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sphorus Content

검색결과 900건 처리시간 0.034초

소족편 및 소족에 닭과 건대구를 첨가한 족편의 영양성분 - 연구노트 - (Nutritional Components of Cow Feet Jokpyun and Jokpyun Added Chicken and Codfish)

  • 곽은정;안효진;이경희;이영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07-310
    • /
    • 2003
  • 소족편, 소족에 닭을 첨가한 족편 및 건대구를 첨가한 족편의 영양성분을 검토한 결과 수분함량은 시료족편간에 유사하였고, 조단백질 함량은 소족편이 닭이나 건대구 첨가 족편보다 약간 높았으며 조지방과 회분함량은 낮았다.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건대구 첨가 족편이 가장 높았으나, linoleic acid는 닭첨가 족편 중에 가장 높은 비율로 함유되어 있었다. 아미노산조성은 g1ycine, proline, alanine, glutantc acid 순으로 높았으나, glycine과 alanine은 건대구 첨가 족편에, glutamic acid는 소족편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필수아미노산중에서 Iysine이 유사하게 모든 족편에서 가장 많았으며 methionine은 닭 첨가 족편에, valine은 소족편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3종 족편중 건대구 첨가족편은 다른 족편보다 필수아미노산의 조성비가 가장 낮았다. 칼슘과 인은 닭 첨가 족편에 가장 많았고 건대구 첨가 족편에 가장 적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족편은 사태나 사골의 용출액보다 조단백질과 칼슘함량이 2~3배 높은 양 농축되어 있어 영양적으로 우수한 음식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족편을 조리하기 간편하며 현대인들의 구미에 맞는 상품으로 개발하여 우리 고유의 전통음식을 지켜 나가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Optimal fertilizer application for Panax notoginseng and effect of soil water on root rot disease and saponin contents

  • Xia, Pengguo;Guo, Hongbo;Zhao, Hongguang;Jiao, Jie;Deyholos, Michael K.;Yan, Xijun;Liu, Yan;Liang, Zongsu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0권1호
    • /
    • pp.38-46
    • /
    • 2016
  • Background: Blind and excessive application of fertilizers was found during the cultivation of Panax notoginseng in fields, as well as increase in root rot disease incidence. Methods: Both "3414" application and orthogonal test designs were performed at Shilin county, Yunnan province, China, for NPK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and mineral fertilizers, respectively. The data were used to construct the one-, two-, and three-factor quadratic regression models. The effect of fertilizer deficiency on root yield loss was also analyzed to confirm the result predicted by these models. A pot culture experiment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incidence rate of root rot disease and to obtain the best range in which the highest yield of root and saponins could be realized. Results: The best application strategy for NPK fertilizer was $0kg/667m^2$, $17.01kg/667m^2$, and $56.87kg/667m^2$, respectively, which can produce the highest root yield of 1,861.90 g (dried root of 100 plants). For mineral fertilizers, calcium and magnesium fertilizers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root yield and the content of four active saponins, respectively. The severity of root rot diseas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soil moisture. The best range of soil moisture varied from 0.56 FC (field capacity of water) to 0.59 FC, when the highest yield of root and saponins could be realized as well as the lower incidence rate of root disease.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 used in these fields is excessive and that of potassium fertilizer is deficient. Higher soil moistur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increases the severity of the root rot disease.

중국 내몽골 사막지역에서 시비와 토양개량재가 신강포플러의 생장 및 양분에 미치는 영향 I. 처리 당년의 효과 (Effects of Fertilization and Soil Amendments on Growth and Nutrients of Populus alba var. pyramidalis in a Sandy Land of Inner Mongolia, China)

