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hosphatidylcholine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31초

The beneficial effect of glycerophosphocholine to local fat accumulation: a comparative study with phosphatidylcholine and aminophylline

  • Kim, Go Woon;Chung, Sung Hy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5권4호
    • /
    • pp.333-339
    • /
    • 2021
  • Injection lipolysis or mesotherapy gained popularity for local fat dissolve as an alternative to surgical liposuction. Phosphatidylcholine (PPC) and aminophyl-line (AMPL) are commonly used compounds for mesotherapy, but their efficacy and safety as lipolytic agents have been controversial. Glycerophosphocholine (GPC) is a choline precursor structurally similar to PPC, and thus introduced in aesthetics as an alternative for PPC.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GPC on adipocytes differentiation and lipolysis and compared those effects with PPC and AMPL using in vitro and in vivo models. Adipogenesis in 3T3-L1 was measured by Oil Red O staining. Lipolysis was assess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glycerol released in the culture media. To evaluate the lipolytic activity of GPC on a physiological condition, GPC was subcutaneously injected to one side of inguinal fat pads for 3 days. Lipolytic activity of GPC was assessed by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in adipose tissue. GPC significantly suppressed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L1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22.3% inhibition at 4 mM of GPC compared to control). Moreover, when lipolysis was assessed by glycerol release in 3T3-L1 adipocytes, 6 mM of GPC stimulated glycerol release by two-fold over control. Subcutaneous injection of GPC into the inguinal fat pad of mice significantly reduced the mass of fat pad and the size of adipocytes of injected site, and these effects of GPC were more prominent over PPC and AMPL.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GPC is the potential therapeutic agent as a local fat reducer.

방사선 조사에 의한 쥐 조직의 포스포리파제 D의 활성 변화 (Alteration of Phospholipase D Activity in the Rat Tissues by Irradiation)

  • 최명선;조양자;최명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197-206
    • /
    • 1997
  • 목적 : Phospholipase D (PLD)는 phosphatidylcholine을 phosphatidic acid (PA)와 choline으로 가수분해 시키는 효소이다. 최근 이 효소는 다른 phospholipase들과 유사하게 세포 신호전달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아울러 발암과정에 관여하리라는 추측을 하게 하고 있다. 이 실험에서는 쥐를 방사선 조사하여 각 조직에서 올레산-PLO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방법 : PLD assay를 위한 반응 혼합물에는 $0.1\;\muCi$$1,2-di[1^{14}C]palmitoyl$ phosphatidylcholine, 0.5mM phosphatidylcholine, 5mM sodium oleate, $0.2\%$ taurodeoxycholate, 50mM HEPES buffer(pH 6.5), 10mM $CaCl_2$와 25mM KF 를 함께 넣어주었다. 생성된 PA는 TLC로 분리하여 그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사용된 동물은 암컷 Wistar 쥐로서 코발트 60 원격치료 기기를 이용, 조사범위를 $10cm\times10cm$로하여 분당 선량율 2.7Gy로 방사선 조사선랸 l0Gy와 25Gy를 조사 하였다. 결과 : PLD 활성은 폐조직에서 가장 높았으며 신장, 근육, 리, 비장, 골수, 흥선. 간의 순으로 나타났다. 방사선 조사결과 PLD 활성에 변동을 보인 조직은 흥선, 비장, 폐와 골수이며, 특히 흉선과 비장은 PLD의 할성이 각각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와는 반대고 골수의 PLD는 $3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PLD 활성값이 가장 낮은 판은 방사선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 결론 : 동물전신에 방사선 조사시 PLD가 가장 민감한 영향을 받는 조직은 림프양 기관과 조혈 세포인 것으로 보여 PLD가 이들 조직의 생리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암시해 주고있다. 더 나아가 방사선 긴장 (radiation stress)이 이들 조직의 세포증식내지 괴사현상연구에 중요한 수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ELSD를 이용한 레시틴중의 포스파티딜콜린의 분석 (Determination of Phosphatidylcholine in Korea Functional Foods Containing Lecithins using HPLC with Evaporative Light-Scattering Detector (ELSD))

