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 Activities

검색결과 3,338건 처리시간 0.036초

중학생의 동물 분류에서 오류 원인이 되는 사고 내용 분석 (Analy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oughts Causing Common Mistakes on Animal Classification)

  • 김운화;황의욱;김용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1호
    • /
    • pp.153-165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N=300)을 대상으로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주요 동물의 분류에 관한 오류와 그 이유가 되는 사고 내용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로 분류하는데 있어서 뱀(31.7%), 새우(28.3%), 거북이(25.6%), 개구리(24.7%), 불가사리(10.7%) 등의 순서로 오류의 빈도가 높았다. 이러한 오류의 이유는 각 동물의 운동 특성과 외형적 특성에 따른 직관적 사고, 다른 동물의 특성에 비유하여 잘못된 유추를 하는 것, 각 동물의 척추 관찰 부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척추동물의 하위분류군을 구분함에 있어서 '도롱뇽은 파충류(45.3%), 거북이는 양서류(40.3%)'로 대안개념을 갖는 오류가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분류 용어의 모호함으로 인한 혼동과 각 동물의 생리 생태적 특성을 분류 기준의 특성에 연계시키지 못하는 것에 있었다. 박쥐, 고래, 펭귄의 분류에서는 사회 문화적 요인이 오류의 빈도에 영향을 주었다. 동물 분류의 교수 학습이 암기 위주의 주입식보다는 관찰을 통한 분류 기준의 특성을 탐색하는 활동의 지도가 필요하다.

  • PDF

촉매를 이용한 폐고분자 물질의 자원화-촉매글리콜분해에 의한 연질 폴리우레탄폼 폐기물의 재활용- (Catalytic Recycling of Waste Polymer -Recycling of Flexible Polyurethane Foam Wastes by Catalytic Glycolysis-)

  • 박종래;김성익;김영철;박남국;서곤
    • 공업화학
    • /
    • 제8권6호
    • /
    • pp.920-926
    • /
    • 1997
  • 촉매 글리콜분해공정은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해 생성된 폴리올과 carbamate 화합물을 회수하여 폴리우레탄 폼 제조에 이용하는 화학적 재활용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우레탄 폼을 분해하기 위해 ethyleneglycol, diethyleneglycol, 1,4-butanediol을 사용하였으며, 촉매로는 금속 acetate류를 사용하였다. 촉매글리콜분해 반응온도는 $180{\sim}200^{\circ}C$ 범위에서 수행되었다. 반응속도는 반응시간 경과에 따른 생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여 조사하였으며, IR과 GPC분석을 통하여 분해 생성물의 종류와 분자량 분포를 조사하였다. 촉매 글리콜분해는 높은 온도에서 ethyleneglycol을 사용했을 때 잘되었다. K, Na, Tl acetate 촉매의 활성이 좋았으며, 생성물들은 비교적 높은 함량의 아민화합물과 carbamate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었다. Sr acetate와 Quinoline 촉매의 경우 반응은 다소 느리지만 폴리올의 함량이 높았고 부생성물의 함량이 낮았다. 회수폴리올을 20wt%까지 첨가하여 제조한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이 버진 폴리올만을 사용하여 제조한 폼에 비해 인장강도, 경도, 인열강도, 압축강도 등이 좋았다.

  • PDF

수상레저기구 등록 시스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A Study on Problem and Improvements of Registration System in Water Leisure Crafts)