  • 경지현;손요환;이명종;이천용;윤호중
    • 임산에너지
    • /
    • 제23권2호
    • /
    • pp.9-20
    • /
    • 2004
  • 중국 내몽골자치구 Dengkou 지역 내 양묘장과 방풍림에 신강포플러(Populus alba var. pyramidalis)를 식재하고, 시비 및 보습제 처리를 한 다음 6개월이 경과한 후 생장을 조사하고, 토양과 엽 내 질소와 인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토양 수분함량 (중량 $\%$)은 양묘장과 방풍림에서 일반 사막화지에 비하여 $10\%$ 정도 높았다. 묘포장과 방풍림의 신강포플러는 전반적으로 질소 (N) 처리구 및 질소+인 (N+P)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수고 및 근원직경 생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분 농도에서는 N+P 처리구와 N 처리구에서 전질소 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 농도는 시비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나, 묘포장의 경우 오히려 무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Yuho 처리구에서는 다른 처리구보다 전질소와 인의 농도는 높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신강포플러 생장은 촉진시켰다. 초기 신강포플러 생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성분이 질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은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시비 및 토양 처리 후 당년에 조사한 결과이므로 이러한 처리가 신강포플러의 생장 및 양분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더 장기적으로 지속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조미 반건조 굴 가공품의 개발 (Development of Seasoned Semi-Dried Oyster)

  • 김혜숙;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475-1483
    • /
    • 2006
  • 현재 남해안 일대에서 과량 생산되고 있는 양식산 굴의 소비 촉진을 위하여 영양과 건강 기능성을 함유하면서 신세대의 기호에 맞는 굴 조미 건제품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최적조건에서 저장성 있는 조미 반건조 굴 가공품의 제조를 위하여 동결 굴을 해동한 다음 굴 특유의 비린내를 차폐하기 위하여 무즙($5{\pm}3^{\circ}C$, 2시간)에 침지, 수세 및 탈수하고 5분동안 증자하였다. 이어서 탈수(10분) 및 가열$(105^{\circ}C)$한 다음 조미액(간장 33.6, 밀가루 7.2, 물 40.5, 솔비톨 8.8, 미림 9.9)에서 5분 동안 침지한 후 열풍건조기($45^{\circ}C$, 6시간)에서 건조처리 하였다. 그리고 1% sodium alginate 용액에 침지, 건조($45^{\circ}C$, 1시간)한 다음 레토르트 파우치 필름에 충전, 밀봉한 후 저장성 부여를 위하여 $F_0$ value가 5.4분이 되도록 살균하여 조미 반건조 굴 가공품을 제조하였다. 최적 조건에서 제조된 코팅 및 조미처리 굴 가공품은 대조 제품(무코팅 및 무조미 건조 굴 가공품)에 비하여 수분 및 조회분이 약간 높았고, 조지방 및 조단백질은 낮았으며, 색조는 어두우면서 경도는 높았다. 코팅 처리 조미 반건조 굴제품은 또한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으면서 곡류 제한 아미노산인 lysine과 n-3계 지방산의 조성비가 높았다.

건조 토마토의 성분조성에 관하여 (Constituents of the DRIED TOMATO FRUITS(Lycopersicon esculentum, Mi Soo))

  • 정태영;조뢰문효;굉곡명충;가등박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0
    • /
    • 1987
  • 건조 토마토의 향미성분과 관련있는 성분조성을 알고자 무기질, 당, 유리형 아미노산, 핵산 및 지질등의 불휘발성 성분을 분석 정량하였다. 회분의 주요성분은 칼륨, 칼슘 및 인이며, 카드뮴과 남은 극소량함유 되였고, 당류에서는 glucose와 fructose가 주성분이었으며, fructose가 g1ucose보다 약간 함량이 높았다. 총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8322.5mg%이였고, 주요 아미노산은 asparagine, aspartic acid, urea, glutamic acid, ${\beta}-alanine$${\gamma}-aminobutyric\;acid$로서, 총 유리 아미노산의 58.01%를 차지하였다. 핵산과 관계되는 물질은 CMP, UMP, GMP 및 IMP였으며, 이중 CMP가 전채의 약 58.07%로서 가장 함량이 높았고, IMP가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총지질로 부터 얻어진 검화물 중의 지방산의 주성분은 $C_{18:2}$, $C_{18:1}$, $C_{16:0}$이었으며, 불검화물중의 주요성분은 stigmasterol 및 ${\beta}-sitosterol$이었다.

