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aseolus angulari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3초

First Report of Cucumber mosaic virus Isolated from Wild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in Korea

  • Kim, Mi-Kyeong;Jeong, Rae-Dong;Kwak, Hae-Ryun;Lee, Su-Heon;Kim, Jeong-Soo;Kim, Kook-Hyung;Cha, Byeongjin;Choi, Hong-S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0권2호
    • /
    • pp.200-207
    • /
    • 2014
  • A viral disease causing severe mosaic, necrotic, and yellow symptoms on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was prevalent around Suwon area in Korea. The causal virus was characterized as Cucumber mosaic virus (CMV) on the basis of biological and nucleotide sequence properties of RNAs 1, 2 and 3 and named as CMV-wVa. CMV-wVa isolate caused mosaic symptoms on indicator plants, Nicotiana tabacum cv. Xanthi-nc, Petunia hybrida, and Cucumis sativus. Strikingly, CMV-wVa induced severe mosaic and malformation on Cucurbita pepo, and Solanum lycopersicum. Moreover, it caused necrotic or mosaic symptoms on V. angularis and V. radiate of Fabaceae. Symptoms of necrotic local or pin point were observed on inoculated leaves of V. unguiculata, Vicia fava, Pisum sativum and Phaseolus vulgaris. However, CMV-wVa isolate failed to infect in Glycine max cvs. 'Sorok', 'Sodam' and 'Somyeong'. To assess genetic variation between CMV-wVa and the other known CMV isolates, phylogenetic analysis using 16 complete nucleotide sequences of CMV RNA1, RNA2, and RNA3 including CMV-wVa was performed. CMV-wVa was more closely related to CMV isolates belonging to CMV subgroup I showing about 85.1-100% nucleotide sequences identity to those of subgroup I isolate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MV as the causal virus infecting wild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in Korea.

팥(Phaseolus angularis) 열수 추출물의 산화적 DNA와 세포 손상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Red Bean (Phaseolus angularis) Hot Water Extracts on Oxidative DNA and Cell Damage)

  • 박영미;정진부;서주희;임재환;정형진;서을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0-13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열수 팥 추출물이 hydroxyl 라디칼에 의해 유도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활성과 DNA 및 세포의 산화적 손상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팥 열수 추출물의 DPPH 라디칼과 hydroxyl 라디칼의 제거능은 다소 낮았으나, $Fe^{2+}$-chelating과 과산화수소 제거효과는 높게 나타나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팥 열수 추출물의 in vitro DNA cleavage, DNA migration 및 H2AX의 인산화비 억제활성은 높은 활성을 보여주고 있어 라디칼에 의한 DNA 손상 억제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지질과산화와 p21의 발현율을 통해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지질과산화 억제능과 p21의 발현율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어 라디칼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까시아나무 모자익병에 관한 연구 2 (Mosaic Disease of Black Locust on Rodinia pseudo-acacja L.(Par. 2))

  • 김종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2-26
    • /
    • 1965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ost range of the mosaic disease of black locust in the Chunchon area, the sap of the mosaic-diseased leaves of black locust itself and the cowpea leaves infected with the above mentioned sap, were inoculated to 53 species of plants belong to 12 families. As to the result, no difference in infection was found as related to the virus sources, and the infection was recognized in 4 species of the family Chenopodiaceae and 8 species of the family Leguminosae. The plants recognized as hosts are as follows: the plants which showed local infection are Chenopodium album, Ch. ambrosioides, Ch. quinoa; the plants which showed systemic infection are Chenopodium amaranticolor, Phaseolus vulgaris, Robinia pseudo-acacia, Vigna sinensis; and Astragalus sinicus, Melilotus indicus, Phaseolus angularis, Pisum sativum and Vicia faba were recognized as carriers. Through investigating its host ranges and symptoms, this mosaic virus of black locust seems not to be regarded as the group of the black locust mosaic virus in southeastern Europe reported by Milinko et al (1961). And, too, it is thought hardly to exist in combination with the cowpea mosaic virus. It appears, therefore, that this mosaic virus was confined to that of black locust.

  • PDF

韓國植物의 花外蜜腺分布 (The Occurrence of Extrafloral Nectaries in Korean Plants)

  • Pemberton, Robert W.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4호
    • /
    • pp.251-266
    • /
    • 1990
  • Extrafloral nectaries have been shown in many studies to promote mutualistic interactions between plants and insects(usually ants) that visit the glands. The insects gain sugars, water and amino acids secreted by the extrafloral nectaries and benefit the plants by reducing the damage caused by plant's inseet herbivores. Little is known about the occurrence of extrafloral nectaries in plants growing in Asia. To learn about the occurrence of extrafloral nectary bearing plants in Korea, living plants and herbarium material were examined for the glands. In addition, the cover of plants with extrafloral nectaries and the proportion of woody plants with extrafloral nectaries were measured in three forest communities on Kangwha Island. 131 species of plants belonging to 53 genera and 30 families were found to have extrafloral nectaries. These 131 species comprise about 4.0% of Korea's flora, a highet percentage of extrafloral nectary bearing plants than occurs in the studied areas of North America. Extrafloral nectary bearing plants occupied 7, 23 and 55% of the covers and comprised 15, 21 and 15% of the woody plants in the three different forests, a significant level of occurrence. Many important Korean crop plants were found to have extrafloral nectaries including : sesame (Sesamum indicum L.), squash (Cucurbita moschata Duchesne),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am),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cotton (Gossypium indicum Lam.), mung bean (Phaseolus radiatus L.), red bean (Phaseolus angularis W.F.),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plum (Prunus salicina Lindl.). Many of these cultivated and wild plants may receive protection by ants and other beneficial insects that visit their extrafloral nectaries.

