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olic acid

검색결과 1,593건 처리시간 0.03초

오동나무 잎의 페놀성 화합물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Paulownia Coreana Uyeki)

  • 사전령;김진규;권동주;배영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16-23
    • /
    • 2005
  • 강원대학교 구내림에서 오동나무 잎을 채취하여 아세톤-물(7:3, v/v)로 추출하고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acetate 및 $H_2O$ 등 네 개의 분획으로 분리한 후 에틸아세테트용성 분획물을 Sephadex LH-20으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으며 용리용매는 메탄올 수용액과 에탄올-헥산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flavonoid류 화합물인 (+)-catechin, (-)-epicatechin, apigenin, luteolin, taxifolin과 phenolic acid류 화합물인 $\rho$-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및 $\rho$-coumaric acid를 단리 하였다. 단리된 화합물은 NMR 및 MS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 PDF

Ide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Quantification of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in Roasted Wil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Leaves

  • Seog, Ho-Moon;Jung, Chang-Hwa;Choi, In-Wook;Park, Yong-Kon;Cho, Hong-Y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349-354
    • /
    • 200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systemically identify phenolic compounds in roasted wil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leaves and investigate their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even phenolic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NMR (H, C, COSY, HMQC, HMBC) and mass (EI-MS, FAB-MS) analyses: 5-caffeoylquinic acid, kaempferol, quercetin, 3,4-dihydroxy-benzoic acid, 4-hydroxy-benzoic acid, 3-(3,4-dihydroxyphenyl)-2-propenoic acid, and 3-(4-hydroxy-3-methoxyphenyl)-2-propenoic acid. Their concentrations ranged from 0.4 (3,4-dihydroxy-benzoic acid) to 7.5 mg (kaempferol) per 100 g of roasted leaves. Among these compounds, 5-caffeoylquinic acid, kaempferol, and quercetin were found exclusively in the leaf portions of the ginseng plants. When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by DPPH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quercetin, and kaempferol were most effective.

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잎과 뿌리의 페놀산 조성 및 활성산소 소거활성 (Phenolic Acid Contents and ROS Scavenging Activity of Dandelion(Taraxacum officinale))

  • 김영찬;노정해;김경탁;조장원;이영경;최웅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25-331
    • /
    • 2008
  •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80% ethanol extracts and various solvent fractions of dandelion (Taraxacmn officinale) leaves and roots, Total phenolics and phenolic acid contents were also examined. The total phenol content of leaves and roots were $7.9{\pm}0.4%$ and $9.4{\pm}0.3%$ respectively. Eight phenolic acids were separated by GC, among which caffeic acid (113.7 mg%)and m-coumaric acid (152.6 mg) were the dominant phenolic acids in leaves and roots, respectively. Amongst solvent functions of leaves and roots,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 strong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otal phenol content and electron-donating abil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a similar trend as electron-donating ability. Hydroxyl-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than other factions. In particular, the SOD-like activity was highest (43.6%)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dandelion leaves, and was higher than that of trolox. Thus,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dandelion leaves exhibited significant phenol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free-radical-scavenging effects.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페놀성 항산화 성분의 동정 (Identification of Phenolic Antioxidant Components Isolated from Panax ginseng)

  • 위재준;박종대;김만욱;이형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1호
    • /
    • pp.50-56
    • /
    • 1989
  • 인삼으로 부터 분리된 4종의 페놀성성분을 IR, MS 및 $^1H-NMR$분석한 결과 salicylic acid, p-coumaric acid, gentisic acid 및 caffeic acid로 동정되었다. 이중 gentisic acid 및 caffeic acid는 인삼에서 처음으로 분리 동정되었다.

