 가시아래근의 근활성도 분석 (Analysis of the Activity of the Supraspinatus and Infraspinatus Muscles during Lateral Rotation of the Shoulder according to the Posture Change of the Forearm)

  • 엄주리;이동률;이민형
    • PNF and Movement
    • /
    • 제21권1호
    • /
    • pp.139-146
    • /
    • 202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create an efficient training program to improve shoulder stability 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injuries and in patients having undergone surgery of the supraspinatus and infraspinatus muscles, which have a relatively high incidence of injury in shoulder joint disease. Further, independent activities of the supraspinatus and infraspinatus muscle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forearm rotation and the neutral and lateral rotation postures. Methods: The activities of the supraspinatus and infraspinatus muscles were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in 22 healthy adults in Busan, and isokinetic muscle strength measurement equipment was used to measure muscle strength during shoulder lateral rotation. The subjects performed lateral rotation of the shoulder in three different forearm postures (neutral, supine, prone) to measure shoulder muscle activity and lateral rotation strength. Results: The independent activity ratio (% Isolation) of the supraspinatus and infraspinatus muscles during lateral rotation of the shoulder joint demon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according to the change in forearm posture. Conclusion: The supraspinatus muscle showed independent activity ranging from highest to lowest in the order of pronation, neutral, and supination of the forearm, while the independent activity of the infraspinatus muscle ranged from highest to lowest in the order of neutral, supination, and pronation of the forearm. Therefore, the most active forearm positions for the supraspinatus and infraspinatus muscles are pronation and neutral, respectively.

컴퓨터 인지 훈련 프로그램이 경도 치매노인의 인지, 우울, 생활만족도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on Cognitive,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Older Adults with Mild Dementia)

  • 김세연;최유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11-319
    • /
    • 2019
  • 본 연구는 경도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컴퓨터 인지훈련 프로그램이 인지기능, 우울, 생활만족도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요양병원에 거주하는 경도치매노인 32명으로, 무작위 대조군 전후설계를 사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16명씩 무작위 할당하고 실험군에는 8주 동안 주 1회, 총 8회 컴퓨터 인지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컴퓨터 인지훈련 프로그램은 CoTras-G를 사용하였으며, 컴퓨터 인지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에 사전, 사후 동일하게 MMSE-K, SGDS-K, ELS, BI를 실시하였다. 컴퓨터 인지훈련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에 대한 전 후간 차이 검증은 paired t-test,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변화량 차이 검증은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중재 후 인지기능(t=-4.39, p=0.001), 우울(t=4.11, p=0.001), 생활만족도(t=-8.53, p=0.000)와 일상생활활동(t=-3.10, p=0.007)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후 비교결과 인지기능(U=54.00, p=0.005), 우울(U=76.50, p=0.045), 생활만족도(U=56.00, p=0.007)와 일상생활활동(U=59.50, p=0.008)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컴퓨터 인지훈련 프로그램이 경도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생활만족도와 일상생활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용 가능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제시한다.

단기 집단 복합중재가 정상 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Short-term Multimodal Group Interven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 정범진;최유진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3호
    • /
    • pp.57-68
    • /
    • 2019
  • 목적: 신체활동과 인지운동, 사회적 상호작용을 혼합한 단기 집단 복합중재가 75세 이상의 고령 정상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 설계는 단일 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로 중재는 회당 70분, 주 1회, 총 4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후의 인지기능과 우울 수준, 신체기능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서 치매 선별용 간이 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Dementia Screening; MMSE-DS)와 단축형 노인우울척도(Short Form for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사용하였다. 결과: 75세 이상의 고령 정상노인에게 집단 복합중재를 적용한 후 인지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고(p<.01), 우울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가 있었다(p<.05). 균형수준도 중재 전$46.83{\pm}9.11$점에서 중재 후 $48.08{\pm}7.00$점으로 평가점수의 증가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p>.05). 결론: 신체활동과 인지운동, 사회적 상호작용을 혼합한 단기 집단 복합중재는 75세 이상의 고령 정상노인의 인지기능의 저하를 늦추고 우울수준을 감소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정상노인들의 치매, 우울 예방을 위한 중재에 있어서 보다 체계적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작업치료사에 의한 전문적인 치료에 대한 효과연구와 실험군-대조군 연구를 통해 효과입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n individualized nutrition counseling program matched with a transtheoretical model for overweight and obese females in Thailand

