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Organization Fit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7초

조직 메모리 제공과 개인-직무, 개인-조직 적합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흡수역량을 매개로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Memory Affordance and Person-Job, Person-Organization Fi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s : Mediating Absorption Capacity)

  • 권재현;서영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74-284
    • /
    • 2020
  • 4차 산업 혁명 시대에는 데이터의 효율적인 활용 수준이 그 기업의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조직 메모리 제공이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의 수준에 따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흡수역량이 매개로 했을 때의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재직자 317명을 대상으로 설문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조직 메모리 제공이 충분한 조직은 개인-직무 및 개인-조직 적합성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흡수역량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조직 메모리 제공은 개인-조직 적합성을 매개할 '때 흡수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은 조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흡수역량을 매개할 경우는 개인-조직 적합만이 긍정적인 영향 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흡수역량의 선행 요인으로 조직 IT 구축환경과 구성원들의 조직과 직무에 대한 인식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실증함으로써 연구의 의의가 있다.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이 개인-환경 적합성과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한국·중국 비교연구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on Affective Commitment: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China)

  • 한수진;고애나;강소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5968-5981
    • /
    • 2015
  • 한국사회 전통적 집단주의적 특성은 성과주의 등의 제도유입으로 인하여 개인주의적 특성과 결합되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가 혼재되어 있는 현대 기업조직에서 개인의 문화적 성향인 집단주의와 개인주의가 개인-환경 적합성(개인-조직/개인-상사/개인-동료 간의 적합성)에 미치는 효과와 좀 더 나아가 정서적 조직 몰입으로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개인의 문화적 성향과 더불어 국가의 문화적 특징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중국과 한국간의 집단주의 성향과 개인-환경 적합성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주의 성향이 개인-환경 적합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개인-환경 적합성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주의 성향과 집단주의 성향의 상호작용은 개인-환경 적합성 간의 관계를 보다 강화시켰다. 마지막으로, 한국이 중국에 비해 집단주의 성향이 개인-환경 적합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직장인의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areer Planning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Organization Employees: Mediating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Fit and Person-Job Fit)

  • 김동윤;진성미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1호
    • /
    • pp.31-53
    • /
    • 2018
  • 글로벌화와 고용시장 변화에 따른 경력 환경의 불확실성은 노동시장을 경쟁적으로 변화시키며 근로자의 고용불안을 더욱 확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제기되는 개인 주도의 새로운 경력 패러다임은 경력 주체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내재적 관점의 경력성공을 중요한 경력 성과임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개인의 경력 계획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그리고 경력성공을 위해서는 개인의 경력계획뿐만 아니라 경력계획을 통해 개인이 인지하는 조직 및 직무적합성 또한 중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개인의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개인-조직적합성 및 개인-직무적합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직장인 220명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경력계획은 주관적 경력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 모두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경쟁적인 고용사회에서 경력만족 및 고용가능성과 같은 주관적 경력성공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의 주도적인 경력계획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경력계획을 통해 현재의 조직과 직무에 좀 더 만족하며 주관적 경력성공을 충족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직차원에서도 조직구성원들의 주관적 경력성공을 위해서는 개인차원의 역할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이 조직 및 직무적합성을 더욱 높게 인식할 수 있도록 개인의 경력계획을 반영한 경력개발프로그램과 직무순환제도가 개발될 수 있도록 전략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The Person-organization Fit and the Person-job Fit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Impact on Job Enthusiasm: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tment)

  • 김종래;함현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117-12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조직적합성과 직무적합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경우에는 격무로 인한 스트레스와 심적 좌절감 등이 문제가 되고 있어 이들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 것으로, 경기북부지역의 P시와 U시의 사회복지직 공무원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중다귀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열의에는 개인-직무적합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도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개인-조직적합성은 직무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은 나타나지 않으나 조직몰입을 통한 완전매개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은 개인 차원의 능력이나 목적, 요구 등이 직무와 부합하고 있고 직무열의를 보이고 있는 반면, 조직 차원의 조직적합성에서는 조직 가치나 구조 등에 있어서 일치정도가 나타나지 않아 조직 내에서의 일치성과 친화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열의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조직 차원에서의 지원과 일체감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조직구성원의 개인-환경적합성과 정보시스템 수용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의 매개역할 (A Study on the Impact of Employee's Person-Environment Fit and Information Systems Acceptance Factors on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Capital)

