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llanthus urinaria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41초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Phyllanthus urinaria

  • Cha, Joon Min;Park, Jong Eel;Choi, Sang Un;Lee, Kang R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151-157
    • /
    • 2020
  • Extensive column chromatography separation of the MeOH extract from the aerial parts of Phyllanthus urinaria afforded seventeen compounds (1 - 17). The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elucidated by physicochemical and spectroscopic methods to be 5'-β-D-glucopyranosyloxyjasmonic butyl ester (1), (+)-cucurbic acid (2), dendranthemoside B (3), boscialin 4'-O-β-D-glucoside (4), 4,5-dihydroblumenol A (5), (6R,9R)-megastigman-4-ene-9,13-diol (6), (3S,5R,6S,9R)-3,6-dihydroxy-5,6-dihydro-β-ionol (7), (6S,9R)-roseoside (8), mallophenol B (9), icariside B5 (10), corchoinoside B (11), canangaionoside (12), 5,6-epoxy-3-hydroxy-7-megastigmen-9-one (13), icariside B2 (14), (7E)-2β,3β-dihydroxy-megastigm-7-en-9-one (15), betulalbuside A (16), and loliolide (17). The compounds 1, and 3 - 16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The absolute stereochemistry of compound 1 was newly determined. The isolated compounds were tested for cytotoxic activity against four human tumor cell lines in vitro using a Sulforhodamin B bioassay, but all the compounds showed weak cytotoxic activities.

여우구슬(Phyllanthus urinaria)의 부정근 유도 및 기내증식조건 (Induction and in vitro Proliferation of Adventitious Roots in Phyllanthus urinaria)

  • 배기화;윤필용;최용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54-460
    • /
    • 2009
  • 본 실험은 여우구슬의 기내 부정근 유도 및 증식조건의 확립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우선 여우구슬의 기내 발아체로부터 부위를 달리하여 부정근을 유도한 결과 줄기부위는 뿌리보다 양호한 부정근의 유도를 보였다. 또한 유도된 부정근을 이용하여 옥신의 종류(IAA, IBA, NAA와 2.4-D)에 따른 부정근 유도율을 조사한 결과 IBA와 NAA는 IAA와 2.4-D보다 높은 유도율을 보였다. IBA의 농도에 따른 유도율과 증식효율은 IBA가 0.5 mg/L첨가되었을 때 가장 높은 유도 및 증식효율을 보였다. 최적의 액체배지조건을 확인하고자 IBA의 농도는 0.5 mg/L로 첨가하고 sucrose의 농도를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 sucrose는 30 g/L 첨가 되었을 때 가장 높은 생중량과 건중량을 나타냈다. 액체배양된 여우구슬의 부정근을 각각 MS, 1/2MS, 1/3MS배지에 30 g/L sucrose, 0.5 mg/L IBA가 첨가된 5 L 용량의 생물반응기에 4주간 배양한 결과 1/2MS 배지에서 양호한 생장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는 여우구슬의 종자발아체를 이용하여 부정근의 유도 및 증식조건에 필요한 기내배양조건과 2차적으로 유도된 부정근을 이용하여 플라스크와 생물반응기 배양을 통한 효율적인 증식조건을 확립하였다.

수종 생약재의 간염 B형 바이러스 증식 억제 활성 검색 (Screening of Some Plant Extracts for Inhibitory Activities on Hepatitis B Virus Replication)

  • 김태균;한형미;강석연;정기경;김승희
    • 생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8-243
    • /
    • 1999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test for anti-hepatitis B virus (HBV) activity of the aqueous extracts prepared from 9 medicinal plants of Korea (Cornus officinalis, Caesalpinia sappan, Rubus coreanus, Lycium chinense, Artemisia capillaris, Isatis tinctoria, Phyllanthus urinaria, Lysimachia christinae, Lonicera japonica). Aqueous extracts were tested for cytotoxicity and assayed for inhibition of HBV replication by measurement of HBV DNA and surface antigen (HBsAg) levels in the extracellular medium f HepG2 2.2.15 cells. The extract from Rubus coreanus, Artemisia capillaris, Phyllanthus urinaria decreased the levels of extracellular HBV virion DNA a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128 to $256\;{\mu}g/ml$ and inhibited the production fo HBsAg dose-dependently without showing cytotoxicity.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se three hebal medicinal plants may have potential to develop as specific anti-HBV drugs in the future.

