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omenological Study

검색결과 1,052건 처리시간 0.029초

기울어진 덕트 내 헬리컬 코일의 자연대류 열전달 (Natural Convection Heat Transfer of an Inclined Helical Coil in a Duct)

  • 박주현;정범진
    • 에너지공학
    • /
    • 제23권2호
    • /
    • pp.13-20
    • /
    • 2014
  • 헬리컬 코일이 덕트 내부에 있을 때, 기울기에 따른 자연대류 열전달을 실험적으로 측정하였다. 고부력 조건을 구현하기 위하여 유사성에 기초하여 열전달 실험을 대신하여 물질전달 실험을 수행하였다. RaD 수 $4.55{\times}10^6$에서, 턴(Turn) 수를 1~10, P/D를 1.3~5, 헬리컬 코일의 기울기를 $0^{\circ}{\sim}90^{\circ}$까지 변화시켰다. 헬리컬 코일의 턴 수가 1일 때, 측정된 $Nu_D$ 수는 McAdams의 수평관 자연대류 열전달 상관식과 거의 일치하였다. 기울어진 덕트 내 헬리컬 코일의 자연대류 열전달은 피치, 턴 수, 덕트 높이에 따라 복합적으로 변화하였고 이는 속도 효과, 굴뚝 효과, 예열 효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Compact heat exchanger에서의 자연대류 열전달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에 기여한다.

가정폭력피해여성들과 일하는 한국 사회복지사들의 감정이입 갈등에 관한 연구 (Korean Social Workers' Struggles to Be Empathic with Their Battered Women Clients)

  • 정혜숙
    • 사회복지연구
    • /
    • 제37호
    • /
    • pp.145-170
    • /
    • 2008
  • 본 연구는 한국의 가정폭력피해여성들과 일하는 사회복지사들의 감정이입에 관한 임상적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조사한 것으로 이 현장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심층면담을 통해 그들의 감정이입 욕구와 갈등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 첫째, 사회복지사들은 상담과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클라이언트들의 선입견과 낯설음이 초기관계에서 그들이 시도하는 감정이입노력에 저항하는 요인들로 경험하고 있으며, 둘째, 친밀한 배우자관계에서 발생하는 가정폭력 피해의 특성들(쉽게 단절될 수 없는 폭력 위기와 정서적 유대감의 공존 등)로 인해 사회복지사들은 클라이언트에 대한 감정이입을 계속 유지하는데 매우 큰 의지와 에너지를 소진하고 있음을 보고 하였다. 따라서 가정폭력피해여성들과 일하는 사회복지사들의 감정이입능력을 개발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문가들의 투신과 에너지를 지지해 줄 수 있는 대안들(임상슈퍼비젼과 전문적 지지망 등)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사물놀이 연주자의 악기 대상관계 경험 (Samulnori Musicians' Experiences of Object Relations With Their Instruments)

  • 김천사;김경숙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8권2호
    • /
    • pp.87-10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연주자가 사물놀이에서 경험하는 악기와의 대상관계 현상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사물놀이 연주자 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을 통한 심층 면담을 시행하고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Giorgi(2004)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21개의 의미단위, 7개의 하위 범주, 3개의 대범주가 도출되었다. 3개의 대범주는 '중간대상의 매체', '내적 욕구 표현 및 인식의 수단', '타인 인식과 소통의 도구'로 나타났다. 사물놀이에서 악기는 연주자에게 내적 몰입을 도와주는 대상 경험을 하게 하는 매체가 된다. 또한 연주자는 악기연주를 통해 자신의 내적 욕구를 표현하고 자신의 성격과 정체성에 대해 새롭게 인식한다. 이와 동시에 연주자는 악기 특성과 사물놀이에서의 역할에 따라 악기를 사람처럼 대상화하여 내적 표상을 형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연주에서의 관계를 이해하고 타연주자와 소통한다. 마지막으로 사물놀이에서 악기는 연주자에게 이상적 자기 성격에 따른 대리적 대상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물놀이라는 합주 형태가 연주자의 대상관계 발달을 촉진하며 연주자의 내면화된 표상체계와 상호작용 방식을 외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는 연주자와 악기 간의 심리내적인 기능적 관계를 밝히고 음악치료에서 사물놀이 악기 활용에 대한 기초를 제시해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극저온용 폴리우레탄 폼에 미치는 케블라 펄프의 영향 (The Effects of Kevlar Pulp on Polyurethane Foam for Cryogenic Temperature)

