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management

검색결과 3,528건 처리시간 0.037초

우리나라의 인공지능(AI)서비스를 위한 개인정보보호 개선방안 (The Improvement Plan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AI) Service in South Korea)

  • 신영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0-33
    • /
    • 2021
  • 본 연구는 인공지능서비스가 확대되면서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호에 관한 안전성이 요구되어짐에 따라, 우리나라가 추진해야 할 개인정보보호 개선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문헌조사를 통해서 자료 수집 및 분석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자율주행자동차, 의료/헬스케어, 에너지, 금융, 유통/물류, 법률자문, 홈비서 등 주요 인공지능서비스를 중심으로 개인정보 이슈사항 및 각 서비스에 적합한 개인정보보호기준을 도출하였다. 또한, 인공지능서비스에서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제적 기준과 처리과정의 기준을 중심으로 주요국가의 추진사례를 검토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국내에 적용하여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법제적 기준에서는 인공지능서비스 확대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법률의 재정비, 인공지능서비스의 개발 및 제공에서의 책임과 원칙 준수, 인공지능서비스로 인한 개인정보침해 및 보안위협 등으로부터의 위험관리체계 운영 등이 요구된다. 처리과정의 기준에서는 첫째, 전처리 및 정제에 관해서 데이터셋 참조모델 표준화, 데이터셋 품질관리, AI애플이케이션의 자발적 라벨링이 필요하며, 둘째, 알고리즘 개발 및 활용에서는 알고리즘의 명확한 범위규정과 그에 대한 규제를 마련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국내의 안전한 인공지능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비식별조치 외에 우리나라에 적합한 개인정보보호 개선과제로 적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인공지능서비스에서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도출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변호사의 개인정보 보호의무 (Attorney's Duty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 하정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1-10
    • /
    • 2014
  • 대한변호사협회는 2014년 2월 변호사윤리장전을 개정하면서 변호사의 개인정보 보호 의무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였다. 최근 빈번한 개인정보 유출로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도 강하게 인식되고 있는 상황에서, 개인정보 보호의무의 신설은 기존의 변호사의 비밀유지 의무로 보호되지 못하는 의뢰인이외 제3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비밀의 누설 이외 수집, 기록, 보유, 가공, 편집, 검색, 출력 등의 각종 처리에 관하여 규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고유 식별정보의 암호화는 변호사가 보관 중인 각종 민감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라고 볼 수 있고, 정보주체의 접근 보장은 자기 정보에 대한 자기 결정권 등 헌법적 가치가 반영된 것으로서 시대의 요청이라고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현재 변호사윤리장전이 개인정보 보호의무의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고 있지 않은 가운데, 변호사의 개인정보 보호의무의 일반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향후 구체적으로 개인정보의 처리가 문제될 수 있는 몇 가지 경우를 살펴본다. 해당 논의가 변호사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논의에 작으나마 기여하기를 바란다.

A Study on Receptivity to Sharing Living Space in Communal Shared Housing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depending on Personal Traits

  • Kim, Hyun-Jung;Lee, Yeun-Sook;An, So-Mi
    • KIEAE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5-20
    • /
    • 2016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vide personal traits of the elderly living in a rural area into extraversion, agreeableness, openness,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and lonelines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raits and receptivitiy to sharing living space in communal shared housing. Method: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elderly of ages greater than 55 living in Yeongwol-gun, Gangwon-do. Depending on how often elderly welfare facility was used, places where the elderly gathered were divided into a senior citizen center, senior welfare center, and other places where they often gathered. The researchers visited each of the places directly and conducted a survey with face-to-face interviews. Result: The collected data consisting of 124 respondents were analyzed through SPSS statistical program. It showed that 5 personal traits, except for agreeable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trovert and low lonely elderly people had high receptivit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raits and acceptable shared space reveal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function of space. Especially, shared resting space was related to low emotion-oriented trait, such as neuroticism and loneliness, while shared hobby and sanitary space were related to strong management-oriented trait of conscientiousnes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personal traits in predicting receptivitiy to sharing living space. Also,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degree of receptivity to sharing living space based on personal traits and to plan shared space in several levels, such as full sharing, partial sharing, and individual use, to develop and supply communal shared housing successfully.

개인선량계 분실 사례 및 분실 방지 방안 조사 (Investigation of Personal Dosimeter Loss Case and Measures to Prevent Loss)

  • 박성우;박현식;박영재;이경재;오기백;이성하;김민석;박주언;원문희
    • 핵의학기술
    • /
    • 제27권1호
    • /
    • pp.66-70
    • /
    • 2023
  • Purpose It is intended to improv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personal dosimeters by analyzing and sharing personal dosimeter loss cases and loss prevention meas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17 to 2021, data on the number of lost personal dosimeters were collected at large hospitals, and the number of personal dosimeters issued and lost were investigated. Results In order to prevent loss by institution, methods such as the use of auxiliary rings, contact stickers and dosimeter necklaces were implemented. Conclusion Hospitals are a business that frequently changes clothes, such as surgical gowns and work clothes, so there is a lot of los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loss rate increases as the number of personal dosimeters issued increases.