  • PDF

품종이 다른 여우구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Phyllanthus Collection Species Extracts)

  • 김태수;김진숙;박춘근;박소이;주영운;강명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1-207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inform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hyllanthus. We compared and analyzed three indigenous collections of Phyllanthus: species from Korea, Brazil and Paraguay.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were $1.93{\pm}0.015$ mg/mL in KCS (Korean Collection Species), $1.65{\pm}0.003$ mg/mL in PCS (Paraguay Collection Species) and $1.49{\pm}0.003$ mg/mL in BCS(Brazil Collection Species). In bot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SOD-liked activities, KCS was the highest ($67.25{\pm}0.03%,\;78.38{\pm}1.17%$). KCS were also the highest in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95.80{\pm}0.17%$).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BCS ($81.64{\pm}0.23%$) and PCS ($81.54{\pm}0.04%$). As for hydroge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KCS ($36.44{\pm}0.24%$) and BCS ($36.31{\pm}0.33%$) and it was the lowest in PCS ($33.72{\pm}0.15%$). Our results showed that KCS excelled the others not only in antioxidant activity but also in other beneficial effects. This encouraging results may be potentially useful in developing Phyllanthus urinaria L. variety which contains lots of functional elements such as total phenolic acid.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제주 자생식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효과 검색 (Screening of the Antibacterial Effects by Ethanol Extracts from Natural Plant in Jeju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 고미옥;강희주;황준호;양경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9-66
    • /
    • 2018
  •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는 여드름의 주요 병원성균으로 염증성 질환에 관련된 미생물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드름 주요 유발 균주인 P. acnes에 대하여 70% Ethanol로 추출한 제주 자생식물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disc diffusion test 실험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61개의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 중에서 45개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검출되었으며, 16개의 추출물은 항균 활성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중에서 여우 구슬(Phyllanthus urinaria L.) - 줄기 잎 추출물이 $18.96{\pm}0.69mm$로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뿌리, 돌외(Gynostemma pentaphyllum (Thunb.) Makino),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잎 줄기, 산박하(Isodon inflexus (Thunb.) Kudo),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 꽃, 그리고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 - 줄기 추출물 순으로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이 여드름 치료 예방의 항균제 및 기능성 화장품 천연 원료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제안한다.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Against the Infection of Antheraea mylitta Cytoplasdmic Polyhedrosis Virus (AmCPV) in Tropical Tasar Silkworm, Antheraea mylitta Drury

  • Singh, Gajendra Pal;Sahay, Alok;Kulshresth, Varun;Kumar, Phani Kiran;Pallavi, Saumya;Ojha, Nand Gopal;Prasad, Bhagwan Chandr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0권1호
    • /
    • pp.13-17
    • /
    • 2010
  • Ten numbers of plants, based on their medicinal value, were used to test their efficacy against virosis (caused by cytoplassmic polyhedrosis virus) in tasar silkworm, Antheraea mylitta Drury. in indoor rearing conditions. The aqueous extracts of leaf of Azadirichita indica (neem), Acharanthus aspera, Psoralea corylifolia, Asparagus racemosus, Adhatoda zelanica (Basak), Andrographis paniculata (Kalmegh), Moringa oilephera (sahjan), whole plant of Phyllanthus urinaria (Bhuiamla), Centella asiatica (Veng sag) and Curcuma longa (Haldi powder) in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used for containment of virosis in silkworm larvae. The tasar silkworm larvae were orally inoculated with PIBs ($1\times10^6$) of AmCPV in $2^{nd}$ instar and treated with plant extracts in each instar ($2^{rd}$ instar onwards). The mortality due to virosis was recorded during larval period. The plant extracts, irrespective of their concentrations, were found effective in suppressing the virosis where P. urinaria reduced the virosis to 56.90% followed by A. paniculata (53.82%) and least in C. asiatica (5.15%). The lowest pooled larva mortality 36.99% was recorded in the treatment of P. urinaria. Comparatively higher larva mortality 39.91% was observed with the treatment of A. paniculata. The highest larva mortality in treatment was with C. asiatica (81.99%). In treated control larva mortality was 86.50%.

말레이지아 세랑고지역 부식질토양경지 매립잡초종자에 대한 정량생태분석 (Quantitative Assessments and Spatial Pattern Analyses of Weed Seed Banks of Arable Peat in Selangor, Malaysia)

