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tiole

검색결과 392건 처리시간 0.027초

깽깽이풀의 해부학적 연구 (Anatomical Study on the "Ggaenggaengipul(Jeffersonia dubia $B_{ENTH}$)")

  • 박종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2-29
    • /
    • 1998
  • Korean folk medicine "Ggaenggaengipul" has beenused to dlear heat and treat chronic childfood mutitional impairment, diarrhea, jaundice, haemorrhoid, inflammation, anepithymia, nausea and egestion .The crude drug often used as a supstitute for the more expensive "Huang Lian " (황연) in Korea and China. With regard to the botainicla origic of " Ggaenggaenigipul" , it has never been studied pharmacognostically. To clarify botanical origin of " Ggaenggaegipul" ,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la characteristics of the leaves, petiole, rhizoma, and radix of Jeffersonia dubia BENTH were studied.

  • PDF

미나리 체세포 배발생 캘러스의 획득과 발달 형태 (Production and Developmental Pattern of Embryogenic Callus in Oenanthe javanica ($B_{L.}$) DC.)

  • Gab Cheon KOH;Chang Soon AHN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83-290
    • /
    • 1995
  • 미나리의 체세포 배발생 조건 및 기작을 구명하고자 배발생 캘러스의 획득에 적합한 시료와 배지를 구명하고 배발달의 과정을 관찰하여 본 결과, 기내 식물체 확보를 위한 미나리의 경정배양은 발생한 줄기 수와 생육상태로 보아 BA가 0.1 - 0.5 mg/L 첨가된 MS배지가 적합하였으며 배발생 캘러스의 발생은 배유와 함께 채취ㆍ배양한 유배를 2,4- D가 1 mg/L 첨가된 배지에서 2 개월간 배양하였을 때 발생하였다. 기내에서 생장한 줄기와 엽병을 배양하였을 경우는 치상후 2과에 엽병의 절단 부위에서 발생한 캘러스는 모두 배발생 캘러스가 아니였으나 치상 후 6 - 8주에 줄기와 엽병의 표피부위에서 발생한 캘러스는 배발생 캘러스이었다. 배발생 캘러스는 계대배양에 의하여 대양 증식이 가능하며 이들은 배발생 캘러스와 비배발생 캘러스를 동시에 형성하였다. 비배발생 캘러스는 다양한 생장조절제를 첨가한 액체 및 고체배지에 반복 및 지체배양하여도 배발생 캘러스로의 분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비배발생 캘러스는 고체배지에 배양하면 쉽게 증식되어 뿌리를 분화하며, 액체배지 에 현탁배양할 경우에는 단세포로 단리되고, 다시 이들은 작은 원형세포괴를 형성한 후 단지 뿌리만을 발생하였다.

  • PDF

사탕무우의 붕소결핍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oron Deficiency in Sugar Beet)

  • Im, Hyong Bin;Ung Kyu Lim;Kyong Sik Tscho
    • 환경위생공학
    • /
    • 제5권1호
    • /
    • pp.1.2-6
    • /
    • 1990
  • 사탕무우 품종 Mirabo를 공시하여 수경과 포양실험을 통하여 나타는 B결핍증 식물체의 해부학적 및 전현적 관찰을 하였다. B결핍증에 걸린 사탕무우에 있어서는 수경또는 포양에서 다 같이 B함량이 매우 적었다. B결핍증의 증상진행은 우선 엽병의 표면쪽 기부에 흑갈색 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그 후 유엽록과 생장점 근처가 검게 괴사하였고, 엽신이 심하게 오그라졌으며, 생장이 거의 정지되었다. 나중에는 표면쪽 엽병 기부의 표피와 그 밑의 유조직이 괴사하였다. 그리고 유엽록 조직의 괴사와 붕괴는 점차 확대되어 갔다. B결핍증을 나타낸 사탕무우의 전현적 관찰에서는 그와 같은 식물의 엽록체는 붕괴하기 시작하였으며 다량의 전분과 Osmophilic granules가 보였다. 그리고 특히 어떤 엽록체 안에는 격자를 가진 다면체의 결정체가 발견되었다.