  • Karintrakul, Sasipha;Angkatavanich, Jongjit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4호
    • /
    • pp.319-326
    • /
    • 2017
  • BACKGROUND/OBJECTIVE: Effective weight reduction remains a challenge throughout the world as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its consequences are increasing.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n individualized nutrition counseling program (IC) matched with a transtheoretical model (TTM) for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SUBJECTS/METHODS: Fifty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aged 19-60 years with a body mass index ${\geq}23kg/m^2$ were enrolled in the weight reduction study. They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Intervention group received an IC matched with a TTM; control group received an educational handbook. Body weight (BW), body fat (BF), waist circumference (WC), waist to height ratio (WHtR), stages of change (SOC), processes of change (POC), food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PA)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at 4, 8, and 12 weeks after program initiation in both groups. All data were analyzed by intention-to-treat, using SPSS software for hypothesis testing. RESULTS: Forty-five female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12-week trial at Ramkhamhaeng Hospital, Bangkok, Thailand.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weight loss ($1.98{\pm}1.75kg$; 3% loss of initial weight) in the intervention group at 12 weeks, compared to a $0.17{\pm}1.67kg$ loss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in BF mass ($-1.68{\pm}1.78$, $-0.04{\pm}1.62kg$); percentage BF ($-1.54{\pm}2.11$, $0.08{\pm}2.05$); WC ($-5.35{\pm}3.84$, $0.13{\pm}3.23cm$); WHtR ($-0.0336{\pm}0.02$, $-0.0004{\pm}0.02$), and energy consumption ($-405.09{\pm}431.31$, $-74.92{\pm}499.54kcal/day$) i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Intragroup SOC was improved in both groups. The POC for the weight management action (WMA) proc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POC scores increasing by $16.00{\pm}11.73$ and $7.74{\pm}14.97$ in the 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s, respectively. PA level did not change in either group. CONCLUSIONS: The IC matched with a TTM resulted in reductions in BW, BF, and WC, thus reducing likely health risks by decreasing energy intake and inducing positive behavior changes while enhancing the WMA process.

유전자 치료를 받는 암 환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receiving Gene therapy)

  • 장미경;김경희;정연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4-88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receiving gene therap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50 cancer patients receiving gene therapy at two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14, 1996 to November 11, 1996.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the family support scale made by Hyun Sook Kang, by the medical support of life scale developed by Ok Soo Kim. The quality of life scale developed by Bang-Whal-Ran was used, among the questionnaire, physical factors was developed by U.S.A National Conference on Cancer Nursing. The data was analysed by the SAS statistical program. Percentil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 -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were utiliz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the subjects was 83.66, the item score was 3.8. 1) The mean score of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of the subjects was 44.96, the item mean score was 4.5. 2) The mean score of the perceived professional medical support of the subjects was 38.70, the item mean score was 3.2. 2. The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was 120.38, the item mean score was 3.17. For each factor in quality of life scale, the mean score was follows: for attitude toward life, 3.95, for familial relationship and financial status, 3.53, for social activity 3.24, for emotional status, 3.08, for healthy perceptive, 2.90, for physical symptom, 2.80. 3.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r=.4853, p=.0004). Therefore, the higher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the patients,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1)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r=. 3566, p=.0110). Therefore the higher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of the patients,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2)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rofessional medic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r=.4477, p=.0011). Therefore, the higher the perceived professional medical support of the patients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sex(F=2.1437, p= .0371), others coping non-family (F=2.4863, p=.0164) and duration of treatment (F=4.16, p=.0218).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ance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ex(F=2.6932, p=.0097), degree of education(F=2.3610, p=.0223), others coping non-family(F=2.0502, p=.0458).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gene therapy.

  • PDF

벽 미끄러짐 쪼그려 앉기 방법에 따른 넙다리네갈래근의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Quadriceps Femoris Muscle Activations during Wall Slide Squats)

  • 김병조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541-550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mpare quadriceps femoris muscle activity while performing wall slide squats of four methods. METHODS: Forty subjects, with no history of patellofemoral pain, quadriceps injury, or other knee injury volunteered for this study. Muscle activation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us, rectus femoris, vastus lateralis muscles were recorded while subjects performed 10 consecutive wall slide squats. Subjects performed the wall slide squats during four different methods: (1) basic wall slide squat, (2) keep back upright against fitness ball, (3) standing of unstable surface, (4) squeezing ball between both knees. Statistical analysis were accomplished by utilizing the one-way ANOVA(Bonferroni's post-hoc test) by SPSS 20.0 program.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05. RESULTS: Muscle activations induced wall slide squats of four methods compared and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vastus medialis obliquus and rectus femori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astus lateralis. The vastus medialis obliquu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keep back upright against fitness ball at post-hoc test. The rectus femori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keep back upright against fitness ball and standing of unstable surface at post-hoc test.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quadriceps femoris muscle activations are differenced by performing wall slide squats of four different methods in healthy subjects. These data suggest that for quadriceps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fessionals can perform the wall slide squats by altering several task variabl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exact mechanism by which quadriceps function is alt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