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spholipid fatty acid analysi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33초

Characterization of Interphase Microbial Community in Luzhou-Flavored Liquor Manufacturing Pits of Various Ages by Polyphasic Detection Methods

  • Li, Hui;Huang, Jun;Liu, Xinping;Zhou, Rongqing;Ding, Xiaofei;Xiang, Qianyin;Zhang, Liqiang;Wu, Chongd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130-140
    • /
    • 2017
  • It is vital to understand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interphase microbial communities and interspecies synergism during the fermentation of Chinese liquors. In this study, microbial communities in the three indispensable phases (pit mud, zaopei, and huangshui) of Luzhou-flavored liquor manufacturing pits and their shifts during cellars use were first investigated by polyphasic culture-independent approaches. The archaeal and eubacterial communities in the three phases were quantitatively assessed by combined phospholipid ether lipids/phospholipid fatty acid analysis an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In addition, qualitative information regarding the microbial community was analyzed by PCR-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terphase microbial community profiles were quite different, and the proportions of specific microbial groups evolved gradually. Anaerobic bacteria and gram-positive bacteria were dominant and their numbers were higher in pit mud ($10^9$ cells/g) than in huangshui ($10^7$ cells/ml) and zaopei ($10^7$ cells/g). Hydrogenotrophic methanogenic archaea were the dominant archaea, and their proportions were virtually unchanged in pit mud (around 65%), whereas they first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in zaopei (59%-82%-47%) and increased with pit age in huangshui (82%-92%). Interactions between microbial communities, especially between eubacteria and methanogens, played a key role in the formation of favorable niches for liquor fermentation. Furthermore, daqu (an essential saccharifying and fermentative agent) and metabolic regulation parameters greatly affected the microbial community.

인삼사포닌이 동물생체의 주정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Alcohol Metabolism in the Animal Body)

  • Joo, Chung-N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222-227
    • /
    • 1992
  • Unlike carbohydrats and fats, alcohol is essentially foreign to the body and it is known that the body get rid of it by oxidizing alcohol maily in the liver. Acetaldehyde is produced during ethanol metabolism and is known to be oxidized mainly by aldehyde dehydrogenase (ALDH). ALDH activity was found mainly in the mitochondrial fraction but a significant ALDH activity was also present in microsomal and cytosol fraction. Wistar rats (150~200 g, male) were given freely with 12% ethanol (Control) and/or 12% ethanol containing 0.1% ginseng saponins (Test) instead of water for 6 days and the liver was analyzed. ALDH activities of both control and test group were lower than that of normal group but test AkDH was less inhibited than control. ADH activies of both control and test were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group but our previous data showed that it became gradually steady after prolonged ethanol feeding. MEOS activities of both control and test group were much higher than that of normal group. MEOS enzymes are inducible but the activity of test group was grea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Ethanol containing [1-i4C] ethanol (5 $\mu$Ci) was injected to the above three groups and 30 min later, the distribution of radioactivity of hepatic lipids was investigated. Radioactivities of hepatic lipids of both control and test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normal group, however, that of test group was much lower than that of control. Analysis of individual lipids showed that phospholipid biosynthesis was significantly impaired and fatty acid and triglycerides biosynthesis were greatly stimulated. However, it was realized that the saponin prevented phospholipid biosynthesis depression and the increase of triglyceride biosynthesis considerably. It seemed that the saponin might stimulate ADH, ALDH and MEOS and the acetaldehyde formed would be removed faster. The excess hydrogen can be shunt more quickly into lipid biosynthesis.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showed that the hepatic cell of control group was si gnificantly damaged. Mitochondria were swollen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were dilated, however, hepatocytes of test group were not damaged.

