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llinus linteus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5초

The Determination of the Partial 28S Ribosomal DNA Sequences and Rapid Detection of Phellinus linteus and Related species

  • Park, Hyung-Sik;Kim, Gi-Young;Nam, Byung-Hyouk;Lee, Sang-Joon;Lee, Jae-Dong
    • Mycobiology
    • /
    • 제30권2호
    • /
    • pp.82-87
    • /
    • 2002
  • Species of Phellinus were known to harmful fungi causing white pocket rot and severe plant disease such as canker or heartrot in living trees in the West, but some species have been used to traditional medicines in the Orient for a long time. In this study the partial D1-D2 nucleotide sequences of 28S ribosomal DNA from 13 Phellinus strains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e sequences of 21 strains obtained from GenBank database. According to the neighbor-joining(NJ) method comparing the sequence data the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The phylogenetic tree displayed the presence of four groups. Group I includes P. ferreus, P. gilvus and P. johnsonianus, Group II contains P. laevigatus, P. conchatus and P. tremulae, Group III possesses P. linteus, P. weirianus, P. baumii, P. rhabarbarinus and P. igniarius, and Group IV comprises P. pini, P. chrysoloma. P. linteus and P. baumii, which were used mainly in traditional medicine, belong to the same group, but exactly speaking both were split into two different subgroups. To detect P. linteus only, we developed the PCR primer, D12HR. The primer showed the specific amplification of P linteus, which is permitted to medicinal mushroom in the East. The results make a potential to be incorporated in a PCR identification system that could be used for the rapid identification of this species from its related species, P. linteus especially.

금사목질진흙버섯 자실체 추출물의 in vivo 항암활성 및 급성, 아 급성 독성 시험 (In vivo Antitumor Activity and Acute, Subacute Toxicity of Keumsa (Phellinus linteus) Extracts)

  • 김종명;박준덕;박동찬;김병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388-1396
    • /
    • 2013
  • 본 연구는 인공재배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인 금사목질진흙버섯 자실체 추출물의 mouse sarcoma cells인 S-180 세포에 대한 정맥 투여 시 항암 효과와 급성독성 및 4주 아 급성 독성에 대한 보고이다. 금사목질진흙버섯 자실체 추출물의 항암효과는 250 mg/kg에서 대조군 대비 42.7%의 크기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급성 독성에서는 $LD_{50}$치가 632.84 mg/kg (♂)과 814.48 mg/kg (♀)로 나타났으며, 이자와 장기의 무게비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 영향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4주 아 급성 독성 시험에서 $LD_{50}$치는 355.41 mg/kg (♂)과 383.53 mg/kg (♀)로 나타났으며, 특히 250 mg/kg 투여군에서는 간의 무게 비가 2배 정도 증가하는 현상과 황색 반점이 나타났다. 특히 125 mg/kg 이상 투여군에서는 점프 능력과 민첩성 등의 운동 능력이 현저히 증가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이에 대한 정확한 메카니즘은 확인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금사목질진흙버섯 자실체 추출물에 대한 표준물질 정제 과정을 통한 작용기전과 운동능력 향상에 대한 실험 등이 추가된다면 유효 농도에서 독성이 낮으면서도 암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천연물 신약의 후보 물질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목질진흙버섯 Phellinus linteus HN1009K의 항산화 활성과 항염증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HN1009K)