  • 이창희;반경녀;조태용;이주연;이영자;채갑용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67-271
    • /
    • 2005
  • 본 연구는 세포막의 구성성분으로서 인체의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물질인 인지질을 정량하기 위하여 인지질의 주요성분인 포스파티딜콜린에 대해 HPLC/ELSD를 이용한 신속, 정확한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HPLC의 조건은 silica column을 사용하고 헥산:이소프로판올:물-30:60:8을 유속 0.5 ml/min으로 포스파티딜콜린을 분리하였고 ELSD 검출기를 사용하여 nebulizer온도는 $60^{\circ}C$. drift tube온도는 $75^{\circ}C$, carrier gas 30 psi로 하여 20 min내에 분리하였으며 검량선은 250 ppm$\∼$1,000 ppm으로 하여 정량하였다. 시료의 회수율은 $8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정량한계는 0.15 ppm이였다. 또한 이 분석법을 이용하여 실제 유통되고 있는 레시틴제품(난황레시틴 2종, 대두레시틴8종)에 대해 인지질의 함량과 포스파티딜함량을 조사한 결과, 인지질의 함량은 각각 81.5$\∼$83.3$\%$, $66.0\∼88.0\%$로 나타났으며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은 각각 74.8$\∼$ 8.6$\%$$18.7\∼62.3\%$로 난황레시틴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초호열성균이 생성하는 phospholipase $A_2$에 관한 연구 (Phospholipase $A_2$ excreted from the cells of hyperthermophilic microbes)

  • 조용계;우효경;김연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3-271
    • /
    • 1999
  • We checked the presence of phospholipase $A_2(PLA)_2$ which could split the ester bond at the position 2 in the glycerol backbone of glycerophospholipids, in the cells of hyperthermophiles of Pyrococcus horikoshii and Sulfolobus acidocaldariu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Pyrococcus horikoshii cells were grown in obligate anaerobic conditions at $95^{\circ}C$ and they needed sulfur as energy source instead of oxygen, while Sulfolobus acidocaldarius species grew well in the aerobic medium (pH 2.5) containing yeast and sucrose at $75^{\circ}C$. (2). Pyrococcus horikoshii cells produced phospholipase $A_2$ in the cell culture media although this species did not show lipase activity at least in the pH range of 1.5 ${\sim}$ 3.5. Sulfolobus acidocaldarius cells produced lipase hydrolyzing triacylglycerols such as triolein, but did not split any kind of phospholipids used as substates. (3). The compound of 1-decanoyl-2-(p-nitrophenylglutaryl) phosphatidylcholine was not suitable for a substrate in this experiment, though frequently used as a subtrate for checking presence of phospholipase $A_2$, for its decomposi-tion in this experiment. The L-${\alpha}$-phosphatidylcholine-${\beta}$-[N-7-nitrobenz-2-oxa-1, 3-diazol]aminohexanoyl-${\gamma}$-hexadecanoyl labelled with a fluorescent material, did not show any migration of acyl chains in the molecule during the reaction with phospholipase $A_2$ under a hot condition. (4). Phospholipase $A_2$ in the cells of Pyrococcus horikoshii, showed the optimum activity at $pH6.7{\sim}7.2$ and $95{\sim}105^{\circ}C$, respectively, and was activated by addition of calcium chloride solution. Andthe phospholipase $A_2$ specifically hydrolyzed glycero-phospholipids such as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serine and phosphatidyl inositol, but could not split phospholipid containing ether bonds in the molecule such as DL -${\alpha}$-phosphatidylcholine-${\beta}$-palmitoyl-${\gamma}$-O-hexadecyl, DL-${\alpha}$-phosphati- dylcholine-${\beta}$- oleoyl-${\gamma}$-O-hexadecyl, DL-phosphatidylcholine-dihexadecyl.