  • 양영철;이재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73-28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종 유망 산업인 해양레저산업 발전에 일조하고 있는 수상레저기구 등록 제도의 기원과 현황,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등록 제도의 기원과 변천 과정에 대해서는 2000년대 초반에 제정 시행되어온 "수상레저안전법"상의 수상레저기구 등록 대상, 등록 절차, 그와 관련된 개정 내용을 토대로 살펴보았고,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서는 현재 전국 시 군 구청에서 사용 중인 수상레저기구 등록 시스템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검토하여 도출된 시사점을 토대로 등록 시스템 운영 내역과 시스템과의 연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상레저기구 등록은 건수위주의 파악방식이라 운영자 및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근본적인 한계를 갖고 있었다. 둘째, 등록시스템을 통해서 운영자의 의도에 따른 정보의 활용 및 재구성이 불가능 했다. 등록 시스템은 행정자치부의 자료 공유 기능이 없어 기초자치단체의 행정 업무가 원활하게 연계되지 못하고, 여타 전자정부 시스템과의 연계가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등록 정보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단순한 등록업무와 관련된 파일처리나 자료관리 차원이 아닌, 수상레저기구 구매자에 대한 관리학습을 유도하고, 등록 이용자 및 수상안전 관리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정부 서비스가 되어야 한다.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의 특성 및 경피 전달 (Characterization and Transdermal Delivery of Ethosomes Loaded with Eucommia ulmoides Extract)

  • 구현아;김해수;김문진;유은령;조기정;장진동;김보현;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4권6호
    • /
    • pp.639-64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소재로서 항염, 항노화 효능이 있는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을 제조하였고, 이들 에토좀이 안정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4주 동안 입자크기, 물리적 특성 및 포집효율을 측정하였다. 0.01~0.05%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은 4주 동안 침전이나 분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 에토좀의 평균 입자 크기는 134.6 nm였고, 단분산 형태를 나타내었다. 0.05% 두충 추출물을 함유한 에토좀의 입자 크기는 151.15 nm였으며, 포집 효율은 81.79%로 에토좀 중 가장 큰 포집효율을 나타내었다. 0.05%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을 이용하여 피부 투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두충 추출물의 총 피부 투과량은 에토좀(77.16%) > 리포좀(62.80%) > 에탄올 용액(41.59%)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0.05%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은 피부 전달에 효과적이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제형으로서 사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가정간호에서 사용된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분류 (Categorization of Nursing Diagnosis and Nursing Interventions Used in Home Care)

  • 서미혜;허혜경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5권
    • /
    • pp.47-60
    • /
    • 1998
  •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basic information in classifying nursing diagnoses and nursing interventions needed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computerized nursing care plans. Data were collected by reviewing charts of 123 home care clients who had active disease, for whom at least one nursing diagnosis was on the chart, and who had been discharged. Data included demographics, medical orders, nursing diagnoses and nursing interven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hich found the most frequent medical diagnoses to be cancer (40.7%) and brain injury (26.8%), showed that 'Impaired Skin Integrity'(18.3%), 'Risk for Infection'(15.0%), 'Altered Nutrition, Less than Body Requirements'(13.8%), and 'Risk for Impaired Skin Integ rity'(9.9%) were the most frequent nursing diagnoses. 'Pressure Ulcer Care'(28.4%) was the most frequent intervention for 'Impaired Skin Integrity', 'Infection Protection'(16.0%) for 'Risk of Infection', 'Nutrition Counseling'(26.8%) for 'Altered Nutrition' and 'Positioning'(22.0%) for 'Risk for Skin Integrity Impairment', Comparison of interventions with the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NIC)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 interventions were in the domain 'Basic Physiological' (33.94%), followed by 'Behavioral'(27.8%), and 'Complex Physiological' (22.6%). Interventions related to teaching family to give care at home could not be classified in the NIC scheme. Examination of the frequency of NIC interventions showed that for the domain 'Activity & Exercise Management', 75% of the interventions were used, but for seven domains, none were used. For the domain 'Immobility Management', 93% of the times that an intervention was used, it was 'Positioning', for the domain 'Tissue Perfusion Management', 'IV Therapy' (59.1%) and for the domain 'Elimination Management', 'Tube Care: Urinary'(54.0%). The nursing diagnoses 'Altered Urinary Elimination' and 'Im paired Physical Mobility' were both used with these clients, but neither 'Fluid Volume Deficit' nor 'Risk of Fluid Volume Deficit' were used rather 'IV Therapy' was an intervention for 'Altered Nutrition, Less than Body Requirements', A comparison of clients with cancer and those with brain injury showed that interventions for the nursing diagnosis 'Impaired Skin Integrity' were more frequent for the clients with cancer, interventions for 'Risk of Infection' were similar for the two groups but for clients with cancer there were more interventions for' Altered Nutrition'. Examination of the nursing diagnoses leading to the intervention 'Positioning' showed that for both groups, it was either 'Impaired Skin Integrity' or 'Risk for Skin Integrity Impairment'. This study identified a need for further refinement in the classification of nursing interventions to include those unique to home care and that for the purposes of computerization identification of the nursing activities to be included in each intervention needs to be done.