  • PDF

중부지방 자생 비목나무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tive Distribution of Lindera erythrocarpa Makino in Central Korea)

  • 이동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75-182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eck shelling distribution of Lindera erythrocarpa Makino in Kanghwa Island, MT. Suri, Kyunggido and MT. Kaya, Chungchongnam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total distribution area of Linedra erythrocarpa where are Jeondeung temple and Jugsu temple Kanghwa Island, MT. Suri, Kyunggido and MT. Kaya, Chungchongnamdo was 344.4ha and the total number of Linedra erythrocarpa was 3,224. The total number of femle Linedra erythrocarpa was625(22.2%) except the seedlings under 2cm of DBH(Diameter breast of height). For the estimation of tree age by counting of tree rings, the regression equation was Y=1.79X+9.47($R^2$=0.83, DBH=cm). The soil acidity of stands studied was $pH4.6{\sim}pH5.8$. And the soil acidity of Seoul was $pH4.2{\sim}pH4.5$ So for the Planting Linedra erythrocarpa in Seoul area, the soil acidity of planting area should be changed to $pH4.6{\sim}pH5.8$. The flower size of and female of Linedra erythrocarpa was 5.96mm, 3.66mm, respectively. The length of petiole of male and female of Linedra erythrocarpa was 5.96mm, 3.66mm, respectively. The length of petiole of male and female of Linedra erythrocarpa was 5.96mm, 3.66mm,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flowers per flowering bud of male and female were 13.4, 11.2, respectively. The flowering period of Lindera erythrocarpa in Suwon was 21 days from May 2 to May 22. And The leaf continuing period of Lindera erythrocarpa in Suwon was 203 days from April 7 to October 27. And the fall-foliage color continuing period was 10 days from October 18 to October 27. The fruit continuing period of Lindera erythrocarpa in Suwon was 61 days from September 26 to November 26.

  • PDF

가시오갈피의 수집종과 배양조직에 따른 체세포배발생 및 재분화 식물체의 순화 (Effect of Genotype and Explant on Somatic Embryogenesis and Acclimatization of Acanthopanax senticosus)

  • 이성호;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7-221
    • /
    • 2002
  • 가시오갈피의 꽃봉오리 엽병, 줄기, 줄기마디, 뿌리, 꽃대, 잎 등 조직으로 부터 캘러스가 유기 되었으며 캘러스 유기재료로는 꽃봉오리, 엽병, 줄기, 줄기 마디, 뿌리 등이 적합하였다. 캘러스 유기율은 한국산 가시오갈피가 일본산과 러시아산보나 높게 나타났다. 캘러스유기에는 2.4-D와 TDZ조합처리가 효과적이었으며 한국가시오갈피의 엽병, 줄기, 액아, 뿌리절편으로부터 형성된 캘러스에서 배발생 캘러스가 형성되었으며 줄기에서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한국, 일본, 러시아산 가시오갈피 모두에서 배발생캘러스가 형성되었다. 엽병에서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배발생캘러스의 유기율이 가장 높았으며 2.4-D 1mg/l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액체배지에서의 체세포배의 생장에는 생장조절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MS기본배지가 적합하였다. 기내에서 잎과 뿌리 분화가 이루어지고 건실하게 자란 식물체를 온실에 옮겨 순화하였을 경우 99.1%의 생존율을 보였다.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Petiole and Internode Explants of Codonopsis lanceolata Benth.

  • Ghimire, Bimal Kumar;Shin, Chul-Min;Li, Cheng Hao;Kim, Na-Young;Chung, III-Min;Lim, Jung-Dae;Kim, Jae-Kwang;Kim, Myong-Jo;Cho, Dong-Ha;Yu, Chang-Yeon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3-81
    • /
    • 2007
  • An efficient regeneration system was developed using leaf, petiole, and internode explants. Highly embryogenic callus was obtained following cultivation on MS basal nutrient supplemented with 2 $mg/{\ell}$ 2,4-D. Globular, heart, torpedo and cotyledon shaped somatic embryo were produced from the surface of embryogenic callus. Direct shoot regeneration without intermediate callus formation has been achieved on MS medium supplemented NAA and BAP. The percentage of response varie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auxin and cytokinin treat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The best shoot regeneration response (54.28%) and number of shoot per explant (12.67) were achieved o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0.1 $mg/{\ell}$ NAA and 1 $mg/{\ell}$ BAP. The regenerated shoot transformed into young plant when cultured into elongation and root induction medium. More than 90% of in vitro propagated plants could survive when transferred to the greenhouse for acclimation. This optimized regeneration system can be used for rapid shoot proliferation and genetic transformation.