  • 바키 빈 바카;권용웅;훼니 옹 뉵 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9-280
    • /
    • 1997
  • 말레이지아 Selangor지역(地域)의 부식질 경지토양(耕地土壤)의 토심(土深) 0-25cm에 매립(埋立)되어있는 잡초종자(雜草種子)들의 종류(種類)와 분포특성(分布特性)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하였으며, 이를 지상(地上)에 자라고 있는 잡초식생조사결과(雜草植生調査結果)와 관련시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경지토양(耕地土壤)에 매립(埋立)되어 있는 잡초종자(雜草種子)는 14과(科)에 속하는 45종(種)의 잡초(雜草)가 식별되었으며, 그중 24종(種)이 광엽잡초(廣葉雜草)이었고, 화본과(禾本科) 12종(種), 사초과(莎草科) 9종(種)으로 지상(地上)에 자라고 있던 19과(科) 31종(種)과는 다소 달랐다. 2.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는 $8.14{\times}10^7$/ha 토심(土深)25cm 수준이었으며, 초종별(草種別)로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에 큰 차이(差異)를 보였는데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에서 광엽잡초(廣葉雜草) 53.2%,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31.2%, 사초과잡초(莎草科雜草) 15.6%로 구성(構成)되어 있었다. 3.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종자수(種子數)ha 토심(土深) 25cm)가 많은 10 순위(順位) 초종(草種)은 Cleome rutidesperma($2.347{\times}10^7$), Heteropogon contortus($5.64{\times}10^6$), Paspalum commersonii(4$4.64{\times}10^6$, Amaranthus gracilis ($3.60{\times}10^6$), Bracharia reptans($3.30{\times}10^6$), Fimbrysylis miliacea($2.64{\times}10^6$), Eleusine indica ($2.32{\times}10^6$, Murdannia nudiflora($2.08{\times}10^6$, Ageratum conyzoides($1.92{\times}10^6$), 및 Mimosa pudica($1.92{\times}10^6$)이었다. 4.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의 토심별(土深別) 분포(分布)는 표토(表土) 0-10cm에 69%, 10-15cm에 17.9%, 15-20cm에 8.6%, 20-25cm에 4.0%로서 표층(表層)에 현저히 많이 분포(分布)하였다. 5. 토중(土中) 매립종자수면(埋立種子數面)에서의 우점종(優點種)은 지면생육중(地面生育中)의 우점도(優點度)와 달라서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가 제일 많은 C. rutidesperma는 지상(地上)에서 우점도(優點度) 6순위(順位) 이었고 지상(地上)에서 우점도(優點度) 2, 4순위(順位)이었던 M. nudiflora와 A. conyzoides가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에서 각각 8, 9순위(順位)이었으며 그 밖에는 우점도(優點度) 10순위내(順位內)에서 서로 관련되지 않았다. 6. 매립종자(埋立種子)들의 지리적(地理的) 위치분포(位置分布)에 관하여 분산/평균비(分散)/平均比), Lloyd의 평균군집도(平均群集度), Lloyd의 집중성(集中性) 분석(分析)을 한 결과 평균군집도(平均群集度)가 Cyperus iria 등 5초종(草種)은 1.244수준인데 대하여 Cleome rutidosperma는 9,607.7이었고, 우점도(優點度)는 Aeschynomene indica의 5.1 에서 Bracharia reptans의 188.5까지 초종별(草種別)로 다양한 차이(差異)를 보였다.

  • PDF

제주도(濟州道) 농경지(農耕地) 및 그 주변(周邊)에 발생(發生)하는 잡초종(雜草種) (Weed Flora of Cultivated Land and Its Surrounding Area in Cheju Island)

  • 김길웅;김진협;백경환;이인중;김상호;최용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01-213
    • /
    • 1989
  • 제주도(濟州道)의 농경지(農耕地)와 농경지(農耕地) 주변(周邊)에 발생(發生)하는 하계잡초(夏季雜草)를 조사(調査)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조사(調査)된 총(總) 잡초종(雜草種) 수(數)는 54과(科) 233여종(餘種)이었으며 국화과(菊花科)가 41종(種)으로 가장 많고 벼과(科) 28종(種), 꿀풀과(科)14종(種), 콩과(科) 13종(種), 마디풀과科) 12종순(種順)으로 많이 발생(發生)하였다. 2. 전작지(田作地)에서는 39과(科) 126종(種)이 조사(調査)되었으며, 여우구슬, 제주진득찰 등(等)의 군락(群落)과 바랭, 주깨풀 등(等)의 군락(群落)이 형성(形成)되어 있었고 쇠비름, 바랭이, 방동사니 순(順)으로 우점(優占)하고 있었다. 3. 전작지(田作地)에서는 20과(科)38종(種)이 조사(調査)되었으며 미나리, 쇠털골의 군락(群落)이 형성(形成)되어 있었고, 물달개비, 방동사니, 여뀌 순(順)으로 우점(優占)하고 있었다. 4. 과수원(果樹園)에서는 36과(科) 108종(種)이 조사(調査)되었으며 쇠별꽃, 제비꽃 등(等)의 군락(群落)과 쥐꼬리망초, 외풀 등(等)의 군락(群落)이 형성(形成)뇌어 있었고, 우점도(優占度)는 쇠비름, 바랭이, 석류풀 순(順)으로 높았다. 5. 농경지(農耕地) 주변(周邊)에서는 50과(科) 214종(種)의 잡초(雜草)가 조사(調査)되었으며 새콩, 왕고들빼기 등(等)의 군락(群落)과 사위질빵, 갯쭉부쟁이 등(等)의 군락(群落)이 형성(形成)되어 있었고, 바랭이, 쑥, 쇠비름 순(順)로 우점도(優占度)가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