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uasive Communication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학 입시광고의 설득전략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연구 (A Semiotic Explication of the Persuasion Strategies Used in the Student Recruitment Advertising of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 이두원
    •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 /
    • 제20권2호
    • /
    • pp.105-132
    • /
    • 2012
  • 이 연구는 한국 대학의 입시광고를 수집한 후, 기호학적 분석을 통하여 입시광고 속에 나타난 설득전략들을 탐색해보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다. 대학의 입시광고는 광고주인 대학이 설득 타깃인 수험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왜 우리 대학을 선택해야 하는가'에 대한 다양한 명분과 실리를 제시하게 되는데, 이 사회적 소통과정에는 메시지의 수용자가 이상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대학의 상징적 의미체계가 설득적 전제로 활용되고 있다. 즉 대학의 입시광고는 광고주(廣告主)로서 대학이 '대학은 이런 모습이어야 하며 이런 기능과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는 시대적·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수험생과 학부모'의 선택을 유도하는 '전략적·설득적 텍스트'이다. 광고의 정교한 설득 전략은 광고 대상과 연관된 다양한 사회문화적 전제를 조사하고 각 전제를 가장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소구점을 선별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제반 과정을 통제하고 지배하는 기저구조는 그 사회의 소비문화적 이데올로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의 입시광고에는 대학의 고객인 수험생 및 학부모가 추구하고 '소비'하고자 하는 대학의 소비문화적 가치체계와 이데올로기가 내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의 입시광고[記號]를 수집하여 기호학적 분석틀을 적용하여 '광고에 투영된 한국대학의 소비문화적 가치체계와 사회문화적 이데올로기'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The Extraction Process of Durative Persuasive System Design Characteristics for Healthcare-related Mobile Applications

  • Zhang, Chao;Wan, Lili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2호
    • /
    • pp.18-29
    • /
    • 2019
  • In the field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design, persuasive design has gradually been applied to the system development and design process, especially for mobile application design. However, most mobile applications have hitherto a very short using lifecycle. Especially, design features with long-term persuasive effectiveness remain to be further researched and developed. In this study, we focused on investigating and identifying the durative persuasive design characteristics through a data mining process and evaluating the durative effectiveness through a long-term observation process. Total five hundred healthcare-related mobile applications were selected from Apple iTunes Store and a mixed method was conducted to extract the most common persuasive desig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extraction, a representative healthcare-related mobile application was selected as experimental subject. Total one hundred and twenty participants were observed during a six-months experiment and the monitoring data of app usage of all participants was collected once a week. According to the evaluation model for behavior change identification process, participants with habit formation features were proved to have a significant long-term perception level for ten persuasive design characteristics. Further interview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articipant's long-term perceptions on those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durative persuas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long-term durative effectiveness can be observed and healthcare-related apps designed with those characteristics could have durative effectiveness.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future mobile application designs in user experience and durative persuasion, as well as bringing future benefits for both mobile application developers and users.

TV홈쇼핑 쇼호스트의 구매설득커뮤니케이션 전략 (Persuasive Communication Strategy of Showhost in TV Homeshopping)

  • 이정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311-320
    • /
    • 2011
  • 본 연구는 TV홈쇼핑의 상품판매를 위해 쇼호스트가 전달하는 다양한 메시지 분석을 통해 쇼호스트의 구매설득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파악하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홈쇼핑 판매의 양대산맥인 유형상품과 무형상 품에서의 그것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과 공통점을 발견해 향후 보다 세련된 연구와 전략 수립의 기초가 되고자 한다. 두편의 해외여행상품, 등산복, 호두 판매방송 각1편씩을 선정해, 언어수사적내용분석 방법을 적용한 결과, 유, 무형재 상품에서 공히 <상품매력성강조전략>, <가격매력성강조전략>, <희소성소구전략>이 집중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반면 <사회적증거제시전략>, <긍정적소비가치소구전략>, <구매안전성소구전략>은 무형재 상품의 판매만에서 크게 중용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상품군을 포괄하지 못하고 네편의 방송만을 분석대상으로 한 한계점을 안고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각 전략들이 어떤 효과를 발휘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경험적 연구 및 실험적 연구가 나오는데, 본 연구가 이론적 초석으로 작용하고자 한다.

