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style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24초

토털 패션 Styling을 위한 헤어 행동 연구 (A Study on Hair Behavior for Total Fashion Styling)

  • 정진태;김칠순
    • 복식문화연구
    • /
    • 제17권1호
    • /
    • pp.90-104
    • /
    • 2009
  • If people want to project a successful personal style, hair style might play a big role as well as clot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hair behavior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desired hair image and clothing image sough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600 females aged $20s{\sim}40s$,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Only 556 reliable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r, ANOVA and Chi-square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using the SPSS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hair style and occupation. Career woman preferred roll straight perm treated hair, students preferred general perm treated hair and full time house wives preferred general wave perm treated. The medium layer cut was the most preferred cut style. People want to give different accents in hair styling with occupation and age variable. Certain desired clothing image had a high correlation with desired hair style image. Those who people want to express sexy, and bohemian image through clothing, they also want to create those image in hair styling with a high correlation(r=0.683, r=0.704).

  • PDF

일부 미용 전공 학생의 헤어스타일과 성격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irstyling of College Students in Department of Beauty Art and Their Personalities)

  • 송미라;이재란
    • 환경위생공학
    • /
    • 제18권2호
    • /
    • pp.75-86
    • /
    • 200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i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t. For this, 286 female students from two colleges in Kwangju were interviewed using a questionnaire pertain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hair-style and personality from September 20 through 30, 2001. A $x^2{\;}-{\;}test$ was implemen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air-style, personality and other variabl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o define characteristics in relation with hair-style, how students decide their hair-style was examined and, as a result, it was reported that 80.8% of targeted students decided by themselves and 19.2% decided by others' suggestions. 2. It is report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length of hair, grades, allowances, religion, satisfaction of campus life, and characteristics relating to hair-style such as accessories, mood, shape of face, decision of hair-style, and texture of hair. 3. Their preference of perm typ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ir allowance, religion and accessories, but not with their grades, satisfaction of campus life, mood, shape of face, hair-style, and texture of hair. 4. Dye and bleach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texture of hair, but not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ccessories, mood, shape of face and decision of hair-style. 5. Personality of tenacity, extroversion and introversion, emotion and falsehood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hair-style. Finally, it was proven that strength, extroversion and introversion, emotion and falsehood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hair-style. More studies to identify personal tendencies that may affect hair-style are necessary.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넥타이 문양디자인 선호 (Preference of Neck-tie Pattern Designs according to Male Consumers' Fashion Life Style)

  • 송하영;고영림;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489-500
    • /
    • 2008
  • 본 연구는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넥타이 문양디자인 선호도와 구매 의도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은 '유행 지향', '보수 전통지향', '과시적 브랜드 지향', '개성 지향', '실용 지향', '패션 무관심' 형으로 분류되었다. 각각의 패션 라이프스타일 요인들을 군집 분석하여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집단을 '개성 추구', '실용 & 브랜드 추구', '보수 전통 & 개성 추구', '유행 추구', '패션 무관심'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넥타이 문양 선호와 구매 의사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 지향'형은 '무지단색', '원', '페이즐리'의 넥타이 문양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꽃' 문양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 전통지향', '과시적 브랜드지향', '실용 지향'형은 '줄', '체크'의 넥타이 문양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유행 지향', '과시적 브랜드지향', '개성 지향'형은 '무지단색', '꽃', '동물'의 넥타이 문양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 지향'형은 '무지단색', '꽃', '동물'의 넥타이 문양에 대한 구매 의사가 있는 반면, '실용 지향'형은 '원' 문양에 대한 구매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지향'형은 '원' 문양에 대한 선호 및 구매 의사가 동시에 있었고, '유행 지향'형 역시 '무지단색', '꽃', '동물' 문양에 대한 선호 및 구매 의사가 동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수 전통지향' 및 '과시적 브랜드 지향'형이 '줄', '체크' 문양에 대한 선호가 높았으나, 구매 의사는 '페이즐리' 문양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선호하는 넥타이 문양과 구매하고자 하는 문양 간에 차이를 보였다.

  • PDF

초등학교 수학 및 과학 영재와 일반아동의 학습양식과 성격유형의 차이 연구 (A Study on Personality Types and Learning Styles of the Gifted in Mathematics and Sciences)

  • 김판수;강승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2호
    • /
    • pp.191-208
    • /
    • 2003
  • 본 연구는 수학 및 과학 영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성격유형과 학습양식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 및 과학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부산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5, 6학년 135명과 일반아동 66명을 대상으로 하여 MMTIC과 학습양식검사를 실시하였다. 성격유형의 분석은 선호지표와 기능별, 기질별 분포를 중심으로 하였고, 학습양식은 독립형, 의존형, 협동형, 경쟁형, 참여형, 회피형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수학 및 과학 영재 아동은 성격유형, 학습양식 그리고 성격유형에 따른 학습양식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일반 아동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연구대상의 성격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학습양식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애니메이션의 역사적 양식에 대한 연구:개인양식과 미국의 디즈니.일본의 지브리 양식을 중심으로 (The study about historical style of animation :Focused on the individual style and USA's style & Japan's style)

  • 김재웅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6호
    • /
    • pp.49-65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의 양식에 대한 유형을 분석하였다. 역사적 양식에는 자기 자신만의 고유한 특정기질을 드러내는 개인양식과 유사한 환경을 공유하는 보편적 성향인 시대양식, 그리고 집단의 형태적 취향과 민족정서를 드러내는 민족양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리 트른카와 팀 버틀, 유리 놀스테인 등의 개인양식은 각 개인의 독특한 감수성과 관찰력이 뛰어난 영상미로 표현하고 있으며, 주제에 대한 해석과 매체를 다루는 기술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애니메이션의 고전적 규범의 신기원을 구축한 디즈니는 풍부한 표정언어와 섬세한 동세의 풀 애니메이션으로 미국애니메이션의 민족양식을 완성시켰고, 일본 아니메의 역사양식에는 몇 몇 감독들의 노력과 함께 휴머니즘적 사상, 그리고 일본의 사회문화와 전통의 맥을 이어가는 지브리가 그 중심에 있었다.