  • PDF

논과 밭 토양에서 토층간 미생물 군집의 차이 (Variation of Microbial Community Along Depth in Paddy and Upland Field)

  • 김찬용;박기춘;이영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9-143
    • /
    • 2009
  • 인지질 지방산을 분석하여 특정 미생물군의 수직적 분포와 토층간 미생물 군집 패턴을 조사하였다. 경북 농업기술원에 위치하고, 질소, 인산, 가리의 화학비료만 장기 연용한 논과 밭 포장에서 15 cm 깊이까지 토양을 채취하였다. 인지질 지표 지방산을 주요인 분석으로 분석하여 토양 미생물 군집을 분석한 결과 논과 밭 토양의 미생물 군집은 뚜렷하게 구분되었으며, 토층간 차이보다 논과 밭의 차이가 더 컸다. 논보다 밭은 토층이 깊어짐에 따라 미생물 군집이 급격하게 변하였는데, 미생물 군집 측면에서 밭보다 논의 표층이 더 두껍다고 볼 수 있다. cyclopropyl/monoenoic precursor 비율과 전체 포화지방산/전체 불포화 지방산 비율은 토심이 깊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이는 토심이 깊어질수록 탄소원과 통기가 부족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대체로 표토는 그램음성균, 곰팡이 등의 상대적 비율이 높고 토심이 깊어질수록 세균과 방선균의 상대적 비율이 높아졌다.

두중(杜仲)의 수치(修治)에 따른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EXPERIMENTAL STUDIES OF EUCOMMIAE CORTEX ACCORDING TO PROCESSING)

  • 박선동;김길훤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1권
    • /
    • pp.81-107
    • /
    • 1992
  •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s of Eucommiae Cortex,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herb medicines used for invigorating the liver and kidney and strengthening ones and muscles, fetus-soothing etc.,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geniposidic acid and geniposide by HPLC, and the analgesic effects of mice, the lipid metabolism of rats, the catecholamine concentration in the brain and the plsma of rats stressed by immobilization.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contents of geniposidic acid and geniposide were 22.3mg/g, 5.4mg/g in Eucommiae Cortex without processing, and 119.8mg, 10.4mg/g in Eucommiae Cortex fried with salts. 2. In analgesic effects of mice, there were all significant in Eucommiae Cortex without processing and Eucommiae Cortex fried with salts. 3. In the effects of lipid metabolism of rats, there were not significant on the change of organ weight and the level of serum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phospholipid, HDL-cholesterol. But, there were significant on the level of free fatty acid. 4. In tile effects of the catecholamine concentration in the brain and the plsma of rats stressed by immobilization, there were all significant in Eucommiae Cortex without processing and Eucommiae Cortex fried with salts, especially in case of norepinephrine. From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ere were significant on the analgesic effects of mice, and the catecholamine concentration in the brain and the plsma of rats stressed by immobilization. And there were different from Eucommiae Cortex without processing and Eucommiae Cortex fried with salts in the contents of geniposidic acid and geniposide. These results are relative to invigorating the liver and kidney and strengthening ones and muscles, and fetus-soothing, therefore when we use Eucommiae Cortex, it is more desirable to use Eucommiae Cortex with processing.

  • PDF

Effects of Cover Crops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Biota in a Pear Orchard

  • Eo, Jinu;Park, Jin-Myeon;Park, Kee-Cho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5-21
    • /
    • 2015
  • The use of cover crops has a beneficial effect on sustainable soil management in pear orchards. We aimed to compare changes i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biota with the use of different cover crops. We tested the effects of five cover plants, including hairy vetch, orchard grass, rattail fescue, rye, and perennial ryegrass. Use of different cover crops had a minimal impact on soil chemical properties through three year experiments. The aboveground biomass was greatest with the use of rye. The potential amounts of returnable N and P were highest when leguminous hairy vetch was used as a cover plant.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microbial community were investigated by phospholipid fatty acid (PLFA) analysis. Microbial PLFAs were highest with the use of rattail fescue and lowest with the use of hairy vetch. Minimal changes in the abundances of nematodes and microarthropods suggested that there was no bottom-up control in the soil ecosystem. The results also show that increases in aboveground biomass and nutrient content with the use of cover crops may not promote the abundance of soil organisms.