  • 강희완;이만휘;서건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43-247
    • /
    • 2013
  • 최근 농가에서 재배하고 있는 상황버섯 종에 비하여 균사생장이 빠르고 자실체 발생과 생육이 빠른 P. linteus HN1009K (HK1009)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HK1009의 균사체와 자실체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효과를 기존에 재배되고 있는 P. linteus (PL, Korea Sangwhang)과 P. baumii (PB, Jangsu Sanghwang)를 대조구로 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HK1009는 균사체와 자실체 추출물 모두 PL과 PB에 비하여 항산화 활성이 높았으며 xanthine oxidase분석에서는 PL, HK1009, PB순으로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RAW264.7세포를 이용한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 PB(EX), PL(EX), HK1009(EX)시료의 NO assay 결과는 PB, PL, HK1009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원액 $200{\mu}g/ml$ 에서는 $7{\sim}8{\mu}M$ 정도로 염증 억제 효과가 뛰어났다. RAW 264.7 세포에 대한 MTT assay 결과에서 PB(EX), PL(EX), HK1009(EX) 추출물의 원액처리구 에서도 세포의 생존능이 70% 이상을 유지하여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Submerged Culture of Phellinus linteus for Mass Production of Polysaccharides

  • Lee, June-Woo;Baek, Seong-Jin;Kim, Yong-Seok
    • Mycobiology
    • /
    • 제36권3호
    • /
    • pp.178-182
    • /
    • 2008
  • In order to increase the mycelial production of Phellinus linteus, which exhibits potent anticancer activity, some ingredients of the medium used to culture P. linteus were investigated. The optimal medium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of Phellinus linteus was determined to be as follows: fructose, 40 g/l; yeast extract, 20 g/l; $K_2HPO_4$, 0.46 g/l; $K_2HPO_4$, 1.00 g/l; M$MgSO_4\cdot7H_2SO$, 0.50 g/l; $FeCl_2\cdot6_2O$, 0.01 g/l; $MnCl_2\cdot4H_2O$, 0.036 g/l; $ZnCl_2$, 0.03 g/l; and $SuSO_4\cdot7H_2O$, 0.005 g/l.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were determined to be as follows: temperature, 28$^{\circ}C$; initial pH, 5.5; aeration, 0.6 vvm; and agitation, 100 rpm, respectively. Under optimal composition and conditions, the maximum mycelial biomass achieved in a 5 l jar fermentor was 29.9 g/l.

Molecular Detection of Phellinus linteus and P. baumii by PCR Specific Primer

  • Nam, Byung-Hyouk;Kim, Gi-Young;Park, Hyung-Sik;Lee, Sang-Joon;Lee, Jae-Dong
    • Mycobiology
    • /
    • 제30권4호
    • /
    • pp.197-201
    • /
    • 2002
  • Specific primer sets based on ribosomal DNA(rDNA) internal transcribed specer(ITS) sequences were designed for rapid detection of Phellinus linteus and P. baumii.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with these primers produced unique bands for each Phellinus species. The annealing temperature range is from $40^{\circ}C\;to\;55^{\circ}C$. The length of PCR products(P. linteus and P. baumii) using designed combinative primer sets of PL1F, PL2R, PB1F, PB2R, ITS5F and ITS4R, were from 520 by to 730 bp. Fifteen strains of Phellinus species including P. linteus, P. baumii, P. weirianus, P. johnsonianus, P. rhabarberinus, P. pini, P. gilvus, P. igniarius, P. nigricans and P. laevigatu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Five strains, including two isolated strains of P. linteus(MPNU 7001 and MPNU 7002), and two isolated strains of P. baumii(MPNU 7004 and MPNU 7005) were shown to have about 520 bp (PL1F-PL2R), 700 bp (TTS5F-PL2R) and 600 bp (PB1F-ITS4R) -sized PCR single bands respectively. This molecular genetic technique provided a useful method for rapid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P. linteus and P. baumii.

상황버섯 자실체로부터 항비만성 라이페이스 저해물질의 정제 (Purification of Anti-obesity Lipase Inhibitor from the Fruiting Body of Phellinus linteus)

  • 이종국;송정화;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7-6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버섯으로부터 새로운 항비만 치료(예방) 효과를 갖는 물질을 추출, 정제하여 그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기능성식품 개발의 소재로 용용하고자 lipase 저해 활성이 높은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의 lipase 저해 물질을 각종 chromatography로 정제 하였다. 먼저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자실체 추출물에 대한 용매 계통분획을 실시하여 저해 활성이 가장 높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얻었고 이를 3차례의 sillicas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분취용 HPLC를 실시하여 $IC_{50}$값이 175 ng의 lipase 저해활성을 가진 연한 연두색 분말의 정제된 lipase 저해 물질을 얻었다. 정제한 lipase 저해물질을 일련의 NMR spectrometry를 실시한 결과 분자량이 523.06 Da으로 추정되었고 225.1 nm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가진 물질이었다.