초등학생의 비만예방을 위한 운동증진 광고의 유형별 설득효과 (The Persuasive Effects according to Types of Exercise Promotion Advertisements for Obesity Preven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안경주;최명애;김병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17-828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suasive effects of exercise promotion advertisements for obesity prevention according to the source types( ordinary people, experts, celebrity endorsers) and advertising message types(slices of life, testimonials). Method: Gender, height, body weight, BMI, attitude toward obesity(Aob) and exercise(Aex), and intention to exercise(Iex) were collected from 62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pretest. After 2 months, six advertisements type attached to a questionnaire were provided for 20 minutes and then Aob, Aex, lex, source credibility and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s(Aad) were collected in posttest. Result: 1) In posttest the lex of 6 the group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of the pretest, 2) Source credibility of the Ordinary+Testimonial group was lower than the Celebrity+Testimonial, Celebrity+Slice of life, Ordinary+Slice of life, and Expert+Testimonial groups, Aad of the Celebrity+Testimonial group was higher than the Ordinary+ Testimonial group. 3) The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of source types and advertising message types were significant in source credibility and Aad, Conclusion: Persuasive effects of exercise promotion advertisement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Celebrity+Testimonial. This study suggests that selection of health education advertisemen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s important to promote persuasive effects.

어린이 광고의 설득전략에 대한 기호학적 해독 연구 (Decoding the Persuasion Strategies Used in the Advertising Targeted for Children)

  • 이두원
    •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 /
    • 제18권4호
    • /
    • pp.31-50
    • /
    • 2010
  • 이 연구는 어린이 광고에 내재된 설득전략을 기호학적 시각에서 해독(decoding)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현대사회에서 광고가 소비생활에 미치는 막대한 영향력을 고려할 때, 국내에서 어린이 광고에 대한 '비판적 연구(critical studies)'는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는 많은 선진국들이 '어린이 광고'가 어린이 소비가치관 및 소비생활에 미치는 유해성이나 부정적 영향에 대하여 장기간 연구하고, 그 결과를 어린이 광고 정책과 비평의 틀로 활용하는 것과 매우 대조적인 현실이다. 이 연구는 사회적 '의사소통 도구'로서 그리고 미디어 산업의 생태학적 부분으로서 '어린이 광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어린이를 광고의 '수동적 수용자'로 단정하지 않고, '능동적·비판적 수용자'로서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기초자료와 비판적 담론을 구축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린이 광고를 수집하여 '표현기법(화용적 양태)'과 광고에 내재된 설득 '소구점(appeals)'과 '전제(premises),' 소비문화적 '이데올로기(ideology)'를 분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광고주의 의도된 정교한 설득전략을 해독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기호학적 접근을 통하여, 어린이 광고에서 소비 기호들의 화용적 체계와 의미전달 체계 그리고 그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생성, 유지, 강화되며, 어린이를 향한 '전략적인' 구매 설득 수단으로 이용되는가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Health education-communication approaches in health examinations for risk behavior modification

  • Yoo, Seung-Hyun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제3권1호
    • /
    • pp.83-98
    • /
    • 2001
  • Although periodic health examination has been one of the most common practices of preventive medicine, its effect on modification of risk behavior has been seldom assessed.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influence of a health examination on modifica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related health risk behaviors such as smoking, physical inactivity, and obesity. Data of 893 adults were derived from two types of a popular and highly acclaimed health examination program. With a conceptual model constructed using Persuasive Communication variables, McNemar tests examined Source-Outcome association, hypothesizing that different health examination programs would yield different levels of behavior change in smoking, physical inactivity, and obesity. No significant behavior change was found in any of the two health examination programs. Instead, previously established Receiver-Outcome relationship was reconfirmed by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where gender was the most prominent predictor of all three behaviors. Men were more likely to be current smokers (OR=0.029), exercisers (OR=2.629), and obese (OR=0.237). The importance of followups after health examination is highly stressed as well as that of gender-specific health education strategies. This study recommends applying the social-ecological approaches in health examination, which emphasizes the support and collaboration at individual, family, organizations, community, and policy level to improve health. Long term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health examination may provide more foundation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health education and communication in health examinations.

