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pectives of Teachers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26초

교사의 환경교육 해석과 학습자 변화에 대한 기대 -두 중학교에서의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Teachers'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xpectations for Learners' Changes : An Ethnographic Case Study in Two Korean Middle Schools)

  • 김찬국;이동수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5권1호
    • /
    • pp.101-114
    • /
    • 2002
  • This study is an ethnographic case study aiming at understand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EE) classes of 'Discretionary Activity' which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into Korean middle school curricula.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es, researcher described the phenomena unique to two schools. Two middle school teache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s research participants. Qualitative approache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status quo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s perspectives on EE and their expectations for learners' changes. Data were gathered using the methods of participant observation during two school terms and in-depth interview with two teachers and nine students. Ethnographic analysis/interpretation methods such as domai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o verify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conclusions, triangulation, members checking and peers debriefing were used. Research questions emerging through the circulative research process include 1) what are the teachers' perspectives on EE and how do the teachers' perspectives affect their EE teaching? 2) what are the teachers' expectations for learners' changes and how are teachers/researcher able to perceive learners' changes? Two research participants have different life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n environment and EE. The perspectives had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the contents and the styles of their teaching. Teachers' expectations for learners' changes were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yles of the teaching.

  • PD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spectives of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 PANG, JeongSuk;KWON, Mi S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141-153
    • /
    • 2015
  • This paper compares and contrasts the perspectives of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by 135 elementary school teachers, 132 middle school teachers, and 124 high school teachers using a questionnaire in South Korea. All groups of teachers chose in common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nd as the most important for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Howev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placed greater importance on the curriculum and content strand than their counterparts di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nded to agree more upon the 48 items related to good mathematics teaching than their counterparts di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of teachers are expected to provoke discussion of what constitutes high-quality mathematics instruction and how such perspectives may be situate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현직수학교사와 예비수학교사들의 좋은 수학 수업을 위한 지식 및 능력에 관한 인식조사 (The perspectives on the knowledge and abilities for good mathematics teaching of in-service and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김영옥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527-546
    • /
    • 2015
  •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abilities for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has been discussed by many mathematics educators and researchers. This study surveyed the perspectives on the knowledge and abilities for good mathematics teaching of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ir teaching experiences. The perspectives of the two teacher groups about teachers' knowledge and abilities for teaching mathematics are very differe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give information on developing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programs.

유아 교사의 이론과 실천에 관한 고찰: bottom-up 관점을 중심으로 (Theories and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ottom-up Perspectives)

  • 김미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107-119
    • /
    • 2017
  •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과 실천의 관계에서 교수 행위를 바라보는 상반된 두 가지 관점 중 bottom-up 관점에서 유아 교사의 실천을 탐색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으로 유아교육에서는 top-down 관점을 중심으로 발달심리학 이론, 발달에 적합한 이론과 실제에 관한 담론, 그리고 발달이론에 근거하여 개발된 다양한 프로그램모델의 틀 안에서 유아교사의 실천과 교수행위를 정의하고 합리화해 왔다. 둘째, 이와 반대로 bottom-up 관점은 현장에서의 교사의 행위와 실천이 이론을 이끈다고 보며 반성적 사고를 통해 교사가 현장에서 실천방법을 구성해 가는데 초점을 둔다. 이 관점에서 실천은 이론의 근거가 되며, 교사는 암묵적 이론을 형성하면서 연구자의 역할을 한다고 보면서 개인경험, 학교풍토와 맥락, 그리고 우세한 교육담론이 교사의 이론을 구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본다. 셋째, 실제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결과로부터 예비교사는 경험으로부터 오는 교수에 대한 기대가 양성과정에서의 담론과의 교류, 실습 및 학교의 영향으로부터 교수에 대한 이론을 발달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현직교사들은 그들이 지닌 암묵적 지식의 전개가 지속적인 전문성 발달과 관련이 있으며 행정적 압력 및 현장의 복잡한 현실적인 문제들을 개인적으로 발달시킨 전략을 사용하여 해결함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에 따라 bottom-up 관점에 근거한 향후 교사 실천에 관한연구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중학교 가정과 교수와 기술화 교사 및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육과정 관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spectives on Curriculum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chnology Teachers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 박명주;유태명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1-174
    • /
    • 2001
  • In the 7th curriculum revision, Home Economics and Technology are combined into one subject, Practical Arts(Technology Home Economic), from 5th to 10th grad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wamine what perspectives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chnology teachers have on curriculum.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the 297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chnology teachers across the nation,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their perspectives on curriculum by independent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Both groups of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chnology teachers supported interpretive, emancipators, and technical perspective on curriculum in the order named. 2) Teachers who have teaching experience of 21 years or more showed higher orientation toward technical perspective than those who have teaching experience of 10 years or less in assumptions on society, educational goal, Knowledge, and teaching-loaming method. 3) Public school teachers showed stronger orientation toward technical perspective in assumptions on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oward emancipatory perspective in assumptions on society. 4) Teachers who majored in or took charge of Technology generally had strong orientation toward technical perspective, whereas those who majored in or took charge of Home Economics oriented more toward interpretive or emancipatory than technical perspective.