  • PDF

국내산 아까시나무와 밤나무 유래 propolis의 영양성분 및 페놀성 화합물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Phenolic Compound in Propolis Collected from Falseacacia and Chestnut Tree in Korea)

  • 송효남;길복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46-551
    • /
    • 2002
  • 국내에서 채집되는 propolis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아까시나무와 밤나무를 밀원 식물로 하여 채집된 propolis와 그의 70% ethanol 추출물(EEP)에 대한 영양성분 및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밀원식물에 따른 큰 차이 없이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EEP의 경우 propolis 분말에서보다 대부분의 성분들이 상당량 감소되었다. 주요 무기질 5종은 일반성분과는 달리 채집지역과 수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고, 대체로 아까시나무의 propolis가 무기물 함량이 많았다. 아까시나무의 propolis에는 칼슘함량이 가장 많았고, 밤나무 propolis는 칼륨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반면에 EEP에서는 두 시료 모두 칼륨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아미노산은 총 16종이 검출되었고, aparagine, cysteine, glutamine 및 tryptophan은 검출되지 않았다. 특히 밤나무 propolis에서는 methionine도 검출되지 않았다. Aspartic acid가 가장 많았고, methionine의 함유량은 극히 적었으며, 아까시나무 propolis가 아미노산 함유량이 전반적으로 더 높았다. 추출수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 EEP의 total polyphenol 함량은 $13.9{\sim}23.7%$였고, propolis의 phenolic fraction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인 flavonoids 함량은 $8.6{\sim}10.8%$로 나타나 다른 식품재료에 비하여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고성능 박막크로마토그래피로 페놀성 화합물을 정성분석한 결과 시료종류에 상관없이 거의 동일한 pattern의 chromatogram을 나타내었다. Polyphenol 화합물의 HPLC 분석에서는 약 16개의 peak가 검출되었고, 이중 p-hydroxy benzoic acid, caffeic acid, ferulic acid, benzoic acid, cinnamic acid 및 chrysin의 6종을 동정하였다. 시료간의 chromatographic pattern은 동일하여 propolis를 구성하는 페놀성 화합물의 종류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Studies on the antioxidant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3

  • Han, Byung-Hoon;Park, Myung-Hwan;Nam, Han-Y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53-58
    • /
    • 1981
  • The effective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showing the lipid-peroxide depressing activity were isolated. From the ether-soluble acidic fraction of fresh ginseng three phenolic acids were obtained. Salicylic acid and vanilic acid exhibited the potent antioxidant activity, where p-hydroxycinnamic acid did not.

  • PDF

Inhibitory Activity of IL-6 Production by Flavonoids and Phenolic Compounds from Geranium thunbergii

  • Liu, Qing-He;Woo, Eun-Rha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4권1호
    • /
    • pp.16-20
    • /
    • 2008
  • Three flavonoids (1 - 3) and three phenolic compounds (4 - 6) were isolated from the whole plant of Geranium thunbergii Sieb. et Zucc (Geraniaceae).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chemical and spectral analysis. These compounds were examined for the inhibitory activity of IL-6 production in $TNF-{\alpha}$ stimulated MG-63 cell. Among the isolated compounds, gallic acid (4) and gallic acid methyl ester (6) showed potent inhibitory activity.

검정콩의 주요 항산화 원인물질 및 항산화 효과의 비교 (A Major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lack Soybean)

  • 김선희;권태완;이영순;정명근;문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3-77
    • /
    • 2005
  • 검정콩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 중 주요 항산화 원인물질을 구명학기 위하여 청자콩의 isoflavone, 토코페롤, phenolic acids 및 안토시아닌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genistein이 43.86mg%, daidzein이 31.73mg% 함유되어 있었으며, 토코페롤 함량은 ${\alpha}$-토코페롤이 1.99mg%, ${\beta}$-토코페롤 0.47mg%, ${\gamma}$-토코페롤 10.68mg%, ${\dalta}$-토코페롤 3.95mg%이 함유되어 있었다. 11종류의 phenolic acids에서는 benzoic(126.70mg%)>p-coumaric(67.68)>salicylic(59.40)>gentisic(43.19)>ferulic(16.57)>syringic(15.04)>chlorogenic(8.00)>caffeic(4.53)>vanillic(2.82)>p-OH benzoic(2.47)>trans-cinnamic acid(1.00)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검정콩 종피에 함유되어 있는 안토시아닌을 측정한 결과 delphinidin 3-glucoside가 1.42, cyanidin 3-glucoside 5.77 및 petunidin 3-glucoside가 0.30mg/g이었다. 검정콩에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물질들 (안토시아닌, isoflavone, phenolic acids 및 토코페롤)을 검정콩에 들어있는 함량과 비례하도록 조제하여 TEAC법으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genistein, gentisic acid, ${\gamma}$-토코페롤, 안토시아닌의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 종류의 항산화 물질들의 시너지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이들은 서로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안토시아닌을 혼합할 때 시너지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나 검정콩의 항산화 효과에 안토시아닌이 크게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밭 잡초(雜草)중에 존재(存在)하는 Allelopathy 관련(關聯) Phenol 화합물(化合物)의 검색(檢索)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Responsible for Allelopathy in Upland Weeds)