Agrobacterium tumefaciens를 매개로 한 옥수수 유동유전자 Ac 및 Ds에 의한 서양고추냉이 (Armoracia rusticana)의 형질전환 (Transformation of Maize Controlling Element Ac and Ds into Armoracia rusticana via, Agrobacterium tumefaciens)

  • 배창휴;노일섭;임용표;민경수;김동철;김학진;이효연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19-326
    • /
    • 1994
  • 십자화과 식물의 유용유전자를 cloning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십자화과 식물인 Armoracia rusicna의 재분화계와 형질전환계를 확립하고, gene tagging을 하기 위하여 binary vector에 삽입된 옥수수의 transposon 유전자 Ac/Ds를 도입한 결과, NAA 0.1 mg/L와 BA 1.0 mg/L를 함유한 MS 배지에서 최적의 shoot를 유기할 수 있었으며, MS 기본배지에 옮기면 쉽게 발근을 유도할 수 있었다. 옥수수의 Ac/Ds의 유전자를 잎에 형질전환시킨 결과 8-10%의 형질전환율을 보였으며, 엽병의 경우에도 4%의 형질전환 식물체가 얻어졌다. Kanamycin 100 mg/L 농도에서 선발한 개체를 PCR 분석 및 Southern blot분석을 행하였던 결과 PCR분석으로부터 Ds유전자가 식물에 도입된 것이 확인되었고, Southern blot 분석으로부터 Ac/Ds 모두가 도입된 것이 확인되었다.

  • PDF

셍온(Paraserianthes falcataria (L.) Nielsen)의 기내 부정줄기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In vitro introduction adventitious shoots and plant regeneration of sengon (Paraserianthes falcataria (L.) Nielsen))

  • 김지아;문흥규;김용욱;배은경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235-238
    • /
    • 2015
  • 최대의 부정아유도수는 MS배지에 0.2 mg/L BA가 첨가된 배지에서 유도되었다. 엽병근처 자엽 절편과 자엽 끝 절편을 MS배지에 0.2 mg/L BA가 첨가된 배지에 배양하였다. 부정아 유도 빈도는 절편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엽병근처 자엽 절편은 자엽 끝 절편 보다 부정아 유도율이 높았다. 호르몬 무처리 1/2MS배지에서 줄기의 신장과 뿌리가 유도되었다. 이 결과는 클론번식을 가능하게 할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침수에 의한 식물의 생장 촉진과 호르몬들의 작용 네트워크 (Promotion of Plant Growth by Submergence and the Action Network of Hormones)

  • 조영준;이영나;박웅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2-117
    • /
    • 2005
  • 하천변에 사는 식물들은 침수 저항성을 갖추고 있는데 그중 Ranunculus속이나 Rumex속에 속하는 일부 반수생 식물들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엽병이 급격한 생장을 일으켜 잎이 수표면에 이르게 함으로써 호흡할 수 있는 조건을 확보하는 현상은 식물체내에 축적된 에틸렌에 의하여 매개되는 현상이다. 침수 조건에서는 식물 조직 내에 에틸렌이 축적되며, 축적된 에틸렌은 옥신 등 다른 식물호르몬에 대한 조직의 감수성을 증가시켜 생장을 촉진한다. 증가된 생장으로 잎이 수표면에 이르게 되면 다시 공기를 접촉하여 호흡할 수 있게 되고, 식물체내에 축적되었던 에틸렌은 대기 중으로 확산하여 나가게 되므로 체내 에틸렌 농도가 감소하여 생장률이 침수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간다. 에틸렌에 의한 옥신의 감수성 증가는 선량 반응 곡선에 비추어 수용체의 친화도 증가가 수반되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아직 옥신 수용체가 밝혀지지 않아 분자생물학적 기작은 연구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최근 옥신 수용체 발견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따라서 에틸렌에 의한 옥신 수용체의 옥신에 대한 감수성 조절기작을 탐구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