  • PDF

소의 사골(四骨) 중(中)의 영양성분 용출에 대한 산, 알카리 처리효과 (The effect of acid and alkali treatment on extracting nutrients from beef bone)

  • 박동연;이연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6-149
    • /
    • 1983
  • 사골(四骨) 용출액중(溶出液中) 영양성분 특히 칼슘, 인, 질소성분의 용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우선 산과 알카리 처리효과를 검토하였다. 산 처리로는 acetic acid를 0~0.8%까지, 알카리 처리로는 sodium bicarbonate를 0~0.05%까지 수준별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 처리의 경우 칼슘은 acetic acid 농도가 증가될수록 용출량도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특히 acetic acid 농도가 0.1% 이상일 때 유의적 증가를 보였으며 인은 0.3% 일 때 용출량이 급격히 증가되었다. Ca/P 비(比)는 acetic acid 농도가 0.01%까지는 1~2를 나타냈지만 그 이상의 모든 처리에서는 2 이상을 나타냈다. ${\alpha}$-amino N과 총 질소는 모두 acetic acid농도가 0.5% 이상일 때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알카리 처리의 경우는 칼슘, 인, 총 질소는 모든 처리에서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alpha}$-amino N은 sodium bicarbonate 농도가 0.05% 일 때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P<0.05) 이상의 결과에서 산 처리에 의해 영양성분의 용출은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알카리 처리에 의해서는 크게 증가되지 못했다.

  • PDF

산불유형과 회복정도에 따른 낙엽생산량과 임상으로 이입되는 영양염류 함량 (Comparison of Litter Production and Nutrient returned to Forest Floor according to Forest Fire Type and Recovery)

  • 김정섭;양금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7-7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2007년 7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4년 동안 강원도 삼척시에서 산불유형과 산불의 피해로부터 회복정도에 따른 낙엽생산량과 낙엽에 의해 임상으로 이입되는 영양염류 함량을 비교하였다. 산불대조구, 수관화 발생 조사구 (C-1, C-3), 지표화 발생 조사구(G-2)에서 4년간 평균 낙엽생산량은 각각 $7.74{\pm}2.56$, $1.17{\pm}0.67$, $2.97{\pm}0.44$, $2.92{\pm}0.42ton{\cdot}ha^{-1}{\cdot}yr^{-1}$로 나타났다. 낙엽 생산을 통해 임상으로 이입되는 4년간 평균 총질소, 총인, 칼륨, 칼슘과 마그네슘의 양은 산불대조구에서 각각 $22.20{\pm}12.43$, $1.16{\pm}0.46$, $2.68{\pm}1.44$, $16.22{\pm}4.69$, $1.36{\pm}0.32kg{\cdot}ha^{-1}{\cdot}yr^{-1}$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수관화 발생 조사구(C-1)에서는 각각 $3.73{\pm}2.31$, $0.10{\pm}0.09$, $0.27{\pm}0.20$, $2.75{\pm}2.58$, $0.24{\pm}0.27kg{\cdot}ha^{-1}{\cdot}yr^{-1}$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총질소, 총인,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의 5개의 영양염류를 합산하여 보면 낙엽에 의해 임상으로 이입되는 영양염류의 함량은 산불대조구 > 수관화 발생 조사구(C-3), 지표화 발생 조사구 (G-2) > 수관화 발생 조사구(C-1) 순으로 나타났다.

느티만가닥 버섯의 품질 및 휘발성 향기 성분 특성 (Quality and Volatile-Flavor Compound Characteristics of Hypsizigus marmoreus)

