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6초

언어발달장애에 있어서 청성뇌간반응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Auditory Brainstem Response(ABR) in Speech/Language Disorders)

  • 오기원;박우생;권순학;김진경;이준화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0호
    • /
    • pp.1199-1203
    • /
    • 2002
  • 목 적: 언어발달장애를 주소로 내원하는 소아들을 대상으로 청성뇌간반응(ABR)을 선별검사로 시행함으로써 그 원인을 조기 발견하고 조기 치료함으로써 이들의 장애를 최소화하고 언어발달 과정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9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3년 동안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언어발달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18개월 이상 소아 139례를 대상으로 하여 청성뇌간반응(ABR)을 시행하였으며 이들의 임상진단과 ABR 이상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 과 : 전체 139례 중 ABR 검사상 이상소견을 보인 환아는 15례(10.8%)였으며 전반적 발달장애 7례, 발달성 언어장애 4례, 기타 4례로 나타났으며 이상소견을 보인 환아 중 7례는 전음성 난청이었으며 8례는 감각신경성 난청이었다. 또한 ABR 검사상 정상을 보인 18개월에서 7세 사이의 I파 및 V파의 평균잠복기 및 표준편차는 각각 $1.40{\pm}0.13$, $5.57{\pm}0.26$이었으며, I-V의 정점간 잠복기는 $4.18{\pm}0.24$였다. 중등도 이상의 감각신경성 난청환아의 4례에서 보청기를 착용하였으며 이들을 추적 관찰하였다. 결 론: 언어발달장애를 주소로 내원하는 소아들에게 선별검사로서의 ABR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것을 통해 감각신경성 난청을 조기 발견하고 감각 신경성 난청의 경우 보청기를 사용하여 조기 치료함으로써 이들의 신경학적 발달 및 사회적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한국형 치료 권고안(II) - 진단 및 평가 - (The Korean Practice Parameter for the Treatment of Attention -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II) - Diagnosis and Assessment -)

  • 천근아;김지훈;강화연;김붕년;신동원;안동현;양수진;유한익;유희정;홍현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8권1호
    • /
    • pp.10-15
    • /
    • 2007
  • Probably the three most important components to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patient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re the clinical interview, the medical examination, and the completion and scoring or behavior rating scales. Teachers and other school personnel are often the first to recognize that a child or adolescent might have ADHD, and ofte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help-seeking/referral process. A diagnostic evaluation for ADHD should include questions about ADHD symptoms, other problems including alcohol and drug use, family history of ADHD, prior evaluation and treatment for ADHD. Screening interview or rating scales as well as interviews should be used. When it is feasible, clinicians may wish to supplement these components of the evaluation with objective assessments of the ADHD symptoms, such as psychological tests. These tests are not essential to reaching a diagnosis, however, or to treatment planning, but they may yield further information about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cognitive impairments that could be associated with some cases of ADHD. Screening for intellectual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skills is also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presence of comorbid developmental delay or loaming disabilities. The number and type of symptoms required for a diagnosis of ADHD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 subtype. To receive a diagnosis of ADHD, the person must be experiencing significant distress or impairment in daily functioning, and must not meet criteria for other mental disorders which might better account for the observed symptoms such as mental retardation, autism or other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mood disorders, anxiety disorders. This report aims to suggest a practice guideline of assessment and diagnosi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in Korea.

  • PDF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한국형 치료 권고안 개정안(II) - 진단 및 평가 - (The Revised Korean Practice Parameter for the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I) - Diagnosis and Assessment -)

  • 이문수;박수빈;김경미;김현진;박상원;김윤신;이영식;권용실;신동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8권2호
    • /
    • pp.58-69
    • /
    • 2017
  •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a highly prevalent, impairing, and comorbid disorder that persists into adulthood. ADHD should be diagnosed in the same manner as other common adult mental health disorders. The three most important components in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patients with ADHD are the clinical interview, medical examination, and completion and scoring of behavior rating scales. The diagnostic evaluation of ADHD should include questions about the symptoms, family history, prior evaluation and treatment of ADHD, as well as other problems including alcohol and drug use. Screening interviews or rating scales, as well as interviews, should be used. When it is feasible, clinicians may wish to supplement these components of the evaluation with the objective assessments of the ADHD symptoms, such as through psychological tests. These tests are not essential to reaching a diagnosis, however, or to treatment planning, but may yield further information about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cognitive impairments that could be associated with some cases of ADHD. As comorbidity is the rule rather than the exception, clinicians should carefully screen for comorbid disorders as part of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ADHD. To receive a diagnosis of ADHD, the person must be experiencing significant distress or impairment in his or her daily functioning, and must not meet the criteria for other mental disorders which might better account for the observed symptoms, such as mental retardation, autism or other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mood disorders and anxiety disorders. This report aims to suggest practice guidelines for the assessment and diagnosis of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with ADHD in Korea.