  • PDF

An Augmented Refrigerator with the Awareness of Wasteful Electricity Usage

  • Fujinami, Kaori;Kagatsume, Shota;Murata, Satoshi;Alasalmi, Tuomo;Suutala, Jaakko;Roning, Juh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6권1호
    • /
    • pp.1-4
    • /
    • 2014
  • In this paper, an augmented refrigerator is proposed that presents information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a household fridge. The key idea is to reflect wasteful behavior on the feedback to a user, rather than mere amount of consumption or duration of opening a door of a fridge.

설득 커뮤니케이션에 기반을 둔 TV 공익광고 개선방안 -중국의 TV 공익광고를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ement of TV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Based on Persuasive Communication -Focused on TV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in China-)

  • 원커징;최원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28-642
    • /
    • 2018
  • 중국의 현대적인 TV 공익광고는 1986년에 시작되었다. TV 매체를 통해서 대중에게 메시지가 확대, 전파되면서 사회 전체가 공익광고의 수용자가 되었고, 공익광고의 영향력도 갈수록 커져갔다. 이후 30년 동안 발전을 거듭하면서 공익광고의 설득 기능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급속한 경제 발전과 광고 환경의 상업화에 따라 TV 공익광고의 설득력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성공적인 설득은 TV 공익광고의 효과를 실현하는 중요한 전제이기에 매체, 메시지, 수용자가 다변화되고 있는 환경에 따른 설득 전략을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중국인의 관점에서 중국 TV 공익광고의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설득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근거로 TV 공익광고의 설득 전략과 활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칼 호브랜드의 설득 모델에 따라 중국 TV 공익광고를 연구, 분석하고, 한계를 파악하여 TV 공익광고의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ocial Distance of Affective Advice: The Role of Construal Level in Acceptance of Rational and Emotional Advice

  • Li, Lu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395-402
    • /
    • 2017
  • Social network service provides an excellent platform for people seeking for advices. This research analyzed the effect of rational and emotional response and social distance on people's acceptance for advices online by the construal level theory. An experiment was completed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advisers and questioners and verify the content of online feedback would influence people's acceptance for advices on social network site. The online response included emotional advice and rational advice. Social distance between advisers and questioners was divided to close social distance condition and distant social distance condition. The study showed: (1) comparing with emotional advice, rational advice had a higher persuasive effect in both close and distant social distance conditions; (2) the impact of feedback from people with close social distance was stronger than the impact of the advices from people with distant social distance; (3) there existe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social distance and affective advic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dviser's affective expression and relationship with the questioner would interactively impact the online persuasive effect.

설득(說得) 메시지가 공원이용규제정책(公園利用規制政策)에 대한 이용자(利用者) 태도(態度)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s of the Persuasive Message on Users' Attitude toward the Policy of Limiting Park Use)

  • 강미희;김성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24-33
    • /
    • 1996
  • 본 연구는 성수기 동안 국립공원의 하루 입장객 수를 수용력 이하로 제한하는 국립공원 1일 총방문객수규제정책 시행에 대한 이용자의 신념과 태도 및 의도를 논리적 행위이론으로 검증하고, 이용자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개발한 설득 메시지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계룡산 국립공원 방문자 563명을 대상으로 현지설문과 우편설문을 실시한 결과, 정책시행에 대한 이용자의 기존 태도는 "바람직하다"는 입장이 43%, "나쁘다"가 49%로 나타났다. 정책시행과 관련한 이용자의 신념과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계수(r=0.42)를 보였으며, 태도는 찬성의도를 32%($R^2=0.32$)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유형으로 개발된 설득 메시지는 정책시행에 대한 이용자의 부정적인 태도와 의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득 메시지를 받은 이용자 중 74%가 정책시행을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66%가 정책시행 찬성의도를 보였으므로, 관리자와 이용자 사이의 유용한 의사소통수단으로 설득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