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pectives of Teachers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23초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이 예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 컴퓨팅 사고 및 블룸의 텍사노미 활용 평가 (The Effects of Scratch Programming on Preservice Teachers: Assessment Utilizing Computational Thinking and Bloom's Taxonomy)

  • 최형신;김기범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25-23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수업이 초등예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컴퓨팅 사고력과 블룸의 텍사노미를 활용한 인지적 평가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 학기 동안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하고 예비교사의 객관적인 프로그래밍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인지적 평가 문항을 블룸의 텍사노미를 기반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컴퓨팅 사고(Computational Thinking) 개념, 수행, 관점에 초점을 둔 설문을 실시하는 한편 팀프로젝트를 가지고 산출물 기반 인터뷰(Artifact-based Interview)를 실시하고 팀프로그래밍 경험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한 예비교사의 컴퓨팅 사고를 양적 및 질적으로 보다 포괄적으로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프로그래밍 능력을 블룸의 텍사노미 체계에 의해 객관적으로 평가해 봄으로써 향후 예비교사 프로그래밍 수업 설계에 대한 평가 측면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대학 과학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대학생과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인식 (Perspectives of College Students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on Factors Affecting College Science Learning)

  • 홍미영;강남화;김주아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875-881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자연과학을 전공하는 대학생과 고등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고등학교 과학교육 개선 방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대학생들은 전공별로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주는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학과의 경우에는 수학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화학과와 생물학과의 경우에는 영어 능력과 기초 과학 지식이 대학에서 공부하는 데 큰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대학생과 과학 교사 두 집단 모두 기초 과학 지식과 수학 능력이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크게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의 성공적인 과학 학습을 위한 과학교육 개선 방안으로, 대학생들은 탐구 기회 확대, 과학교사들은 선택과목의 필수 이수 확대라고 각각 응답하여 두 집단 간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기술.가정(실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교사 효능감에 관한 연구 - 가정 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rriculum Perspectives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he Home Economics Teacher Efficacy)

  • 최유정;채정현;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9-10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사의 가정과 교육과정 관점은 주로 어떤 유형인지, 가정과 교사로서의 교사 효능감은 어떤 수준인지, 그리고 가정과 교육과정 관점과 가정과 교사로서의 교사 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자료는 전국 중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가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지로 수집하였으며, 21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ver 1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1-검증, One-Way ANOVA와 Scheffe' 사후검증, Pearson 적률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사의 세 가지 교육과정 관점에 대한 전체적인 성향을 조사해본 결과, 해석적 관점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해방적 관점, 기술적 관점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관점의 하위영역별 경향을 알아본 결과 교육목적에 대한 가정(假定)과 지식에 대한 가정(假定)에서는 해방적 관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에 대한 가정(假定)과 사회에 대한 가정(假定)에서는 해석적 관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체 교육과정 관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해석적 관점과 해방적 관점 모두 학교소재지에 따라 특별시 광역시 소재 학교의 교사가 군 읍 면 소재 학교의 교사에 비해 해석적 관점이 강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연령이 낮을수록,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해방적 관점의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과정 관점의 하위영역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교육목적에 대한 관점에서는 연령이 적을수록 해석적 관점과 해방적 관점이 모두 강한 성향을 보였다. 해방적 관점의 경우, 또한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해방적 관점이 강한 경향을 보였다. 지식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이 적을수록 해석적 관점과 해방적 관점의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지식에 대한 해방적 관점의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해방적 관점의 경우, 학교소재지에 따라 특별시광역시 소재 학교의 교사집단이 군 읍 면 소재학교의 교사집단에 비해 해방적 관점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과 교사의 전체 효능감은 평균보다 약간 높았다. 하위 영역별 효능감은 학습지원 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학급운영 효능감, 환경지원 효능감, 교수전략 효능감, 요구대처 효능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체 교사 효능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 중 해석적 관점이 다른 관점에 비해 교사 효능감과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효능감의 하위영역에서도 해석적 관점의 상관이 가장 높았으며, 요구대처 효능감에서만 기술적 관점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ases of Exemplary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 Kwak, Young-Su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2-92
    • /
    • 2003
  • This qualitative research describes unique features of seven exemplary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Description of excellence in effectiv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will provide some insights into required inservice initiatives and support systems for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Exemplary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1) practicing classroom supervision, (2) participating in voluntary communities of teachers, (3) playing instructional leader roles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4) continuing one's studies at a graduate school. One of the common features of these exemplary teachers was that they can both articulate what makes teachers professionals and practice in accordance with their perspectives. These exemplary teachers not only improved their own classroom practices, but also participated actively in various professional communities to share their practical knowledge with their colleagues. The teachers have formed special-interest groups to investigate better ways of science teaching. They also took an active role in teachers' in-service education. Teachers' quality practices lie at the heart of classroom change. However, it'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re must be a support system that sustains and encourages teachers' initiatives. The implications for the support system to encourag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are discussed.

