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 crosslink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Photostabilization and Cure Kinetics of UV-Curable Optical Resins Containing Photostabilizers

  • Cho, Jung-Dae;Kim, Sung-Hwa;Chang, In-Cheol;Kim, Kwon-Seok;Hong, Jin-Wh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5권6호
    • /
    • pp.560-564
    • /
    • 2007
  • The photostabilization and cure kinetics of UV-curable, optical resins containing various formulations of photostabilizer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system with the highest cure conversion and durability. Photo-DSC analysis revealed that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a UV absorber (UVA) decreased both the crosslink density and the cure rate due to competition for the incident photons between the photoinitiator and the UVA, whereas including a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HALS) hardly affected either the cure conversion or the cure rate due to its very low absorption of 365 nm. This result was confirmed by FTIR-ATR spectroscopy and UV-visible spectroscopy analyses. QUV ageing experiments showed that the cure conversion and durability were the highest for the UVA/HALS formulation at a ratio of 1 : 2, which is due to their synergistic action.

충전재-탄성체 상호작용. 10. 카본블랙/NBR 복합재료의 계면 접착에 미치는 오존처리의 영향 (Filler-Elastomer Interactions. 10. Ozone Treatment on Interfacial Adhesion of Carbon Blacks/NBR Compounds)

  • 조기숙;;;박수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8권2호
    • /
    • pp.139-14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오존 처리에 의한 카본블랙의 표면특성을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와 접촉각을 통하여 알아보았으며, 카본블랙/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NBR)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은 가교밀도와 인열 에너지 ($G_{IIIC}$)를 측정하여 관찰하였다. 본 실험결과, 오존 처리에 의해 카본블랙 표면에 도입된 산소를 함유한 관능기가 카본블랙의 표면자유에너지를 증가시켰으며, 결과적으로 고무 복합재료의 가교밀도와 인열 에너지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오존처리에 의해 카본블랙 표면에 도입된 산소를 함유한 관능기가 카본블랙과 고무사이의 계면 결합력을 증가시켜 고무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이타이로신 공유결합으로 자기조립된 펩타이드 나노입자의 합성 (Synthesis of Self-Assembled Peptide Nanoparticles Based on Dityrosine Covalent Bonds)

  • 허윤미;민경익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9권1호
    • /
    • pp.112-11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공유결합인 다이타이로신 결합을 모방하여 비가역적 공유결합을 기반으로 한 펩타이드의 자기조립 방법을 연구하였다. 고밀도의 다이타이로신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Tyr-Tyr-Leu-Tyr-Tyr (YYLYY) 의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단량체를 선택하였다. 다이타이로신 결합으로 자기조립 된 펩타이드 나노입자는 가시광선 하에서 Ru(BPY)3Cl2 촉매를 사용하여 단일공정 광가교를 통해 합성되었다. 펩타이드 나노 입자의 크기에 대한 각 성분의 농도 효과는 동적 광산란, UV-Vis 분광법 및 투과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130 nm~350 nm범위의 펩타이드 나노입자의 크기별 최적의 합성 조건을 제시하였다.

광원 경화형 소재의 수축률평가를 통한 광경화 거동 평가 (Curing behavior of Photo-Curable Materials by Photo-Shrinkage Test)

  • 박지원;배경열;김판석;임동혁;김현중;조진구;김백진;이상협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2호
    • /
    • pp.57-62
    • /
    • 2010
  • 광원경화형 소재는 UV, 가시광선 등에 의해 반응하여 분자간의 가교가 일어나고 이러한 가교반응에 의해 물성이 제어되는 소재를 의미한다. 광원경화거동과정에서 수축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수축현상으로 인해 재료의 구조가 변하고 내부의 응력이 발생하는 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열경화에 의한 수축현상을 분석하는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광원경화에 대한 수축현상을 연구하는 분야는 현재 경화 수준이나 경화속도 등을 분석하는데 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축률 측정기를 통해 광원경화에 대한 수축현상을 실시간으로 살펴보고 재료의 차이에 따른 경화거동과 수축현상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관능기의 숫자가 변화함에 따라 수축률과 수축 속도의 변화가 생겼으며 분자량의 사슬길이에 따라 수축정도의 차이가 발생했다. 이러한 결과가 이론적인 결과 값인 양의 상관관계와는 반대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짐을 분석하였다. 이는 수축률이 단순히 분자량과 관능기 숫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분자구조에 따른 혼합물 내에서의 유동성 등에도 영향을 받음을 확인 할 수 있는 결과이다.

역전기투석용 광가교형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음이온교환막 제조 (Preparation of Polyacrylate-Based Non-Reinforced Anion Exchange Membranes via Photo-Crosslinking for Reverse Electrodialysis)

  • 김태훈;양석환;이장용
    • 멤브레인
    • /
    • 제34권1호
    • /
    • pp.70-78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역전기투석용 4차 암모늄이온을 음이온교환기로 갖는 폴리아크릴레이트계 광가교형 음이온교환막을 개발하였다. 역전기투석은 청정 재생에너지 생산 시스템이지만 출력이 낮고 핵심 소재인 분리막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으로 인해 상용화에 제한이 있다. 이에, 지지체가 없는 광가교형 음이온교환소재를 제조하였으며 개발한 고분자의 주쇄는 우수한 물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기반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분리막은 우수한 물리적, 화학적, 전기화학적 특성을 보였으며 상용 음이온교환막인 AMV와 비교하여 약 50% 낮은 분리막 저항을 보였다. 더욱이 CQAPPOA-35는 40 ㎛의 얇은 분리막 두께에도 불구하고 상용막과 동등 수준의 선택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QAPPOA-35을 적용한 RED 스택은 최대 2.327 W m-2 (flow rate : 100 mL min-1)의 출력 밀도를 보여 AMV가 도입된 것보다 15% 향상된 성능 특성을 보였다. 개발된 CQAPPOA-35이 광경화를 통해 쉽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RED 스택 특성도 매우 우수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개발된 CQAPPOA-35은 RED용 음이온교환막으로 상용 활용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외선 경화에 의한 아크릴 공중합체/다관능성 단량체 복합 감압점착제의 접착특성 변화 (Variation of Adhesion Characteristics of Acryl Copolymer/Multi-functional Monomer Based PSA by UV Curing)

  • 유종민;방패리;김형일;박지원;이승우;김현중;김경만
    • 폴리머
    • /
    • 제36권3호
    • /
    • pp.315-320
    • /
    • 2012
  • 아크릴 공중합체의 구조와 다관능성 단량체의 관능성 및 함량을 조절하여 반도체 제조공정에 적합한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아크릴 공중합체는 점착력을 부여하는 기본수지로 사용되었고 다관능성 단량체는 광가교 특성으로 인하여 3차원 가교구조와 가교밀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하였다. 아크릴 공중합체는 단량체 조성에서 2-ethylhexyl acrylate의 함량이 감소할수록 자외선 조사 후의 박리 점착력이 감소하였다. 광경화 특성을 갖는 다관능성 단량체의 탄소 이중결합 관능성이 증가할수록 자외선 조사 후 가교밀도가 증가하여 박리 점착력이 감소하였고 박리 후 웨이퍼 표면에 남게 되는 점착제 잔사물도 크게 감소하였다. 6관능성 단량체를 20 phr 포함하는 광가교형 감압점착제가 자외선 조사 전 점착력이 높고, 자외선 조사 후 박리 점착력이 낮고, 박리 후 웨이퍼 표면에 남게 되는 점착제 잔사물이 가장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