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ragmites communis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35초

낙동강 삼각주에 있어서 갈대 초지의 광차단, 생산구조 및 생산성 (Light Interception, Productive Structure and Production of the Phragmites communis Grassland in the Delta of Nakdong River)

  • 장남기;강호감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24
    • /
    • 1994
  • 낙동강 삼각주에 있는 Phragmites communis 초지에서 광차단과 흡수, 생산구조의 계절적 변화, 생산성 현존량을 1982, 1983 그리고 1993년에 각각 조사했다. 황충화된 수피를 통과하는 빛은 S자형으로 감소한다. 한 식물의 누층적 앞면적은, 그 시기의 수피의 잎면적 생장과 같다. 잎 면적이 log식에 따라 자랄 때, 잎면적의 수직적 누층은 일반적인 역동식에 의해 계산된다. 잎면적의 최대생장률에서의 광차단식은 식(1)에 의해 생산구조는 윗부분은 광합성계에 의해, 아래부분은 비광합성계에 의해 차지되어진다. 그러므로, 광차 단의 패턴은 S자형에서 지수함수적 패턴으로 변하게 된다. P.communis의 지상부 현존량은 $3,3660g/m^2$이상이었고, 순 생산성은 $142g/m^2$이었다. 갈초지대의 년중 순 생산은 각각 4.10,4.25,$4.47kg/m^2$/year 이었고, 촤대면적 지수는 각각 4.10.3,11.0,10.4이엇다. 이 결과는 일만초지보다 매우 높은 값이었다.

  • PDF

국내 수변 식생의 조도계수 평가 (Roughness Coefficients Evaluation of the Korean Riparian Vegetation)

  • 이동섭;이두한;김명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B호
    • /
    • pp.345-35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표 수변 식생에 대한 조도 실험을 수행하여 n-VR 방법에 기초하여 각 식생에 대한 조도계수 산정식을 개발하고, 이를 하천설계시 조도계수 선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실험 대상으로는 달뿌리풀, 물억새, 갈대를 선정하여 완전침수조건과 부분침수조건을 구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 분석을 통해서 각 식생에 대한 n-VR 관계를 제시하였다. 달뿌리풀, 물억새 및 갈대 등은 유사한 조도계수를 가지는 식생군으로 묶어서 분류하는 것은 가능하나 식생 강성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갈대의 실험 결과 비교를 통해서 식생의 성장 시기에 따라 조도계수의 특성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적인 생물서식공간을 위한 인공부도 조성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rtificial Floating Island for the Wild-Life Habitat)

  • 심우경;이광우;안창연;김민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4-91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technology of artificial floating island for the wild-life habitat at the reservoir of Korea University farm near Seoul. After the execution of an artificial floating island with 6 cells(each $3{\times}3m$), each cell was planted with 5 different species and one mixed of them, to the reservoir in 1999 through 2000. The monitor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ypha orientalis, Zizania latifolia and Oenanthe japonica were died back, but Phragmites communis, Phragmites japonica and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were well growing. 2. The limits of sinking water depth of the planting foundation were different with the plant species, that is, 40cm to the Juncus effusus var. dicipiens and 50cm to Phragmites communis. Accordingly the water depth should be kept differently with each species. 3. 33 species of fauna were monitored in the first year(1999) and 43 species in the second (2000) increasingly. 4. For the more wild-lives inducing to the artificial floating island, establishing the eco-corridor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as needed.

  • PDF

도심하천 수생식물의 흐름에 대한 대응 분석 및 식재영역 결정 (Flow response and habitat region of aquatic plants in urban streams)

  • 김성환;최계운;김진홍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4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도심구간 하천의 수생식물을 대상으로 흐름에 대한 대응양상 판단 및 식재영역 결정을 목표로 하였다. 수생식물로서 달뿌리풀, 갈대, 물억새, 개여뀌 및 고마리를 선정하고 흐름의 유속과 수심 및 식생의 성장도에 대하여 대응 분석하여 상기 수생식물의 식재영역을 결정하였다. 수생식물의 대응은 일반적으로 흐름에 대하여 안정, 회복, 훼손 및 유실로 구분되었다. 현지 조사 결과 수생식물의 회복과 훼손 정도는 식생의 휘어짐 각도를 기준으로 대략 $30^{\circ}{\sim}50^{\circ}$의 범위에서 구분되었다. 식생은 달뿌리풀, 갈대, 물억새, 개여뀌 순으로 흐름에 대한 대응력이 컸다. 달뿌리풀은 뿌리의 강한 고착력으로 수심이 0.9 m에서 유속 1.5 m/s까지 대응력이 강했다. 갈대는 수심 1.0 m와 유속 0.9 m/s 범위 내에서 흐름에 대응 가능하였다. 물억새는 대체적으로 수심 1.0 m와 유속 0.6 m/s 이하가 식재 가능 영역으로 제한된 식재 범위를 나타내었다. 개여뀌나 고마리는 흐름에 대한 대응력이 보다 약하며, 수심이 1.0 m를 넘는 경우 유속이 조금만 커져도 생존이 어려웠다. 상기 결과를 이용하여 수생식물 각 수종별 식재영역을 제시하였다.