  • 박명수;박중현;오덕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52-558
    • /
    • 2011
  • 본 연구는 느티만가닥 버섯의 식품학적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써 느티만가닥 버섯의 일반성분, 아미노산 및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느티만가닥 버섯의 일반성분은 탄수화물이 60.1%, 조단백질 32.0%, 수분 8.98%, 회분 5.0%, 조지방 2.0%의 함양을 보였다. 무기물함량은 건조물 100 g을 기준으로 칼륨 429.5 mg, 인 101.9 mg, 나트륨 20.3 mg, 마그네슘 54.86 mg, 칼슘 2.7 mg, 아연 0.8 mg, 철 0.7 mg, 망간 0.2 mg, 구리 0.1 mg의 함량을 보였다. 느티만가닥 버섯의 총 아미노산 분석 결과 17가지의 아미노산이 분석되었으며, glutamine acid가 2,340 mg/100 g으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연속증류추출장치와 GC-MS를 사용하여 느티만가닥 버섯의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8종의 aldehyde류, 7종의 alcohol류, 1종의 acid 류 및 1종의 함황화합물을 비롯하여 총 17종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이 중 2,3,6-trimethy1 pyridine이 전체 향기성분의 42.51%를 차지하였고, 1-octen-3-ol, buty1hydroxytoluene (BHT), isoocty1 phthalate, 3-octanal, 1-undecanol, 2-amylfuran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느티만가닥 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식품재료로서의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노랑갈퀴 자생지의 생태학적 특성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Korean Endemic Plant, Vicia chosenensis Habitat)

  • 박윤미;김만조;황석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90-49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홍천 지역에 자생하는 노랑갈퀴(Vicia chosenensis) 개체군을 대상으로 개체군 내 결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규명하기 위해 생물적, 무생물적 환경 요소를 조사하였다. 자생지 내 교목 층은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가운데 소나무가 드물게 존재하고 있었으며, 관목층은 생강나무, 조록싸리가 우점하고 있었다. 초본류는 결실이 된 노랑갈퀴와 미 결실된 노랑갈퀴 주변에 공통적으로 우산나물이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21%), 넓은잎외잎쑥(13~18%)과 큰기름새(10~11%)가 다음으로 높은 빈도수를 나타내었다. 자생지의 토양 특성을 분석한 결과, 토양 수분은 20.4~21.9%, 유기물 함량은 8.6~14.9%, 전질소함량은 0.3~0.5%, 유효인산은 12.7~16.9 parts per million, 양이온 치환용량은 22.5~28.5$cmol_ckg^{-1}$, 평균 산도는 pH 5.3~5.5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노랑갈퀴는 빛이 많이 들어오는 곳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결실이된 개체가 미 결실된 개체보다 수관의 열림 정도가 크고 상대적으로 광량이 풍부한 숲틈에 분포하였다. 따라서 노랑갈퀴의 개체군 유지를 위해서는 간벌 등을 통해 상층목을 적절히 제거함으로서 숲틈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 Uneven Distribution of Mating Type Genes in Natural and Cultivated Truffle Orchards Contributes to the Fructification of Tuber indicum

  • Li, Qiang;Fu, Yu;Sun, Qun;Sourzat, Pierre;Yang, Mei;Liu, Chengyi;Tan, Hao;Ye, Lei;Zou, Jie;Wu, Chenguang;Zhang, Bo;Li, Xiaolin
    • Mycobiology
    • /
    • 제46권1호
    • /
    • pp.64-71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distribution of mating type (MAT) genes of Tuber indicum in ectomycorhizosphere soils from natural T. indicum-producing areas and cultivated truffle orchards and ascocarp samples from different regions. Quantitative real-time PCR and multiplex PCR were used to weight the copy numbers of MAT1-1-1 and MAT1-2-1 in natural truffle soils and cultivated orchard soils. The effect of limestone on the pattern of truffle MAT gen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oil properties and the proportion of MAT genes were also assess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n uneven and nonrandom distribution of MAT genes was common in truffle-producing areas, cultivated truffle orchards, and ascocarps gleba. The competition between the two mating type genes and the expansion of unbalanced distribution wa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ruffle fructification. Limestone treatments failed to alter the proportion of the two mating type genes in the soil. The content of available phosphorus in soi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value of MAT1-1-1/MAT1-2-1 in cultivated and natural ectomycorhizosphere soils. The application of real-time quantitative PCR can provide reference for monitoring the dynamic changes of mating type genes in soil.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tributional pattern of T. indicum MAT genes in the ectomycorhizosphere soil and ascocarp gleba from different regions, which may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cultivation of T. indic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