시용 유기물의 종류가 고추 재배지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Amendments on Soil Microbial Community in Red Pepper Field)

  • 박기춘;김영숙;권오훈;권태룡;박상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8-125
    • /
    • 2008
  • 다비작물이면서 재배기간이 긴 고추 재배지에서 당년의 효과를 기대하고 시용되는 유기물은 각 지역마다 사용되는 종류가 다양함으로 이들이 토양 미생물 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수피, 우분, 왕겨, 볏짚과 이것으로 만든 퇴비가 토양의 화학적 미생물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퇴비가 pH를 포함한 토양 화학적 특성 변화에 가장 효과적이었고 수피는 유기물 증가에 기여하였다. 인지질 지방산의 토양 생물학적 지표 분석에서 퇴비는 방선균과 균근균 밀도 증가에 효과적이었으며, y19:0/18:1w7c와 단불포화/포화 지방산의 비율도 증가시켰다. 수피는 곰팡이 밀도 증가에 효과적이었고, 왕겨와 볏짚은 퇴비와 수피 만큼의 토양 미생물상 군락에 미치는 효과는 적었으나 왕겨가 볏짚 보다 컸다. 그리고 전체 미생물 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PLFA와 Biolog EcoPlate 성적을 주요인 분석으로 살펴 본 결과 수피가 두 가지 방법 모두에서 다른 처리 특히 퇴비 처리구와는 구별 되는 미생물 군을 형성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퇴비와 수피가 토양의 화학적 특성과 미생물상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특히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두 유기 토양 개량제의 영향은 방향이 크게 다르므로 신선 수피의 토양 개량제로의 이용은 더 많은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RFLP, PLFA, CLSU를 이용한 폐기물연용토양의 토양미생물 특성 평가 비교 (Comparison of Bi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Organic Waste-treated Lysimeter Soil by RFLP, PLFA, and CLSU)

  • 장갑열;원항연;이강효;권순익;공원식;서장선;성재모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15-418
    • /
    • 2008
  • 폐기물 연용토양의 미생물 군집 분석을 위해 공단지역 하수 슬러지 처리등 16처리(3수준)에 대하여 가장 좋은 방법을 찾고자, RFLP, CLSU, PLFA, TGGE 의 4가지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들 4가지 방법에 대하여 시기별 군집변동 조사를 통한 통계적 비교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미생물의 경시적 군집 변동상 관찰은 PLFAs (Phospholipid Fatty Acids)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RFLP는 많은 종류의 제한 효소의 사용이 필요하다. TGGE는 DNA 추출을 통해 비배양학적인 분석에서는 가장 좋은 방법이나 PCR조건 등 실험 과정에서 토양종류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여 비슷한 조성의 토양분석에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만성 알코올 섭취시 2-Acetylaminofluorene 투여가 흰쥐 간 미토콘드리아 ATPase 활성도와 막지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ronic Alcohol Feeding and 2-Acetylaminofluorene Treatment on Hepatic Mitochondrial ATPase Activity and Membrane Lipid Composition in Rats)

  • 김정희;류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67-873
    • /
    • 1995
  •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가 미토콘드리아의 지질조성 및 ATP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아울러 간의 발암물질인 2-AAF를 토여하여 간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에 미치는 상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120~125g 숫쥐에게 열량의 35%를 알코올로 공급하여 6주간 사육하였으며 알코올 섭취 4주 후에 2-AAF를 3일 간격으로 2회 복강투여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체중 증가, 식이 섭취량 및 식이효율에 대한 알코올의 효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2-AAF에 의한 유의적인 효과는 관찰할 수 없었다. 알코올 섭취군이 대조군 보다 체중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2. 미토콘드리아 ATPase 활성도는 알코올 섭취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2-AAF 투여에 의해서는 유의적이지 않으나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대조군(C)에 비하여 알코올 섭취와 2-AAF투여군(EA)에서 ATPase 활성도가 29.3%의 감소를 나타냈다. 3. 간 미토콘드리아 콜레스테롤 함량은 알코올 섭취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미토콘드리아 총 인지질량은 알코올과 2-AAF에 의한 상호작용에 의해 알코올 투여군에서만 2-AAF 투여시 유의적인 증가 효과를 보여주었다. C/PL 비율은 알코올 섭취와 2-AAF 투여 보두에서 유의적인 효과는 보이지 않았으나 군간 비교시 알코올군(E)이 대조군(C) 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4. 간 미토콘드리아의 CL량은 알코올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PS와 PI량은 차이가 없었다. 알코올 섭취로 PC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PE량은 차이가 없엇으며, 2-AAF 투여시 PC량은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 PE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E/PC 비율은 알코올 투여에 의해 유의성은 없었으나 감소경향을 나타냈으며, 2-AAF 투여에 의해서는 유의적인 증가 효과가 나타났다. 5. 알코올 섭취시 미토콘드리아의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stearic acid는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UFA/SFA와 UI는 알코올군에서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2-AAF 투여에 의해서도 linoleic acid는 감소되고 arachidonic acid는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 UI값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나타난 ATPase 호라성도 변화는 비토콘드리아의 콜레스테롤변화, C/PL 비율, 인지질 조성이나 지방산 조성의 변화 등 막지질 조성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레시틴이 강화된 인삼 추출물 제조 방법 (Method for Supplementing Lecithin to Ginseng Extract)