  • PDF

콩, 팥 및 녹두에서 분리한 탄저병균류의 동정과 병원학적 특징 (Identification and Et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thracnose Fungi Isolated from Soybean, Small Red Bean and Green Bean)

  • 한경숙;이두형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0-38
    • /
    • 1995
  • Anthracnose fungi associated with soybean (Glycine max), small red bean (Vigna angularis), and green bean (Phaseolus radiatus var. aurea)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cultural characteristics, morphological aspects, and pathogenicity. From the legumes, four different species of Colletotrichum were identifi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s : C. truncatum, C. destructivum, C. trifolii and C. gloeosporioides. Colonies of Colletotrichum spp.on culture media varied in colour and growth habits depending upon the media and isolates. In general, formation of conidia, setae, and perithecia on water agar leaf medium was better than that on potato dextrose agar medium under near ultraviolet light. In cross inoculation tests, isolates of C. truncatum, c. destructivum, C. trifolii and C. gloeosporioides could infect soybean, small red bean, and green bean at different growth stag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pathogenicity or susceptibility depending on crops tested. C. truncatum was the most virulent and major pathogenic species among the four species.

  • PDF

Xanthomonas axonopodis pv. phaseoli와 X. axonopodis pv. phaseoli var. fuscans에 의한 팥의 세균성잎마름병 (Bacterial Common Blight and Fuscous Blight of Small Red Bean caused by Xanthomonas axonopodis pv. phaseoli and X. axonopodis pv. phaseoli var. fuscans)

  • 이승돈;이정희;문중경;허성기;나동수
    • 식물병연구
    • /
    • 제12권2호
    • /
    • pp.129-133
    • /
    • 2006
  • 2003년 수원의 팥 재배 포장에서 새로운 병해가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잎에서 수침상 점무늬가 형성되고 점점 커져 주위로 노란색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진갈색의 반점을 형성한다. 심해지면 잎이 떨어지고 잎자루 및 꼬투리에도 진갈색의 병반이 형성된다. YDC 배지에서 병원세 균을 순수 분리하였을 때 Xanthomonas속 세균의 전형적인 특징인 노란색 색소를 띤 세균이 형성되었다. 분리된 세균을 $10^8 cfu/ml$로 현탁한 후 3 주 동안 자란 팥과 콩에 분무 접종하여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지방산 조성 및 함량과 다양한 탄소원 이용정도를 이용하여 분리세균 SL4311은 X. axonopodis pv. phaseoli로 SL4309와 SL4310 은 X. axonopodis pv. phaseoli var. fuscans로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팥의 세균성잎마름병으로 명명하였다.

한국에서의 오이모자익 바이러스의 기주범위에 관한 연구 (Studios on the Host Range of Cucumber Mosaic Virus in Korea)

  • 정봉조;박해철;이순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85-192
    • /
    • 1975
  • 가. CMV의 기주조사결과, 43과 145종을 공시하여 27과 71종이 기주로 판명되었으며 그중 24두 57종이 Systemic mosaic을 나타내었다. 나. CM V의 새로운 기주로 확인된 식물은 쇠별꽃 쇠무릎, 아게라탐, 중대가리풀, 천인국, 지칭개, 씀바귀, 그늘취, 유채, 다닥냉이, 수염가래꽃, 좀명아주, 실사초, 깨풀, 새콩, 벌노랑이, 팥, 큰기린초, 들깨풀, 들깨, 개곽량, 아마, 주름잎, 버어베나의 24종이 판명되었다. 다. 다른 연구자의 보고에는 감수성으로 나타났으나 본 시험에서 음성으로 나타난 식물은 양파, 맨드라미, 당근, 쑥, 과꽃, 망초, 해바라기, 만수국, 봉선화, 양배추, 배추, 스위트알리슘, 무, 고구마, 대두, 강남콩, 나팔백합, 양귀비, 수수, 밀, 옥수수, 소루쟁이, 채송화 등 23종이었다.