금호강(대구, 경북)본류에서 유수변초본식생의 군락분류와 그 분포특성 (Syntaxonomy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Herbaceous Vegetation on Running Waterside in the Main Stream of Geumho River, Daegu and Gyeongsanbuk-do, Korea)

  • 이호준;정흥락
    • 환경생물
    • /
    • 제19권4호
    • /
    • pp.239-247
    • /
    • 2001
  • 1994년 6월부터 8월까지 금호강 본류의 유수변 초본식생을 식물사회학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수질환경과 관련된 식생의 분포특성을 밝혔다. 금호강 본류의 하변식생은 여뀌-미꾸리낚시군락(Persicaria sieboldi-Persicaria hydropiper community), 고마리군락(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물봉선군락(Impatiens textori community), 줄군락(Zizania latifolia community), 갈대군락(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물피군락(Echinochloa crus-galli var. oryzicola community)의 6군락으로 분류되어있다. 수질오염의 정도를 나타내는 BOD와 COD는 상류에서 각각 0.9ppm과 1.6ppm을 보였으며,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여 최하류에서는 각각 15.9ppm과 24.8ppm으로 나타났다. 하변식생의 분포유형은 최상류에 물봉선군락, 상류에서 중상류까지 여뀌-미꾸리낚시군락, 상류에서 중류까지 고마리군락, 중류에서 중하류까지 줄군락, 중하류에서 하류까지는 갈대군락 및 물피군락이 주로 우점하였다. 특히, 여뀌-미꾸리낚시군락과 고마리군락은 수환경의 생물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갈대의 INDOLE 화합물(化合物)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갈대 유아(幼芽)의 Indole 화합물(化合物) 검색(檢索)- (Studies on the Indoles in Common Reed. -[Part 1] Indole Compounds Occuring in the Shoot of Common Reed [Phragmites Communis Trin.]-)

  • 김용화;이춘영;김인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1호
    • /
    • pp.24-30
    • /
    • 1976
  • 갈대(Phragmites communis Trin.)의 지하경(地下莖)을 암소(暗所)에서 3일간 기른 싹의 메타놀 추출물(抽出物)을 TLC로 분리동정(分離同定)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검정(檢定)된 화합물은 주(主)로 indole amine류(類)였으며, serotonin, tryptamine, tryptophan등은 표준화합물과의 co-chromatography에 의해 동정되었고, 용매계를 달리하여 구한 Rf치 및 발색특성을 문헌과 비교하여 추정한 것으로는 bufotenine, N-methylserotonin, N,N-dimethyltryptamine이었으며, Skatole 및 gramine의 존재(存在)의 가능성도 추측(推測)되었다. 2. 갈대 생육의 일정기간 동안 indole 화합물의 methyl화(化) 및 hydroxyl화(化) 대사계(代謝系)의 활성(活性)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생각된다. 3. 본 실험에서 처음 시도된 "overlap"점적(點滴)법을 사용한 TLC방법(方法)은 시료중의 방해물질(妨害物質)의 영향으로 시료와 표준품 간에 동일 화합물(化合物)이 Rf치에 차이(差異)를 나타낼 때 시료중의 동일(同一) 화합물의 검정에 유용한 방법이 될 것이다.