Maladaptive Behavior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Pusponegoro, Hardiono D.;Ismael, Sofyan;Sastroasmoro, Sudigdo;Firmansyah, Agus;Vandenplas, Yv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8권4호
    • /
    • pp.230-237
    • /
    • 2015
  • Purpose: Various gastrointestinal factors may contribute to maladaptive behavior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maladaptive behavior in children with ASD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such as severity, intestinal microbiota, inflammation, enterocyte damage, permeability and absorption of opioid peptides. Methods: This observational cross-sectional study compared children with ASD to healthy controls, aged 2-10 years. Maladaptive behavior was classified using the Approach Withdrawal Problems Composite subtest of the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Behavior Inventory. Dependent variables were gastrointestinal symptom severity index, fecal calprotectin, urinary D-lactate, urinary lactulose/mannitol excretion, urinary intestinal fatty acids binding protein (I-FABP) and urinary opioid peptide excretion. Results: We did not fi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ASD with severe or mild maladaptive behavior and control subjects for gastrointestinal symptoms, fecal calprotectin, urinary D-lactate, and lactulose/mannitol ratio. Urinary opioid peptide excretion was absent in all children. Children with ASD with severe maladaptive behavio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urinary I-FABP levels compared to those with mild maladaptive behavior (p=0.019) and controls (p=0.015). Conclusion: In our series, maladaptive behavior in ASD children was not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intestinal inflammation (no difference in calprotectin), microbiota (no difference in urinary D-lactate) and intestinal permeability (no difference in lactulose/manitol ratio). ASD children with severe maladaptive behavior have significantly more enterocyte damage (increased urinary I-FABP) than ASD children with mild maladaptive behavior and normal children.

A Pilot Study to Assess the Effect of Gami-Jiwhang-Tang on Cognitive Effects in Healthy Children

  • Bahn Geon-Ho;Kim Chang-Ju;Chung Joo-Ho;Kim Yong-Hee;Paik Eun-Kyung;Park Jae-Hyung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29-138
    • /
    • 2004
  • Objective : Treatments for pati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are not curative, and are designed to help those with disabilities adjust to their environments and daily demands. As clinicians, the present authors tried to find agents with potentially curative properties. Among the numerous herbal formulations available, we chose and assessed Gami-jiwhang-tang (GJT) in the hope that it would improve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Methods : Subjects were typically-developing healthy, 7- to 8-year-old boys and girls living in Seoul,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took GJT for six weeks and was followed up six weeks after discontinuation of GJT. The control group was assessed at the same intervals but did not receive placebos. To measure the effects of GJT,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intelligence test were taken before commencing GJT and twelve weeks later. Resulets and Conclusion : For all of the ANOVAs, the treatment by time interaction terms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tendency to be progressed in most subscal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on performance intelligence, visual organization, and verbal fluency. Conclusion : Although GJT failed to reveal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gnition, we remain hopeful about the compound and believe that it should be evaluated by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in the future.