  • PDF

근로자의 보건교육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Education needs of industrial workers)

  • 공득희;이명선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6-32
    • /
    • 1994
  • Health Education is very important not only in school or community fields but also in industrial fields. And health education is most fundamental and enthusiastic area in industrial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workers' health education needs and the factors which could affect them.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as 855 workers selected from 57 factories in Inch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demographic variables, sex, age,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of the workers were investigated. Most of the workers were males (80.2%). Of the respondents, 30∼39 years old were 41.3%. Approximately 62% of the workers were high school graduates. In additions, those who reported they earned 500,000∼800,000 won monthly were 41.9%. 2.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investigated in this study included smoking,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ies. Of the respondents, 55.9% were smoking cigarettes, and 26.8% of the workers reported they drank alcohol once or twice a week. The workers who were taking any form of exercise regularly were 31.6%. 3.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included working period working hours a day, medical examination, and so on. About 37.6% of the workers had worked 1∼5 years and 53.6% of the respondents were working less than 8 hours a day. More than half of the workers in this study were taking special medical examination(59.3%) and 59.6% of the respondents were working at the production line in the factories. And most of the respondents (69.0%) were mere members of the staffs. 4. For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respondents, 41.1% answered they were healthy. And for the level of health status, health grade 20.4% of the workers were unhealthy. 5. Health education areas the workers in this study wanted to learn were as follows: 1) Mental health 2) Worksite environment 3) Safety control 4) Disease contol. 6. Those who reported having ever received health education in the factories were 20.9%. 7. Women had more health education needs in personal health care, disease control and family health areas than men. Each age group had different health education needs in all health areas and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8. The workers who had received special medical examination had more health education needs in worksite environment, safety control, and disease control areas than those who had received general medical examination. The lower the satisfaction of the work and the working environment was, the higher the health education needs of worksite environment area were. 9. For the levels of health status healthy workers were more likely than unhealthy workers to have health education needs in all health areas.

  • PDF

소득계층에 따른 응급의료이용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according to Income class)

  • 최령;황병덕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78-9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using status according to income class. The target was the 2011 data out Korea Health Panel's raw data. 2011 data composed of total 17,035 people from total 5,741 households. This study set total 1,101 adults over full-20-years old having used an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as its analysis target. In order to find out the number of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use according to income class and the influential factors on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cost, this study conduct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in order to more accurately analyze the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use status depending on the income class and the features of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use status, this study developed Models. As the result, this study found following findings. First, as the income class was lower, the gender was male, the age was lower, and the user has spouse, the user was not a business owner or a paid worker, the user is a house owner, the emergency medical facility type was a clinic, the means of transportation was others rather than 119 ambulance, the reason visiting emergency medical facility was belonged to others rather than accidents or poisoning, then the number of emergency was increased. Second, as the user was in higher income class, received the health insurance benefits, the using medical facility was general hospital, used 119 ambulance more often, stay days in emergency was shorter, then health care utilization cost was increased. In this study investigating the data out of Korea Health Panel, it was found that while the number of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use was increased in the lower income class, but the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cost was increased for higher income class. It is considered that this finding was caused from the facts that lower income class was more often exposed to dangers for physical health, so the number of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use was increased, but their health care utilization cost was decreased because of their economic burdens against various examinations and their difficulties to pay such costs, comparing to that of higher income clas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unequal problem of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use between lower and higher income classs, it is required to set suitable solutions like the disease prevention effort by facilitating national health check-up programs, the enhancement of public health services in quantity and quality, the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securing policy at using medical facilities, the promotional, educational activities about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 delivery system, the enhanced accessibility of emergency health care utilizations and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 PDF