  • PDF

정서조절양식과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teacher efficacy to their burnout)

  • 강혜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902-4909
    • /
    • 2013
  • 본 연구는 정서조절양식과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유아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는 보호요인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와 울산광역시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정서조절양식과 교사효능감은 각각 소진에 영향력이 있었는데, 회피-분산적 양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소진이 많았고,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소진이 적었다. 이 결과는 정서조절양식과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소진을 의미 있게 설명하는 변인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유아교사가 효과적인 정서조절양식을 사용하도록 돕고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스위스 그래픽 양식의 포스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ers of Swiss Graphic Style)

  • 홍성일;안창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75-18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스위스 그래픽 양식의 형성과 정착에 가장 큰 흐름을 차지하였던 포스터를 중심으로 스위스 그래픽 양식의 체계적인 이해와 디자이너들의 디자인 이념, 그리고 시각적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물론 편집디자인과 같은 포스터 외적인 다른 시각디자인 분야를 통해서도 스위스 그래픽 양식이 다듬어지고 국제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지만 그 당시 대중들의 선동 선전에 가장 많이 이용되었고 디자이너들의 주된 표현 매체가 되었던 포스터를 통해 20세기 중반이후 전 세계 그래픽 디자인 양식의 교과서로 자리잡았던 스위스 그래픽 양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먼저 배경과 형성과정을 통해 그래픽 양식의 생성 의미를 되새겨 보고 스위스 그래픽 양식의 시각적 특징과 그 양식의 특징들이 스위스 디자이너들의 포스터를 통해 어떻게 접목되고 나타났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어느 특정 디자인 양식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는 개인 디자이너의 독자적인 행보나 노력도 중요했지만 밑거름이 되었던 사회 문화적인 영향, 앞선 디자인 양식과 이념의 소산물과 함께 여러 디자이너들의 열정과 실험적인 결과의 진취적 과정이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二酸化窒素의 個人被暴量에 對한 硏究: 서울市內에 居住하는 主婦를 對象으로 한 調査結果 (Studies on Personal Exposure Level of Nitrogen Dioxide:(In case of housewives living in Seoul))

  • 金旻永;兪榮植;朴相賢;朴聖培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5-72
    • /
    • 1986
  • This study was made to determine the factors involving personal exposure levels of nitrogen dioxide for housewives living in urban area in two seasons, winter and summer. Nitrogen dioxide was measured with a small passive sampler containing triethanolamine. The samplers were set for 24 hours at three points. They were places: on the collar of the housewife to investigate the personal exposure level, near the TV in the living room (indoor level), and near the porch of their house (outdoor level). The subjects recorded the times of cooking using a gas range, using a kitchen ventilator, passive smoking, kerosene heater, total number of minutes at an open window, going out of home, etc.$\ldots. There was an apparent increase in personal exposure level in the case of the unvented heater and also an increase by cooking on a gas range. There was no marked increase in the other situations.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indoor level by cooking on a gas range, only in western style cooking in the winter season. Through these observations, we concluded that personal exposure level of nitrogen dioxide was strongly related to indoor nitrogen dioxide level, and factors involving indoor nitrogen dioxide level seemed different between winter and summer.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nitrogen dioxide level was indoor pollution in the winter and the outdoor environment in the summer. The maximum personal exposure level appeared in the western and tenement house in the winter and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in the summer.

  • PDF

아파트 거주자들의 안방 사용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age Behavior of An-bang in Apartment Dwellers)

  • 이복희;한지영;윤재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85-193
    • /
    • 1999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usage behavior of An-bang space in apartment dwellers through the perception, the residential life style and the use of furniture. The data is collected from interviewing housewives through questionnaire designed for this study. The 210 date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ies, Mean, Factor analysis, ${\chi}^2-test$,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test.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t is called An-bang' or 'large room' rather than 'master's bedroom' although it is recognized as exclusively couple-oriented space. And are founded to be different designation and perception on An-bang space. (2) The residential life style in An-bang is classified as family-centered gathered, rest entertainment, make-up fitting and hobby. And it ha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weller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3) The furniture style and arrangement pattern are mostly modern ones and 'ㄷ' type.

  • PDF

중국 귀주성 마이오족여자의 두발형태와 두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ao Women's Hair Styles, and Hair Ornaments of Guizbou Province in China)

  • 김영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4-42
    • /
    • 2003
  • Hair styles vary greatly and are an integral part of the Miao women's costume, often denoting marital status. The hair style was expressed in various styles by using Kokye. Chukye and Byunbal. Hair is swept in to buns and knots of varying size or arranged in huge structures supported with extra hair or wooden pieces. The hair ornament was expressed in various styles turban and hat. Some groups use a turban as an integral part of the style that is wrapped round the head in a specific way. Silver ornaments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bright and colorful attire and personal adorment of Miao women's in Guizhou. Silver horns, silver crowns, silver hats are peculiar to Miao women's hair style. They are also indispensable hair ornaments of Miao women's. festive dress in Guizh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