  • PDF

Asperger씨 증후군 - 자폐증, 분열성 인격장애와의 연계성 - (ASPERGER'S SYNDROME - THE LINKAGE WITH AUTISM AND CHILDHOOD SCHIZOID PD -)

  • 이영식;조인희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5권1호
    • /
    • pp.41-53
    • /
    • 1994
  • 1944년 Hans Asperger는 아동기에 사회적인 고립과 특이한 행동 양식을 보이는 400명의 증례를 보고하고 자폐적 병질(autistic psychopathy)이라 명명하였는데 이 아동들은 1943년 Kanner에 의하여 기술된 자폐 아동들과 여러 가지면에서 유사하였으나 임상적인 관찰에서 몇몇 현저한 차이를 나타냈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정상 언어 발달과 지능 수준의 차이를 들 수 있다. 이후에 이들은 Asperger's syndrome([CD-10) 혹은 Asperger's disorder(DSM-IV)로 명명되었는데 이들은 자폐증과 연속선상에 있는 높은 기능 수행을 보이는 경한 형태의 발달장애로 보는 시각, 아동기 인격 장애의 특수한 형태로 보는 시각, 혹은 성인 정신분열증의 초기 아동기 행태로 보는 시각등이 있는데, 모두 그들 나름대로 연구 방법의 타당성과 결과 해석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ICD-10(1992)과 DSM-IV(1994)에서 전반적 발달 장애의 영역내에 새로이 독립된 진단 체계로써 확고히 자리한 지금에 와서도 이들 질환과 완전히 분리된 개념으로 간주하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저자는 이 질환의 현재 개념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 고찰과 더불어 독립된 질환이냐의 논의점과 최근 연구 경향에 대해 문헌 고찰을 하였으며 이 증후군이 큰 맥락에서 사회적 본능(social instinct)에 결함이 있는 장애라는 견지에서 연계 질환들과의 관계를 도식적으로 요약해 보았다.

  • PDF

감각통합중재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A Systematic Review)

  • 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7-90
    • /
    • 2009
  • 목적: 감각통합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을 통하여 감각통합중재의 객관적인 근거기반을 제시하기 위하여 감각통합중재가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중재 결과 측정에 사용된 평가도구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MEDLINE/PubMed, PsycINFO, CINAHL, Cochrane Library, OTSeeker이었고, 검색어는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sensory integration therapy"와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이었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논문은 11개로, 근거의 질적 수준은 수준 I과 수준 II, IV이었다. 분석내용으로는 감각 통합중재의 대상군과 중재방법, 중재결과 측정 영역에 따라 중재결과를 측정하는 도구 및 중재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1. 감각통합중재 대상으로는 자폐스펙트럼장애가 30.7%로 가장 많았으며, 전반적발달장애와 조산아가 각각 15.4%이었다. 2. 감각통합중재 방법으로는 J. Ayres에 의해 제시된 전통적인 방법이 36.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감각통합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된 결과측정 영역은 행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역이 40.63%로 가장 많았으며, 운동수행결과를 보기 위한 것이 28.13%, 감각기초 결과를 보기 위한 것이 25.0%이었다. 3. 감각통합중재 효과는 운동수행기술의 중재결과(66.7%)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감각기초를 위한 중재결과가 62.5%, 그리고 행동 문제 해결에 효과적인 경우가 61.5% 순으로 분석 되었다. 학습과 관련하여 쓰기기술에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감각통합중재는 운동수행기술과 감각기초능력 향상, 그리고 행동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치료적 접근방법이었으나 학습에 관하여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앞으로 감각통합중재의 일차적인 효과가 지속되어학습이나 일상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연구방법 및 평가도구, 중재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자폐증 아동에 있어서 Carbamazepine의 치료효과 평가 (EVALUATION OF THE THERAPEUTIC EFFECTS OF CARBAMAZEPINE IN AUTISTIC CHILDREN)

  • 홍강의;최진숙;신민섭;황용승;안윤옥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권1호
    • /
    • pp.87-96
    • /
    • 1991
  • 자폐증의 임상증상 완화에 대한 Carbamazepine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위약으로 대조한 이중맹(placebo controlled double blind)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아동은 1989년 10월부터 1991년 11월까지 서울대학병원 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 외래를 방문한, DSM-III-R의 전반적 발달장애의 진단기준을 만족시키면서, 부모가 연구에 동의한 23명의 남아로 하였다. 또한 다른 내과적 혹은 정신과적 질환력을 갖지 않으며, 연구 시작전 적어도 2개월이상의 약물복용이 없는 기간을 갖도록 하였다. 연구 대상군의 Cabamazepine치료군과 위약군으로 할당을 무작위적 할당표에 의해 할당하였는데, 각각 12명, 11명이 해당되었다. 연구 대상 아동의 상태를 모르는(blind) 2명의 평가자에 의하여, 기초관찰 기간과 12주의 약물치료 기간후에 측정한 검사도구의 측정값의 변화와 약물에 대한 부작용을 보았다. 두 검사자간의 신뢰도는 .4875-.6613이었다. 기초 관찰기간시 두군사이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 및 검사도구의 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약물 치료 기간 종결시 측정한 검사도구의 값과 기초 관찰기간의 값을 비교한 결과, Autism Behavior Checklist상 전체 점수의 유의한 차이(P<.05), 즉 Carbamazepine치료군이 위약군보다 자폐증 증상의 완화정도가 큰 소견을 보였다. Vineland Social Maturation Scale에서는 두군 모두에서 약물 치료 기간동안 사회성숙도상의 발달이 유의한 정도(P<.005)로 있었다.