  • PDF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들의 역할 내 행동과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괴리현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In-Role Behavior and Psychological Capital: The Moderating Role of Management Decoupling and Personal Decoupling)

  • 김문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8-62
    • /
    • 2017
  • 거대기업들의 분식회계와 비윤리적인 기업경영, 리더십의 부재를 지켜보면서 본 연구는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들의 역할 내 행동과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경영진 괴리현상과 개인 괴리현상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팀을 이끌어가고 있는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들에게 제대로 받아들여짐으로써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조직의 최종의사결정자인 최고경영진이 조직의 미션과 일치되지 않는 행동을 보이는 경영진 괴리현상을 인지할 경우, 윤리적 리더십의 긍정적인 효과가 방해를 받거나 상쇄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팀원들 자신의 행동이 조직의 미션과 일치되지 않는 개인 괴리현상을 인지할 경우에도 윤리적 리더십의 효과는 감소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윤리적 리더십과 괴리현상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다. 은행, 반도체회사, 대학병원에 종사하고 있는 922명의 종업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은 팀원들의 역할 내 행동과 긍정심리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영진 괴리현상의 조절효과가 검증됨으로써 조직의 미션과 다르게 행동하는 경영진 괴리현상이 윤리적 리더십의 긍정적인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윤리적 리더십과 경영진 괴리현상이 조직의 실무자에게 주는 함의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개인의 혁신성과 사회적 영향 관점에서 특수교사들의 스마트미디어 수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smart-media acceptance model for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based on personal innovativeness and social influence)

  • 한동욱;강민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75-83
    • /
    • 2012
  • 본 연구는 특수교사들의 스마트미디어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개인의 혁신성과 사회적 영향 두 가지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개인의 혁신성, 사회적 영향, 성과에 대한 기대, 행위의도와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설정된 요인들 간의 경로분석을 통한 가설 검정 결과, 사회적 영향이 성과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 및 행위의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영향은 성과에 대한 기대를 매개요인으로 하여 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의 혁신성은 성과에 대한 기대나 행위의도에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 전문가 유형에 따른 인적자원관리

  • 김영배;차종석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1997년도 제11회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7-82
    • /
    • 1997
  •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variou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of HRM (Human Resorce Mamagement) systems using data from 968 R&D professionals in 9 private R&D organizations. It identifies different patterns of reward and career development needs associated with 4 types of R&D professionals, who are categorize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personality and attitude. A productive leader type shows active personal traits (which encompass high scores of need for achievement, risk-taking propensity, tolerance for ambiguity, and self-efficacy) and positive attitudes (which include high scores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ow scores of turnover intention), while a cynical bystander type exhibits passive personal traits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a job. A passive adapter, who has passive personal characteristics but positive attitudes, and a frustrated champion, who is active in personality but negative in current job attitude, lie in between them. The results reveal that: 1) These four different types of R&D professionals show differences in their education, age and tenure level, and technical performance. 2) They have different career orientations and problem solving styles. 3) They also exhibit different preferences in performance appraisal criteria and rater, and reward structur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a contingent typ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erms of selection and staffing of R&D professionals, performance appraisal, incentive systems, and career development plans.

  • PDF

소방공무원의 개인, 직무 및 건강관리 특성이 근골격계질환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조사 (Investigation of Effect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Job Stress on Personal, Job and Health Care Characteristic of Firefighter)

  • 하강훈;소수현;이경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9-8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ersonal, job, and health care characteristics of firefighters on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 and job stress. This survey was participated 591 firefighters in jeonnam and Busan city. The survey consisted of 1) personal, job, and health care characteristics measurement, 2) job stress measurement (KOSS,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3) musculoskeletal disorders symptoms mesurement.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using SAS 9.1 Ver. The statistics analysis was performed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survey item. The Chi square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d the effects of personal, job, and health care characteristics on MSDs and job str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on musculoskeletal disorders symptoms, 49.6% of the subjects perceived pain related to musculoskeletal diseases. The total score for job stress was 51.6 (SD 12.9), which was the highest 50% when compared to the Korean job stress standard (male). Age, department, work experience, working type, position, and sleeping time were found to affect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job stress.

중증장애인 활동보조인의 근골격계 통증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Pain and Quality of Life among Personal Assistants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 송이슬;김기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30-540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with demographic and work characteristics that affect musculoskeletal pain and quality of life among personal assistants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Methods: The subjects were recruited among personal assistant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refresher training held in K-si, Gyeonggi-do Province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Using a survey instrument developed by the authors, subject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concerning muscluloskeletal pain and quality of lif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Basicall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t-test or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otal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subjective physical workload were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pain sites and intensity. Additionally, for quality of life, subjective physical workload was related in the regression model.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we identified that characteristics of work affected the musculoskeletal pain and quality of life of personal assistants for the severely disabled, and suggested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including musculoskeletal pai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during the refresher education for assistants to the severely disabled.

개인정보 유.노출 사고로 인한 기업의 손실비용 추정 (Estimating Direct Costs of Enterprises by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Breaches)

  • 유진호;지상호;임종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3-75
    • /
    • 2009
  • 해킹에 의한 개인정보의 유출 또는 기업의 관리 소홀로 인한 개인정보 유 노출 등의 침해사고가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개인정보 유 노출 사고의 발생시 기업의 손실비용을 산출하는 일은 정보보호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해 필요하다. 본고는 개인정보 유 노출 사고로 인한 기업의 직접적이고 정량적인 손실비용 산출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개인정보 침해사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손실비용을 범주에 따라 분류하고, 비용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제시된 모형으로 2005${\sim}$2007년 동안 국내에서 발생한 개인정보 유 노출 사고의 손실을 추정하였고, 이를 일본의 사례와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