  • PDF

Mass Loss and Changes of Nutrients during Decomposition of Phragmites communis at the Fringe of Stream

  • Mun, Hueong-Tae;Namgung, Jeong;Namgung, Jeong-Hee-Namg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2호
    • /
    • pp.157-161
    • /
    • 2000
  • Mass loss and changes of mineral nutrients during decomposition of Phragmites communis for 13 months from November 1998 to December 1999, were investigated at the fringe of stream at Boryeong, Chungnam Province in Korea. Plant materials, which were collected in November 1998. were divided into leaves, culms and rhizomes. Litterbags, 15${\times}$15 cm, were made of nylon mesh with 2-mm$^2$ holes. At 13 months after installation, remaining mass of leaves, culms and rhizomes was 29.0%, 57.4%, 20.6%, respectively. Mass loss rate of the culm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leaves and rhizomes. The decay rate of leaves, culms and rhizomes was 1.21. 0.42 and 1.48 per year, respectively. Initial concentration of N, P, K, Ca and Mg of leaves. culms and rhizomes was 22.5, 9.0, 15.5 mg/g for N, 0.34. 0.10, 0.33 mg/g for P, 15.0, 12.5. 12.3 mg/g for K, 2.84. 0.80, 0.03 mg/g for Ca. 1.94. 0.97, 0.40 mg/g for Mg, respectively. Concentrations of nutrients were higher in leaves than in culms and rhizomes. Except for N and Mg in rhizomes, there was no immobilization period during the decomposition. In the case of remaining K and Ca, most are lost during the first 3 months. Without any suitable method for removal of dead part, eutrophication of freshwater may be accelerated by dead macrophytes.

  • PDF

파주 갈대 샛강 생태적 복원을 위한 식생구조 모니터링 연구 (Monitoring on Vegetation Structure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Small Stream in Paju)

  • 김정호;이경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9-111
    • /
    • 2009
  • In this study vegetation structure was monitored focusing on slanting surface of stream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management plan and ecological restoration of small stream in Paju. The study was conducted by types of geographical structure, yearly flora, naturalization rate changes, actual vegetation changes, plant community changes. Slope area of small stream in Paju was varied in the slope range of $10{\sim}35^{\circ}$. The survey results of yearly flora showed that 37 species appeared in 2000, 55 species in 2001, 95 species in 2002, and 125 species in 2003. Therefore, the trend of continuous increase of flora each year was observed. In the case of yearly changes of actual vegetation, indigenous wetland herb community including Phragmites communis$(19.99%{\rightarrow}18.42%{\rightarrow}19.60%)$ did not show substantial changes in the area, while the influence of controlled flora such as Humulus scandens$(8.86%{\rightarrow}5.26%{\rightarrow}9.73%)$, and Ambrosia artemisiifolia$(1.06%{\rightarrow}1.43%{\rightarrow}6.93%)$ were increased. The vegetation structure investigated by 18 preset belt-transects also indicated that Phragmites communis and Miscanthus sacchariflorus were maintaining the status or decreasing the population, while the population of Humulus scandens, Ambrosia artemisiifolia, Setaria viridis, and Erigeron canadensis were greatly increased. Our proposal management to restore ecology is as follows: first,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Phragmites communis landscape; second, restoration of potential stream vegetation community; third, selection and removal of controlled plants.

낙동강변(洛東江邊)의 잡초식생(雜草植生)에 관(關)한 연구(硏究) (Floristic Composition and Community Dynamics Along the Nakdong River)

  • 김길웅;권순태;백경환;김진협;김학윤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7-74
    • /
    • 1990
  • 1989년(年)9월(月) 낙농강유역(洛東江流域) 38지점(地點)에서 총(總) 29과(科) 102종(種)의 잡초(雜草)가 조사(調査)되었다. 그 가운데 일년생(一年生) 광엽잡초(廣葉雜草)가 54%, 다년생(多年生) 광엽잡초(廣葉雜草)가 21%로 광엽잡초(廣葉雜草)가 전체(全體)의 72%를 점유(占有)하였다. 2차원적(次元的) 분류방법(分類方法)으로 환삼덩쿨(Humulus japonicum)군락(群落), 여뀌(Persicaria hydropiper)군락(群落),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군락(群落),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군락(群落), 개여뀌 - 강아지풀 - 바랭이(Persicaria blumei - Setaria viridis - Digitaria sanguinalis)군락(群落), 갈대(Phragmites communis)군락(群落)이 조사(調査)되었다. 가장 큰 군락(群落)은 갈대 군락(群落)이었고, 총(總) 38 조사지점중(調査地點中) 15지점(地點)에서 갈대가 발생(發生)되었고 고마리, 환삼덩쿨, 개여뀌 등(等)의 잡초(雜草)들이 우점발생(優點發生)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