Phylogenetic Analysis and Rapid Detection of Genus Phellinus using the Nucleotide Sequences of 18S Ribosomal RNA

  • Nam, Byung-Hyouk;Lee, Jae-Yun;Kim, Gi-Young;Jung, Heon-Ho;Park, Hyung-Sik;Kim, Cheng-Yun;Jo, Wol-Soon;Jeong, Soo-Jin;Lee, Tae-Ho;Lee, Jae-Dong
    • Myco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33-138
    • /
    • 2003
  • Analysis of phylogenetic relationship was performed among Phellinus species based on 18S ribosomal subunit sequence data. Twenty-five strains of 19 Phellinus species including P. linteu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Regions of 18S ribosomal subunit were very conserved, but some variable regions between Phellinus species were observed. The species-specific detection primers, modified by 2 or 3 nucleotides in sense primer were designed based on 18S ribosomal DNA(rDNA) sequence data. The 210 by PCR bands were detected with annealing temperature $48^{\circ}C$. The 18S 2F-18S 4R detection primer set distinguished P. linteus from various Phellinus species but some species like P. baumii, P. weirianius, P. rhabarberinus and P. pomaceus also had weak reactivity on this primer set. The 18S 3F-18S 4R primer set distinguished only P. linteus from various Phellinus species, although sensitivity with this primer set was lower than that of 18S 2F-18 4R primer set. These primer sets would be useful for the detection of only P. linteus among unknown Phellinus species rapidly.

Extrac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ti-obesity Lipase Inhibitor from Phellinus linteus

  • Lee, Jong-Kug;Jang, Jeong-Hoon;Lee, Jong-Tae;Lee, Jong-Soo
    • Mycobiology
    • /
    • 제38권1호
    • /
    • pp.52-57
    • /
    • 2010
  • To develop a potent anti-obesity lipase inhibitor from mushroom, the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various mushroom extracts were determined. Methanol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fruiting body exhibited the highest lipase inhibitory activity (72.8%). The inhibitor was maximally extracted by treatment of a P. linteus fruiting body with 80% methanol at $40^{\circ}C$ for 24 hr. After partial purification by systematic solvent extraction, the inhibitor was stable in the range of $40\sim80^{\circ}C$ and pH 2.0~9.0. In addition to lipase inhibitory activity, the inhibitor showed 59.4% of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and 56.3% of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Phellinus linteus의 균사체 액상배양에서 단백다당체(β-D-glucan)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균주 개량과 배양형태 조절의 중요성 (Importance of Strain Improvement and Control of Fungal cells Morphology for Enhanced Production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s(β-D-glucan) in Suspended Cultures of Phellinus linteus Mycelia)