  • PDF

자폐 장애 아동 보호자의 언어치료 교육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실태조사 (Care-giver Satisfaction of Language Therapy in Children with a Diagnosis of Autism)

  • 김정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27-338
    • /
    • 2011
  • 본 연구는 자폐 장애로 진단받은 아동의 주양육자 총 52명을 대상으로 현재 받고 있는 언어치료 교육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욕구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방식을 사용하였고, 설문 내용은 치료 교육 기관의 환경(7문항)과 치료사가 제공하는 프로그램(7문항), 그리고 치료 교육 만족도 및 서비스 욕구(7문항)를 포함한 세 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치료 교육 기관의 환경면에서, 치료비 등을 이유로 복지관 이용자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사설 치료실, 종합병원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치료사가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 면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의 적절성 및 상담 내용 등을 이유로 종합병원 이용자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사설치료실, 복지관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치료 교육 만족도 및 서비스 욕구 면에서, 언어치료 및 전체 치료 교육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다소 만족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언어치료를 받게 되고 난 후, 좋아진 점으로 일상적인 생활 기술의 향상과 심리적 안정이 높게 나타났으며, 추후 받고 싶은 치료 교육과 관련하여 개별, 집단 언어치료 교육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치료 교육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자폐 아동의 치료 교육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언어치료사 및 관련 영역 전문가들이 노력해야 할 여러 가지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경련성 질환 환아와 가족 (CHILDREN WITH CHRONIC CONVULSIVE DISORDER AND THEIR FAMILIES)

  • 조수철;김붕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3권1호
    • /
    • pp.67-75
    • /
    • 2002
  • 연구목적:만성경련 환아의 가족 구성원들의 정신병리와 환아와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환아 어머니의 정신병리와 환아와의 관계 및 부부관계를 조사하였고, 환아 아버지와 타 형제들과 환아와의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부모와 아동사이의 의존성정도와 가족구조를 평가하였다. 연구방법:만성경련질환 환아40명과 성별-나이-학업수준이 일치하는 대조군 3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만성환아군은 12개월 이상 약물 치료를 받고 있는 정상지능의 일반학교를 다니는 특발성 경련질환아였고, 대조군은 특별한 신체질환이 없는 중간성적 정도의 초등중학생으로 하였다. $2{\sim}3$차례에 걸친 부모 및 환아 면담을 반구조화된 인터뷰로 실시하였고, 부모와 대조군에게 가정환경척도, 간이정신진단검사, 아동의존척도를 배부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두세 차례에 걸친 가족면담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부모의 과보호, 형제간 적대감 표출 등의 문제를 환아군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부부간의 갈등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가정환경 척도평가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정표현영역, 성취지향성영역, 지적-문화적 태도 영역, 적극적 여가선용 영역에서 유의한 저하를 보였고, 의존성척도에서도 정감적 의존, 의사소통에서의 의존, 여행의 어려움 등이 환아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환아모의 정신병리도 대조군에 비해 거의 모든 척도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30{\sim}40$대 도시거주 여성과 비교한 T값을 기준으로 할 때 40%정도가 우울-불안장애의 위험성이 있었다. 결 론:만성경련 환아를 둔 가족내에서, 가족구조상의 문제, 가족내 갈등, 환아에 대한 과보호와 과의존, 모의 정신병리 등이 보다 뚜렷하게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련환아의 가족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적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소견이라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