  • 오종호;배진호;이제명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5권6호
    • /
    • pp.514-520
    • /
    • 2018
  • Polyurethane foam ha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nd insulation performance, and has been adopted as an insulation material for $-163^{\circ}C$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In this study, Kevlar Polyurethane Foams(K-PUF) were synthesized by adding Kevlar pulp with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existing polyurethane foam. Since polyurethane foam has mechanical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proportions of Kevlar pulp added,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K-PUF with ratios of fiber0.2wt.%, 0.4wt.%, 0.6wt.%, 0.8wt.% and 1.0wt.%) was evaluated. The compression tests were performed on the 4 different temperatures($20^{\circ}C$, $-50^{\circ}C$, $-110^{\circ}C$ and $-163^{\circ}C$)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s a cryogenic insulation used in LNG carrier. Besides, the effects of the fiber addition on polyurethane foam with closed cell structure were evaluated in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rough SEM analysis. All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Neat-polyurethane foam. As a results, 0.8wt.% K-PUF showed the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and the addition of Kevlar pulp in a certain ratio improves the mechanical performance by enhancing the compression resistance.

저소득 조손가정 조모의 양육경험 연구 (Study on Experience with Grandmother in Low-income Grandparent-headed Family)

  • 신명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655-662
    • /
    • 2019
  • 본 연구는 현상학적 해석학을 바탕으로 저소득 조손가정의 조모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조모의 양육의 어려움과 양육스트레스에 대해 이해하고자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 조손가정 조모의 양육스트레스 경험은 경제적 어려움, 노후의 걸림돌이 된 손자녀, 양육의 막막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조손가정 조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복지개입 방향과 역할을 구체화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한다면 첫째, 현재 시행 중인 지원사업을 재검토하여 지원내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저소득 조손가정 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지지프로그램의 개발과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조모의 양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 문화와 더불어 멘토링 프로그램을 만들어 부족한 원조관계망을 보완하는 지원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대처 경험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Experience in Coping with End-of-life Care Nursing)

  • 김동희;이라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10-72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가 경험하는 임종간호 대처 경험의 구조를 규명하여 경험의 의미를 파악, 기술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현상학적인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6명의 임종간호 대처 경험을 심층적으로 면담하였고, Colaizzi가 제시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대처 경험은 3개의 범주와 15개의 주제모음으로 구조화하여 규명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의 임종간호 경험의 세 범주는 '임종환자를 돌보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태도', '임종간호 스트레스', '임종간호 대처'이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더불어 대처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전문가 상담과 같은 프로그램의 운영을 제언한다.

자녀의 초경 경험을 통한 어머니의 초경 경험 재구성 : Parse의 연구방법 적용 (Understanding the reconstruction experiences of mothers through their child's menarcheal experiences by using Parse's human becoming theory)

  • 권진숙;박시현;함옥경;손민;이은진;이재연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1-223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construction experience of mothers who had recently experienced a late-school age daughter's menarche by utilizing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Parse's human becoming theory. Data were collected using purposive and snowball sampling methods to recruit the mothers of elementary fifth- and sixth-grade girls recently experiencing menarch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arse's research methodology. As a result, the mothers' experiences appeared as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menarche-related values created by themselves by facing the child's menarche experiences and related responses along with the change of era." The key concepts of there construction experiences of the mothers were "experiencing an ambivalent feeling of pity and pride," "celebrating her instead of expressing concerns," "giving a traditional lesson of protecting oneself to a new generation," and "feeling empathy as a woman and also alienation due to the generational gap." These findings reveal the important roles and competencies of community and school nurses in terms of achieving a healthy and positive reconstruction experience for mothers and their daughters.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mothers who are about to encounter their daughters' menarche.