  • 박순혜;김일웅;김동만;김시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245-1250
    • /
    • 2006
  • 본 연구는 레시틴이 강화된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우선 대두유 레시틴을 대두유와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LCS를 제조하였다. 고형분 함량이 10%인 홍삼 물추출물과 LCS의 비율을 3:1로 하여 혼합하여 vortexing한 뒤 혼합액을 원심분리하여 오일 층과 수용액 층을 분리하였다. 수용액 층에 대하여는 레시틴과 사포닌의 정성 및 정량분석을 행하였다. 홍삼 추출물에 대하여는 LCS처리 전 후 지방산 조성과 조지방 함량도 조사하였다. 또한, LCS를 처리한 홍삼 추출물에 대하여는 농축 후 $4^{\circ}C,\;25^{\circ}C,\;40^{\circ}C$/6개월 Falcon 튜브에 넣어 보관하면서 상부 1/3과 하부 1/3의 레시틴 함량을 조사함으로써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LCS처리로 인한 홍삼 추출물의 조지방 함량은 변화 없었고, 지방산 조성 변화는 oleic acid의 증가 이외에는 특별한 결과를 관찰할 수 없었다. 홍삼 추출물로의 레시틴 이행율은 대두유에 대한 레시틴의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정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LCS-처리 전 후 홍삼 추출물 중의 지방산 조성과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LC 및 HPLC 조사 결과 역시 LCS-처리 전 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3가지 조건에 6개월간 보관하면서 보관용 튜브의 상 하부 1/3의 레시틴 함량과 사포닌 조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LCS-처리 홍삼 농축액의 안정성은 만족할 만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레시틴 함유 대두유 혼합액으로 홍삼 추출물을 처리하는 방법은 홍삼 추출물에 레시틴을 강화시킬 수 있는 안정성이 뛰어나고 처리 공정이 간편한 방법이라 판단한다.

상추 및 오이 시설재배 토양의 미생물 다양성 분석 (Microbial Diversity and Community Analysis in Lettuce or Cucumber Cultivated Greenhouse Soil in Korea)

  • 김병용;원항연;박인철;이상엽;김완규;송재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169-1175
    • /
    • 2011
  • 시설재배지의 토양미생물 분포 특성을 밝히고 토양의 건전성을 평가하고자, 전국 주요 시설재배 8개 주산단지에서 각각 5포장을 선정하여 토양화학성, 미생물분포 및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토양화학성은 가용성인산, 칼륨, 칼슘의 함량이 적정범위보다 크게 상회하여 상당량의 염류 집적을 확인하였다. 토양미생물의 배양적 방법을 통해 조사한 시설재배지의 주요 우점 박테리아는 Bacillus 속, Microbacterium 속, Arthrobacter 속, Lysobacter 속 등이었으며, 형광성 Pseudomonas 속의 밀도는 상추와 오이 재배지에서 각각 $0.018-7.3{\times}10^4\;cfu\;g^{-1}$, $0.0013-9.6{\times}10^4\;cfu\;g^{-1}$으로 시료에 따라 큰 변이를 보였다. 비배양학적 방법을 통한 토양미생물 분포 조사를 위해 수행한 인지질지방산 (PLFA)의 주성분 분석 결과, 작물 및 지역별 군집구조의 큰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토양화학성 및 미생물군집구조 측면에서 시설재배지 조사지역의 토양은 대체로 건전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