  • PDF

염분 환경하에서 4종 콩과식물의 생장, 아미노산 및 질소함량에 미치는 질소원의 영향 (Effects of Nitrogen Application on the Patterns of Amino Acids, Nitrogen Contents and Growth Response of Four Legume Plants under Saline Conditions)

  • 배정진;추연식;김진아;노광수;송종석;송승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3호
    • /
    • pp.135-142
    • /
    • 2003
  • 콩과식물의 염분 내성에 대한 질소원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4종 콩과식물을 선택하여 100 mM까지의 NaCl을 처리하였다. 염-민감성 종으로 알려진 대두와 팥은 염분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 질소 함량이 점차 감소하는 반면, 아미노산 함량은 현저히 증가(100 mM NaCl 처리된 대두 무질소구의 경우 대조구의 4.7배)하여 높은 가용성/불용성 질소 비를 보였다. 대조적으로 염분 내성을 보이는 긴강남차와 자귀나무는 아미노산을 거의 함유하지 않았으며, 염 구배에 따라 총 질소 함량(특히 불용성 질소)이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대두와 팥은 아미노산 중 asparagine (Asn)을 다량으로 함유하였으며, Asn은 이들 식물의 대표적인 질소의 수송 및 저장형태로서 염분 환경하에서 이들 식물의 세포질 내 삼투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염 환경에서 대두의 생장에 대한 질소원 및 농도의 영향은 5 mM NH₄NO₃-N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건물함량(10mM NaCl 처리구의 지상부건물함량의 경우 대조구의 약 1.5배)을 보였고, NH₄-N을 공급한 식물의 경우 질소를 공급하지 않은 대조구보다 생장이 저해되었으며, 처리 15일 이후 40과 80 mM NaCl 처리구에서 모두 고사하였다. 따라서 대두의 생장은 NH₄-N, 대조구, NO₃-N, NH₄NO₃-N의 순으로 질소공급량이 증가할수록 염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T-IR 스펙트럼 기반 다변량통계분석기법에 의한 두과작물의 대사체 수준 식별체계 확립 (Establishment of rapid discrimination system of leguminous plants at metabolic level using FT-IR spectroscopy with multivariate analysis)

  • 송승엽;하태정;장기창;김인중;김석원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121-12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중인 대표적인 두과작물(대두, 완두, 강낭콩, 팥, 녹두, 동부)종자로부터 전세포추출물의 FT-IR 스펙트럼 데이터로부터 다변량통계분석(PCA, PLS-DA, HCA)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한 종 구분체계를 확립하였다. 대사체수준에서 팥, 녹두, 동부는 유연관계가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대두, 완두, 강낭콩은 비록 두과작물이지만 차이가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얻어진 대사체 정보의 다변량통계분석에 의한 유연관계분석은 흥미롭게도 두과작물의 계통분류학적 유연관계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FT-IR 스펙트럼 데이터의 다변량통계분석은 방법의 간편성과 신속성을 고려할 때 두과작물의 계통이나 품종의 신속한 식별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두과작물의 기능성 성분 함량 정보가 성공적으로 연계된다면 본 연구에서 확립된 대사체 기반 신속식별체계는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높은 계통이나 품종의 조기 선발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염 환경에서 질소공급에 따른 4종 콩과식물의 생장반응과 무기이온양상의 비교 (Comparison of Patterns of Mineral Ions and Growth Responses of 4 Legume Plants by Nitrogen Applications under Saline Conditions)

  • 배정진;추연식;송승달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73-480
    • /
    • 2003
  • 공생적 질소고정에 의해서 생장에 필요한 질소를 공급받는 콩과식물이 염분 스트레스하에서 보이는 생장반응 및 무기이온 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대표적인 콩과식물 4종(대두, 팥, 긴강남차, 자귀나무)을 질소고정균을 접종한 다음, 무질소구와 질소공급구(2.5 mM $NH_4NO_3$)로 나누어서 0, 10, 40 및 100 mM NaCl을 처리하였으며, 식물의 생장반응 그리고 무기이온 및 총질소함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대두, 팥 및 자귀나무의 경우, 40 mM NaCl 이상의 염처리에 의해 현저한 생장저해를 보였으나, 긴강남차는 100 mM NaCl 까지 정상적인 생장을 보였다. 무기이온에 대해서도 대두, 팥 및 자귀나무는 현저한 생장저해현상을 보였던 40 mM NaCl 이상의 처리구에서는 과도한 $Na^+$$Cl^+$이온의 축적양상을 보였으나, 긴강남차의 경우 염 농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체내 일정한 무기이온함량을 유지하였다. 4종 콩과식물은 공생적 질소고정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식물보다 외부에서 질소를 공급한 경우 체내 일정한 이온함량을 유지하였다. 질소양상에 있어, 대두와 팥은 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질소함량이 점차 감소한 반면 긴강남차와 자귀나무는 염 구배에 따라 총질소함량(특히 불용성질소)이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대두와 팥에서 총질소함량은 감소하였지만 아미노산 함량은 증가하여 높은 가용성/불용성 질소비를 나타내었다. 다소 예외는 있지만 조사된 4종 콩과식물에서 부가적인 질소공급은 생장의 증가는 물론 특정이온 및 고농도 염에 의한 독성효과를 완화시킴으로써 염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