  • 김재철;한강완;장병춘;신현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58-264
    • /
    • 1988
  • 밭 주요(主要) 우점잡초(優占雜草) 중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을 보였던 쑥, 냉이, 쇠비름 및 토끼풀에 대하여 이들 잡초(雜草) 중에 존재(存在)하는 phenol화합물(化合物)을 Paper chromatography(PC) 및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에 의하여 분리(分離) 확인(確認)하였고, 검출(檢出)된 phenol화합물(化合物)이 검정식물(檢定植物)의 발아(發芽) 및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였다. PC에 의하여 검정(檢定)된 phenol화합물(化合物)은 4초종(草種) 모두에서 methanol추출물(抽出物) 보다는 물추출물(抽出物)에서 많은 종류(種類)가 확인(確認)되었다. 4초종(草種)의 두가지 추출물(抽出物) 모두에서 PC로 분리(分離)된 phenol화합물(化合物)은 ferulic acid이었으며, benzoic acid는 물추출물(抽出物)에서만 확인(確認)되었다. HPLC에 의해서는 hydroquinone, p-hydroxybenzoic, ferulic 및 cinnamic acid가 전초종(全草種)에서 분리(分離)되었다. PC 및 HPLC로 분리(分離) 확인(確認)된 phenol화합물(化合物) 중 p-hydroxyhenzoic, ferulic 및 cinnamic acid는 검정식물(檢定植物)의 발아(發芽) 및 발아후(發芽後) 생육(生育)에 높은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보였다. 이들 phenol화합물(化合物)은 일반적(一般的)으로 발아(發芽)보다는 유묘(幼苗)의 근생장(根生長)에 더 큰 저해(沮害)를 나타내었다.

  • PDF

고추장과 발효액이 첨가된 알래스카 산 프리미엄 명란의 ABTS, FRAP, total phenolic acid의 항산화 특성 분석 (Antioxidant Properties (ABTS, FRAP, Total Phenolic Content) of Alaska and Gochujang Pollock Roes and Fermented Pollock Roe Seasoning)

  • 장종수;황지영;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61-1468
    • /
    • 2018
  • 알래스카 산 대구(Gadus chalcogrammus)는 북태평양에 분포하는 대구과 한류 어종이다. 알래스카 산 대구의 명란 원료, 프리미엄 고추장 명란, 프리미엄 발효 명란을 증류수와 에탄올로 추출하여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철 환원 항산화능(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FRAP), 총 페놀함량을 평가하였다. 명란 원료의 증류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ABTS+ 소거능은 1.0 mg/ml 농도에서 각각 50.1%, 53.1%였다. 고추장 명란의 증류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ABTS+ 소거능은 1.0 mg/ml 농도에서 각각 71.3%, 71.6%였다. 발효 명란의 증류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ABTS+ 소거능은 1.0 mg/ml 농도에서 각각 68.7%, 70.4%였다. 명란원료의 증류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ABTS+에 대한 최소 저해 농도 값($EC_{50}$)은 각각 12.49 ug/ml과 12.21 ug/ml이었다. 고추장 명란의 증류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FRAP에 대한 최소 저해 농도 값($EC_{50}$)은 각각 10.67 ug/ml과 10.56 ug/ml이었다. 발효 명란의 증류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에 대한 최소 저해 농도 값($EC_{50}$)은 각각 10.45 ug/ml과 10.31 ug/ml이었다. Gallic acid를 대조구로 할 때 총 페놀 함량에 대한 상대적 활성은 명란 원료가 52.0%, 고추장 명란이 61.1%, 발효 명란이 63.6%였다. 명란 원료보다 고추장 명란과 발효 명란에서 ABTS+, FRAP 소거능 및 총 페놀 함량이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