  • 신우식;권영중;정용섭;전계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2호
    • /
    • pp.220-22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Phellinus linteus 균사체의 액상배양을 통한 면역증강 생리활성 효능의 단백다당체 생산공정을 개발하기 위한 시도로서, 우선 생산균체의 원형질체 형성을 통한 고생산성 균주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발효기 액상배양 시 최적 배양형태의 유도를 통해 균사체와 단백다당체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실에서 채취한 생산 균주를 ITS rDNA sequencing 방법과 blast search 방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 다양한 Phellinus linteus 종들과 99.67% 이상의 유사성 확인되어, 이 균주를 Phellinus linteus라고 최종적으로 동정할 수 있었다. 이 동정된 균주로부터 균주 개량을 시도하기 위해 Phellinus linteus 균사체로부터 대량의 원형질체 형성 및 재생에 의한 단일 콜로니 획득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균주를 신속하게 개량할 수 있었다. Sorbitol을 이용한 banding filtr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원형질체를 회수한 결과 $10^5{\sim}10^6\;protoplasts/ml$를 얻을 수 있었으며, 원형질체 재생률은 $10^{-2}{\sim}10^{-3}$로 나타났다. 균주개량을 위해 원형질체 재생배지와 고체배양배지에서 고성장성 및 고안정성을 보이는 균주들을 지속적으로 대량 선별하여, 액상 생산배양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균사체량은 13~15 g/L로 대부분 비슷하게 자랐으며, 조단백다당체의 함량 또한 5.8~6.4%로 거의 비슷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부터 고체배양배지에서 빠른 성장속도를 보여주는 균주들이 대부분 액상 생산배양에서도 고생산성 및 고안정성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Phellinus linteus 균사체의 경우 조단백다당체의 함량이 세포 무게당 거의 일정한 양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조단백다당체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최종 생산배양에서의 균체량 증가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어, 균사형성 고등균류의 균사체 배양 시 균체량 증가에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인 생산균주의 배양형태적 특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사하였다. 균주개량 실험을 통해 고생산성 균주로 최종 결정된 AR147 균주를 이용해서 다양한 배양조건에서 발효조 배양을 수행한 결과, 최종 생산발효조로의 접종원이 고농도의 균사모양인 경우에 생산균주의 배양형태가 매우 작은 compact한 펠렛 모양(대부분 직경 0.5 mm 이하)을 유지하는, 이상적인 균사체 액상배양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생산 발효조배양에서 직경 0.5 mm 이하의 compact한 펠렛 모양의 배양형태가 유도되었을 경우, lag phase 시간의 획기적 감소와 1.5배 이상의 높은 세포비성장속도로 인해, 최종 균사체생산성이 다른 배양형태를 유도한 경우에 비해 약 3.3배 더 높은 주목할 만한 배양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로부터 균사 형성 Phellinus linteus의 산업용 발효조 배양 시, 각 배양단계에서의 생산균체의 배양형태가 최종 균체생산성, 궁극적으로는 최종 단백다당체의 생산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 종 상황버섯의 조다당 분획물 조성 (Composition of Crude Polysaccharides in Some Phezllinus Species)

  • 박미정;안미정;김진웅;제금련;이흠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31-135
    • /
    • 2007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거나 수입되어 유통되는 4종 Phellinus속 버섯(구멍쟁이버섯과)의 조다당 분획물의 조성을 비교함으로써 각 종간의 차이에 의한 성분조성의 차이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상황버섯의 활성 분획 중의 한 유효성분인 조다당 분획물을 에탄올 냉침법으로 제조한 결과, 조다당 분획물의 취득률은 P. linteus 15.0%, P. baumii 5.1%, P. pini 6.3%, P. igniarius 5.7%로 Phellinus 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그 다당체를 조성하고 있는 단당의 함유량도 버섯의 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즉, P. linteus의 경우, 건조중량 1 g 당 함유된 당의 총량은 148.713 mg/g이 었으나, P. baumii는 29.022 mg/g, P. pini는 29.222 mg/g으로 P. lintues의 약 1/5정도의 당 함유량을 나타냈으며, P. igniarius는 P lintues의 1/100정도인 1.546 mg/g의 당을 함유하고 있었다. 모든 Phellinus 속 버섯에서 glucose의 함량이 월등하게 많았으며, 함유되어 있는 각 단당들의 절대량은 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P. linteus는 mannose와 ribose가 P. baumii와 P. pini보다 적은 양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외의 모든 단당을 월등하게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P. baumii와 P pini는 arabinose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단당의 함량이 유사하였다. P. igniarius는 거의 모든 당의 절대량이 다른 Phellinus 속 버섯에 비하여 매우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