산업간호사의 학생실습지도 경험 (Occupational Health Nurses' Experience in Occupational Health Nursing Practice Education)

  • 한영미;오진주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09-121
    • /
    • 2021
  • 본 연구는 산업간호실습을 지도한 산업간호사들의 특수한 경험을 탐색하여 현상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참여자는 한 학기 이상 산업간호실습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8명의 산업간호사였다. 포커스 그룹으로 수집된 자료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산업간호사의 학생실습지도 경험은 4개의 범주, 13개의 주제모음, 27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4개의 범주는 '자신의 경험에서 시작한 학생실습지도', '어려움 속에서도 학생실습을 진행함', '보람을 느낌', '대안의 제시'였다. 산업간호사의 학생실습지도에 있어서의 주요한 경험에 대한 이해는 산업간호실습 교과목 특성에 맞는 실습규정의 수립 등 산업간호실습 교육과정을 개선 또는 개발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산업간호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에 대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산업간호실습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좀 더 풍부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아동 발달센터에서 근무하는 신입 작업치료사의 감각통합 임상 적응과정 (Sensory Integration Clinical Adaptation of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at a Child Private Clinic Center)

  • 홍현택;이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9-54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아동 발달센터에서 근무하는 신입 작업치료사들이 감각통합치료 임상 적응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이해하고 본질을 파악하여 임상에서의 적응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참여자는 임상경험이 1년 미만인 4명이다. 자료수집은 심층 면담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내용은 녹음 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아동 발달센터에서 근무하는 신입 작업치료사의 적응과정을 분석한 결과, 3가지 범주, 6가지 주제, 16개의 중심의미가 도출되었다. 범주로는 아동 발달센터에서 근무하는 신입 작업치료사는 적응과정을 겪으며 임상 실행에서 오는 어려움, 근무환경에서 오는 장애, 센터 내부에서의 긍정적 요소, 센터 외부에서 오는 지원, 스스로의 노력, 적응을 하며 바뀜을 경험하였다. 결론 : 아동 발달센터에서 감각통합치료를 하는 신입 아동 작업치료사들이 적응하여 충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관과 주변의 도움이 필요할 것이다.

Using machine learning to forecast and assess the uncertainty in the response of a typical PWR undergoing a steam generator tube rupture accident

  • Tran Canh Hai Nguyen ;Aya Diab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9호
    • /
    • pp.3423-3440
    • /
    • 2023
  • In this work, a multivariate time-series machine learning meta-model is developed to predict the transient response of a typical nuclear power plant (NPP) undergoing a steam generator tube rupture (SGTR). The model employs Recurrent Neural Networks (RNNs), including the Long Short-Term Memory (LSTM), Gated Recurrent Unit (GRU), and a hybrid CNN-LSTM model. To address the uncertainty inherent in such predictions, a Bayesian Neural Network (BNN) was implemented. The models were trained using a database generated by the Best Estimate Plus Uncertainty (BEPU) methodology; coupling the thermal hydraulics code, RELAP5/SCDAP/MOD3.4 to the statistical tool, DAKOTA, to predict the variation in system response under various operational and phenomenological uncertainties. The RNN models successfully captures the underlying characteristics of the data with reasonable accuracy, and the BNN-LSTM approach offers an additional layer of insight into the level of uncertainty associated with the prediction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LSTM outperforms GRU, while the hybrid CNN-LSTM model is computationally the most efficient. This study aim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pabilities and limitations of machine learning models in the context of nuclear safety. By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ML models to more severe accident scenarios, where operators are under extreme stress and prone to errors, ML models can provide valuable support and act as expert systems to assist in decision-making while minimizing the chances of human e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