해양 산성화(Ocean Acidification)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이해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Ocean Acidification)

  • 김성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61-674
    • /
    • 2017
  •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how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 ocean acidification. As a result of gender, female teachers were more aware of ocean acidification than male teachers, but male teachers had a higher average rate of correct answers, with a lower standard deviation. Teachers from the natural sciences knew more about ocean acidification than did teachers the liberal arts. Teachers ranked environmental crisis in order of most dangerous to least dangerous as follow: global warming and the greenhouse effect, ozone depletion, ocean acidification, and acid rain. About 46.7% of teachers learn about ocean acidification through education, followed by broadcasts, school lectures and the internet. The educational materials most desired for teachers were videos related to ocean acidificati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ve two broad perspectives on ocean acidification. Firstly, they refer to economic loss and food shortages, and secondly, they note that there is a need for improved awareness and publicity about ocean acidification.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important because their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has a considerable effect 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Revitalizing education on ocean acidification and government support are necessary to effectively communicate the seriousness of ocean acidification. Lastly, we need to study ocean acidification in detail so as to be able to persevere toward protecting our ocean ecosystem.

남북한 수학 교과서 영역별 분석 및 표준 수학 교육과정안 개발 연구 (1) - 남북한 학교 수학 용어 통합 방안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South and North Korea on mathematics textbook and the development of unified mathematics curriculum for South and North Korea (1) - The study for the integration of the school mathematical terms of South and those of North Korea -)

  • 임재훈;이경화;박경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493-50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references of the school mathematical terms of South Korea and those of North Korea by administering a survey for learners,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to establish the criteria of desirable school mathematical terms, and to evaluate the school mathematical terms of South Korea and those of North Korea based on the criteri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preferred mathematical terms are different from one group to the other, yet the mathematical terms of South Korea are more preferred. In general, terms written in pure Korean and concise terms which are easily understandable are favored. To discuss about the criteria of desirable school mathematical terms, four perspectives were set up, 1) the semantic perspective and the regulatory perspective, 2) terms written in pure Korean and Chinese letters, 3) terms from everyday language and technical terms, and 4) the consistency. Six criteria were followed from the aforementioned four perspectives. Finally, various school mathematical terms of South and North Korea were reviewed in the angles of the four perspectives and the six criteria.

  • PDF

예비교사의 초등수학교과서 활용에 대한 관점 (Perspectives on the Use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by the Pre-service Teachers)

  • 박만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461-48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수학 수업을 관찰하면서 인식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초등수학교과서 활용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고 수학 수업에서 교과서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54명의 초등예비교사들이 서울시내 15개 지역구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54개 학급(총 1299명의 학생)의 수학 수업을 관찰하였다. 수학 수업의 관찰을 토대로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초등수학교과서의 활용과 수학 수업에서 자료의 활용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초등수학교과서의 동기유발 자료를 각색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효과적인 학습을 돕기 위하여 수준별 학습을 포함하여 교과서 이외에 다양한 활동지 및 부가적인 자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이들은 수학 수업에서 교수 학습을 위해 사용하는 도구는 주로 TV와 PPT 등이라고 응답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초등수학교과서의 내용과 체제 자체에 대해서 보통 정도의 만족을 하고 있었고, 디지털교과서 개발의 필요성도 크게 느끼지는 않았다. 연구자는 수학 교수 학습의 질 향상을 위하여 수업의 전반적인 메커니즘 안에서 교과서와 같은 학습 자료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와 교사들을 위한 학교 현장의 적용을 포함한 실제적인 연수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과학 탐구 지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조사 (Investigation of elementary teachers' perspectives on science inquiry teaching)

  • 전경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2호
    • /
    • pp.267-27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탐구 지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먼저 교사들의 탐구 지도 경험에 대해 자유롭게 서술하도록 하여,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탐구 지도 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관찰, 분류, 측정, 예상, 공정한 비교 등을 강조하는 '과학 과정기능 중심' 범주,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생성하도록 하는 '과학 문제 발견' 범주, 그리고 제시된 절차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며 과학적 개념이나 내용을 증명하는 '개념이나 내용 예증' 범주이다. 다음으로 18개의 활동이 각각 적힌 카드를 '탐구를 통한 과학 수업' 카드를 중심으로 한 이차원적 평면에 자유롭게 배치하도록 한 후, 중심 카드와 각 카드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를 측정하였다. '학생들이 적절한 절차를 설계하고 수행'하는 것이 탐구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 있는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의 탐구 이해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적극 활용되어야 하고, 나아가 초등학교 현장에서 탐구를 통한 과학교육이 보다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 PD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Using Computer Technology in Teaching from PST Perspectives

  • Alhwaiti, Mohammed 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4호
    • /
    • pp.169-174
    • /
    • 2022
  • The study aims to discover the scope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using computer technology in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a pre-service teacher (PST) perspective in light of the gender and sub-major variables. The sample consisted of 84 MEd students/pre-service teachers at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Faculty of Education, Umm Al-Qura University. The descriptive analytical approach is used due to its relevance to the study. A survey consisting of the participant's basic information section and 12 statements was sent to a set of pre-service teachers. Findings showed that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an overall high knowledge of using computer technology (M=3.93).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gender- or major-rel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α = 0.05), in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students'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using computer technology.

일반유아교사와 장애전담교사 간 협력교수 유형 적용을 통한 역할인식 (A Study of Teachers' Role Perception of Cooperation Teaching betwe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Handicapped Children)

  • 황미진;서현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63-179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inclusion class in M Inclusion Day Care Center in Busan. Thirteen sessions of cooperation teaching were applied in the inclusion class.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at kinds of change occurred in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role on both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a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during cooperation teaching.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s,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could be suggested that various types of teaching strategies need to be introduced to both teachers from the beginning of inclusion so that the general teacher a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could understand each others roles and tasks, share opinions and ideas about daily activities, and experience the roles of the other teac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