  • PDF

The Teacher's Perspectives on Students' Language Anxiety

  • Shin, Soo-Jeong
    • 영어어문교육
    • /
    • 제9권1호
    • /
    • pp.67-82
    • /
    • 2003
  • This paper is aimed at the investigation of the teacher's perspectives on students' language anxiety.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clude six Asian ESL teachers from four different countries: Korea, Japan, Taiwan, and China. The methodology employed by this case study, helped to determine teachers' perspectives on students' language anxiety.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by means of in-depth interviews with six experienced language teachers, offered some alternative insights on language anxiety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articipants' views on language anxiety management seem to be fairly consistent with their own beliefs about teaching and their own assumptions about the role of the teacher.

  • PDF

어린이집의 영아조기영어교육 실태 및 원장과 교사의 인식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Current Condition and Perspectives of Directors and Teachers toward Early English Education for Infants -Focusing on Busan Area-)

  • 배미숙;서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510-521
    • /
    • 2011
  • 본 연구는 부산시에 소재하는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영아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어린이집 원장 108명과 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X^2$ 검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조기영어교육의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적합한 교사, 교사의 자질, 개선점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없었으며, 적합한 교재, 어린이집 교육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어린이 집의 영아조기영어교육의 실태를 살펴 본 결과 실시하게 된 계기는 원장의 교육관에 의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실시방법은 간단한 회화 중심으로 주 1~2회 정도로 횟수로 실시하고 있는 곳이 가장 많았다. 본 연구 결과는 영아조기영어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포토보이스 활동을 통한 4차 산업혁명 시대 과학 교육과정 관점 탐색 - '검치호랑이 교육과정'의 세 가지 관점을 바탕으로 - (A Study 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Science Curriculu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rough Photovoice Activity: Based on Three Perspectives on the 'Saber-toothed Tiger Curriculum')

  • 김동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2호
    • /
    • pp.219-23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 128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활동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과학 교육과정의 방향에 관해 자신의 관점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활동 결과를 검치호랑이 교육과정의 보수적, 진보적, 급진적 관점으로 구분하여 탐색한 결과, 보수적 관점과 진보적 관점이 유사 비율로 높게 나타났고 급진적 관점이 낮게 나타났다. 보수적 관점의 예비교사들은 검치호랑이 교육과정에서 영원한 진리는 바탕이 되며 지켜나가야 한다는 원로들의 관점과 같이, 시간과 환경의 변화를 초월하여 유지되어야 할 '탐구'를 과학 교육과정의 기본으로 보고 중시하였다. 진보적 관점의 예비교사들은 검치호랑이 교육과정에서 '새 주먹'의 혈통을 이어받은 진취적인 사람과 같은 맥락을 가진 것으로서, 코딩과 메타버스 등 AI 기반 교육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여 탐구 기반을 대체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으로 생각하였다. 급진전 관점의 예비교사들은 검치호랑이 교육과정에서 급진주의자들이 진보적 교육과정에 의해 형성된 사회 계층 간의 갈등 문제에 대해 비판한 것처럼, 급변하는 과학교육의 정책적 상황에 대해 비판의식을 가지는 형태로 현 과학교육을 바라보고 있었다. 검치호랑이 교육과정의 흐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처럼, 예비교사들은 특정한 하나의 관점에 종속된 형태로의 교육과정을 보는 시각보다는 여러 관점으로 과학 교육과정을 바라볼 수 있는 사유 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eachers' Perspectives on Content-based Instruction in English at a Higher Education in Korea

  • Kim, Namsoon
    • 영어어문교육
    • /
    • 제18권1호
    • /
    • pp.91-11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spectives on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in English at a higher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ontent-based instruction programs could be successful if teachers were actively involved not only in transmitting the content knowledge but also in students' development in the second or foreign language competence, the study explores teachers' treatments of language in relation to the students' language development in CBI classes. Research questions were related to five areas such as (1) the goals of CBI programs, (2) difficulties in CBI classes, (3) the use of native language, (4) teaching strategies and techniques, and (5) factors that affect the success of the CBI programs. Data gathered from 24 college instructors from a large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city of Korea.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college instructors of CBI programs had keen interest in developing students' language competenc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designing course syllabus for mixed leveled group of students, rarely used Korean in class and used successful teaching strategies. Also factors needed to improve the CBI programs were recommended at the end of the study. Results of the study implied that teachers needed to be more aware of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 of English and to be more communicative with students in English in class. Further studies were needed in relation to the CBI courses for students of different age levels.

  • PDF

과학교사들의 과학철학적 관점이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개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ers' Philosophical Perspectives of Science on Their Student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 소원주;김범기;우종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9-121
    • /
    • 1998
  • 과학적 소양에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합의한다. 그러나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개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에 대해서 알려진 것이 별로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사들의 과학철학적 관점이 그들이 가르치는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개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는 이다. 본 연구에서 과학교사와 학생의 과학관을 비교하였을 때, 과학교사틀의 과학의 관점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개념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연구 가설은 기각되었다. 즉, 본 연구의 자료에 의하면, 교사들의 과학의 관점과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 개념 사이에 아무런 유관 관계가 없었다. 이는 과학의 본성이 학생들의 요구나 교육과정 목표로써 고려되거나 교육되지 않는데 따른 귀결이다. 이 연구 결과는 중등 과학교육에서 더 한층 과학의 본성 개념 함양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