D609, an Inhibitor of Phosphatidylcholine-specific Phospholipase C, Inhibits Group IV Cytosolic Phospholipase A2

  • Kang, Mi Sun;Jung, Sung Yun;Jung, Kwang Mook;Kim, Seok Kyun;Ahn, Kyong Hoon;Kim, Dae Kyo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6권5호
    • /
    • pp.481-485
    • /
    • 2008
  • As an inhibitor of phosphatidylcholine-specific phospholipase C (PC-PLC), D609 has been widely used to explain the role of PC-PLC in various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This study shows that D609 inhibits group IV cytosolic phospholipase $A_2$ ($cPLA_2$), but neither secretory $PLA_2$ nor a $Ca^{2+}$-dependent $PLA_2$. Dixon plot analysis shows a mixed pattern of noncompetitive and uncompetitive inhibition with $K_i=86.25{\mu}M$ for the $cPLA_2$ purified from bovine spleen. D609 also time- and dose-dependently reduces the release of arachidonic acid from a $Ca^{2+}$- ionophore A23187-stimulated MDCK cells. In the AA release experiment, $IC_{50}$ of D609 was ${\sim375}{\mu}M$, suggesting that this reagent may not enter the cells easily.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the inhibitory effects of D609 on various cellular responses may be partially attributable to the inhibition of $cPLA_2$.

대두사포닌이 침투된 인공 인지질 생체유사막의 열에 의한 상변화에 관한 연구 (The Thermotropic Phase Behaviors of Artificial Phospholipid Liposomes Incorporated with Soyasaponin)

  • Kim, Nam-Hong;Roh, Sung-Bae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3-327
    • /
    • 1993
  • 인공 생체유사막을 인지질인 dimyristoyl phosphatidylcholine (DMPC)로 제조하여 인지질 막에 미치는 대두사포닌의 영향을 시차열량 분석계로 연구하였다. 대두사포닌이 침투되기 전, 후의 인지질막의 상그림을 얻어 상 전이시 엔탈피의 변화와 협동단위수를 상법에 따라 계산하였다. 대두사포닌이 침투된 인지질 막의 상그림은 순수 인지질 막의 상 그림에 비해 넓적하게 변하였으며 특이하게 상전이 온도를 낮추었다. 이것은 인지질막의 이중층에 침투된 대두사포닌이 인지질 이중층의 협동단위를 감소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대두사포닌은 인지질 막 이중층의 유동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사료된다.

  • PDF

포스파티딜콜린의 액정형성을 이용한 로즈마린산 포집 효율연구 (A Study on Entrapment Efficiency of Rosmarinic Acid Using Liquid Crystal Phosphatidylcholin)

  • 강기춘
    • 공업화학
    • /
    • 제24권2호
    • /
    • pp.132-137
    • /
    • 2013
  • 포스파티딜콜린이 다량 함유된 수첨레시틴을 이용한 실험에서 액정구조가 잘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액정구조를 형성하는 물질로는 포스포리피드, 에탄올, 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고 로즈마린산을 지표물질로 캡슐화하였다. 액정의 평균입자크기는 480 nm ~ $3{\mu}m$로 이는 액의 구성물질과 물리적인 힘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리포좀과 비교했을 때 액정구조는 매우 높은 캡슐화 효율을 보였다. 수첨레시틴의 함량이 증가하면 많은 액정을 형성하였고, 수첨레시틴의 함량이 적으면 액정의 양도 적게 나타났다. 로즈마린산을 함유한 액정구조의 방출실험결과 리포좀으로 형성된 베지클보다 훨씬 적은 양이 방출됨을 알 수 있었다.

지질 이중막에 결합된 항균성 펩타이드 protegrin-1에 의한 지질 분자의 정열도 변화 (Alignment change of lipid molecules in lipid bilayers by an antimicrobial peptide protegrin-1)

  • 김철
    • 분석과학
    • /
    • 제28권2호
    • /
    • pp.106-111
    • /
    • 2015
  • 얇은 유리판 위에 인지질과 항균성 펩타이드 protegrin-1을 혼합한 용액을 도포시키고, 95% 상대습도 하에서 방치함으로써 형성된 지질-펩타이드 혼합체의 변화를 31P 고체 핵자기 공명분광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화에 의한 변화와 공기 중에서 건조한 상태에서의 변화 그리고 반복적인 수화와 건조 과정에 의한 시료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각 과정에서의 지질 이중막의 파괴 정도를 이론적 모사 과정을 통해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지질-펩타이드 혼합체는 수화와 건조를 통해 가역적인 변화를 일으켰고, 반복과정에 의해 가장 안정한 평형 상태로 접근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