감각통합 중재가 취학 전 자세조절장애 아동의 자세조절과 작업수행(놀이)에 미치는 영향: 목표성취척도(Goal Attainment Scale)를 사용한 사례보고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Postural Control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Play) of the Preschool Child With Postural Disorder: Case Study Using Goal Attainment Scale (GAS))

  • 류성운;김인선;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1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감각통합중재가 취학 전 자세조절장애 아동의 자세조절과 작업수행(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은 2012년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임상과정에 참여한 만 5세 8개월의 남아이다. 평가결과에 따라 치료목표, 치료계획을 제시하였고 11회기 동안 치료가 진행 되었으며 아동의 활동과 적응반응을 기술하였다. 각 회기별 목표를 목표성취척도(Goal Attainment Scale)를 이용해 측정하였으며 2012년 12월 재평가하였다. 결과 : 치료 후기 아동은 배와위굴곡자세를 20초 이상 유지하여 신체근위부 안정성이 향상되었고, 신체활동놀이 한 가지에 지속적으로 주의집중하여 노는 것이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 중재가 취학 전 자세조절장애 아동의 자세조절 향상과 함께 작업수행('신체활동놀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국내 해양보급기지(Offshore Supply Base) 구축방안에 관한 우선순위 분석 (A Priority Analysis of Construction Strategies for Offshore Supply Base in Korea)

  • 정수현;김용호;이지원;신창훈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7-71
    • /
    • 2016
  •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한국의 경우 해양산업의 육성은 필연적인 당면 과제이다. 그러나 해양산업의 경우 육상과 비교해 가혹한 물리적 조건하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요구된다. 이러한 노력 중 하나로 해양보급기지(Offshore Supply Base, OSB)의 운영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한국에서 OSB 운영 및 구축에 관한 중요성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련 국내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로 이를 언급한 문헌으로는 국내 연구기관에서 발표한 보고서가 전부이다. 이들 보고서는 직접적인 OSB에 대한 연구라기보다는 OSB와 관련된 산업인 해양플랜트산업의 육성방안 중 하나로 OSB 구축 및 운영에 대한 필요성만을 언급하였다. 반면 이 연구는 OSB을 중심으로 한국 실정에 맞는 OSB 구축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해외 OSB 구축 지역인 휴스턴과 싱가포르의 문헌조사를 통해 국내 OSB 구축 여건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OSB의 주요 기능 중 국내 OSB 구축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기능과 관련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교통약자의 보행 교통사고 특성과 보행 횡단요소 분석 (여수시를 사례로) (Walking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Walking Factors for Road Crossing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 the Case of Yeosu)

  • 김상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439-448
    • /
    • 2016
  • 2014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은 전체인구의 12.7%로서 우리나라는 조만간에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되고 노인 등 교통약자들도 다양한 사회경제적 활동으로 일반인과 동등하게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권이 보장되어야 한다. 교통약자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인 보행은 일반인과 다른 보행특성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보행 관련 시설 및 운영은 이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융복합 시대를 맞이하여 교통약자(노인)의 보행 관련 교통사고 특성을 살펴보고 여수시를 사례로 횡단보도에서 노인의 보행실태와 보행횡단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2014년 기준 교통사고 자료에 의하면, 노인 교통사고는 전체 교통사고의 9.9%로 발생하고 있으나 노인사망자수는 전체의 40.3%를 차지하고 있고 노인 사망자수의 47.4%가 차대보행자 사고로 기인한다. 또한 전체 보행자 중 노인 보행자 발생은 18.7%이나 노인 보행자 사망자 비율은 49.3%에 해당하는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노인보행자 치사율이 3.03명으로 전체보행자 치사율보다 3배정도 높게 나타난다. 교통약자(노인) 횡단 보행요소인 반응시간과 보행속도를 조사한 결과, 노인 신체능력 하위 15%-tile에 해당하는 반응시간은 4.56초와 보행속도는 초당 0.76m가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조사지점의 횡단보행 신호운영을 평가한 결과 보행안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어 개선된 보행신호 운영이 요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