  • 허명숙;천면중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9권2호
    • /
    • pp.1-42
    • /
    • 2009
  • In a knowledge-based society, a firm's intellectual capital represents the wealth of ideas and ability to innovate, which are indispensable elements for the future growth. Therefore, the intellectual capital is evidently recognized as the most valuable asset in the organization. Considered as intangible asset, intellectual capital is the basis based on which firms can foster their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One of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intellectual capital is a social capital, indicating the firm's individual members' ability to build a firm's social networks. As such, social capital is a powerful concept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emergence, growth, and functioning of network linkages. The more social capital a firm is equipped with, the more successfully it can establish new social networks. By providing a shared context for social interactions, social capital facilitates the creation of new linkages in the organizational setting. This concept of "person-environment fit" has long been prevalent in the management literature. The fit is grounded in the interaction theory of behavior. The interaction perspective has a fairly long theoretical tradition, beginning with proposition that behavior is a function of the person and environment. This view asserts that neither personal characteristics nor the situation alone adequately explains the variance in behavioral and attitudinal variables. Instead, the interaction of personal and situational variables accounts for the greatest variance. Accordingly, the person-environment fit is defined as the degree of congruence or match between personal and situational variables in producing significant selected outcomes. In addition, information systems acceptance factors enable organizations to build large electronic communities with huge knowledge resources. For example, the Intranet helps to build knowledge-based communities, which in turn increases employe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t is vital since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ve efforts can employees build common basis for shared understandings that evolve into stronger relationships embedded with trust. To this aim,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network allows the formation of social network to be more viable to rapid mobilization and assimilation of knowledge assets in the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1) the impact of person-environment fit(person-job fit, person-person fit, person-group fit, person-organization fit) on social capital(network ties, trust, norm, shared language); (2) the impact of information systems acceptance factors(availabilit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on social capital; (3)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personal performance(work performance, work satisfaction); and (4)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capital between person-environment fit and personal performance. In general, social capital is defined as the aggregated actual or collective potential resources which lead to the possession of a durable network.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was originally developed by sociologists for their analysis in social context. Recently, it has become an increasingly popular jargon used in the management literature in describing organizational phenomena outside the realm of transaction costs. Since both environmental factors and information systems acceptance factors affect the network of employee's relationships, this study proposes that these two factor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 capital of employees. The person-environment fit basically refers to the alignment between characteristics of people and their environments, thereby resulting in positive outcomes for both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ystems acceptance factors have rather direct influences on the social network of employees. Based on such theoretical framework, namely person-environment fit and social capital theory, we develop our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based on 458 employee cases are as follow: Firstly, both person-environment fit(person-job fit, person-person fit, person-group fit, person-organization fit) and information systems acceptance factors(availabilit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significantly influence social capital(network ties, norm, shared language). In addition, person-environment fit is a stronger factor influencing social capital than information systems acceptance factors. Secondly, social capital is a significant factor in both work satisfaction and work performance. Finally, social capital partly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person-environment fit and personal performance. Our findings suggest that it is vital for firm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social capital of employees and accordingly identify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ystems acceptance factors in building formal and informal relationships of employees. Firms also need to reflect their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s mediating role in boosting personal performance. Some limitations arisen in the course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내부시장 지향성이 서비스 제공자의 적응적 서비스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개인-환경 적합성과 직무열의의 연속다중매개효과 (The Effects of Internal Market Orientation on Service Providers' adaptive service behavior :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Person-Environment Fit and Work Engagement)

  • 이명성;김기대
    • 서비스연구
    • /
    • 제13권4호
    • /
    • pp.24-46
    • /
    • 2023
  • 본 연구는 서비스 조직의 내부시장 지향성이 서비스 제공자의 적응적 서비스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를 위하여 어떠한 심리적 과정을 거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서비스 조직의 내부시장 지향성이 서비스 제공자의 인지적 측면인 개인-환경 적합성과 정서적 측면인 직무열의의 심리적 과정을 연속으로 매개하여 적응적 서비스 행동을 증가시킬 것으로 가정하고, 가설 및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부산과 경남지역에 위치하는 위탁급식업체의 영양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델에서 제안된 가설을 검증한 결과 내부시장 지향성은 개인-환경 적합성의 핵심요소인 개인-직업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을 증가시켰으며, 개인-직업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은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직무열의는 서비스 제공자의 적응적 서비스 행동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응적 서비스 행동에 대한 내부시장 지향성의 영향력은 개인-환경 적합성과 직무열의를 연속적으로 매개함을 본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일탈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Worker on Deviant Workplace Behavior)

  • 임진섭;정혜원;김태형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2호
    • /
    • pp.35-6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광역시 소재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적합성, 직무소외가 일탈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로를 파악하는 것이며 동시에 이러한 영향관계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주사회복지사협회에서 실시한 사회복지 보수교육에 참여한 567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데이터가 사용되었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독립변인인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적합성은 매개변인인 직무소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소외는 일탈적 과업행동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적합성은 일탈적 과업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직무소외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여기서 직무소외감은 완전매개 변인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에서는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일탈적 과업행동에 대한 논의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Structural Model of Developing Human Resources Performance: Empirical Study of Indonesia States Owned Enterprises

  • HAERANI, Siti;SUMARDI, SUMARDI;HAKIM, Wardhani;HARTINI, HARTINI;PUTRA, Aditya Halim Perdana Kusum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3호
    • /
    • pp.211-221
    • /
    • 2020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structural Person-Organization Fit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employee performance. This study is based on a quantitative approach by collecting data using a survey conducted on three SOE's companies in Indonesia that operate in Makassar City, namely Pelindo. Ltd (Port Company), PLN. Ltd (Electric Company) and Pertamina. Ltd (Oil and Gas Company), with a sample of 90 employees. The study population was all non-managerial permanent employees. Data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tructural relations, out of the nine direct tests, there were two insignificant relationships, and in all three hypotheses there was one not-supported hypothesis. When compared between person-organization Fit and Organizational Justice, it is found that organizational justice has a more critical role in building Human Resource performance compared to Person-Organization Fit, because organizational justice is better able to provide job satisfaction and mak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B as a prerequisite for its formation to better Human Resources performance. With organizational justice, employees will feel more satisfied working, committed to the work and organization, and behaves as a supportive organizational citizen for the realization of the best performance for the interests of the organization going forward.

개인-직무 적합성과 직무성과의 관계에 대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와 일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연구 (The Effect of Person-Job Fit on Job Performance : Medi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and Moderating Effect of Work Meaning)

  • 신인규;정승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3권2호
    • /
    • pp.77-9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개인-직무 적합도가 직무성과의 미치는 영향관계와, 그 관계에서 일의 의미의 조절효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기업 조직에 근무하는 304명으로부터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실적 개인-직무 적합도와 인지된 개인-직무 적합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며, 인지된 개인-직무 적합도는 직무성과를 유의하게 예측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인-직무 적합도와 직무성과의 영향도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며, 개인-직무 적합도와 직무 열의의 영향도 관계에서 일의 의미의 조절효과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사실적 개인-직무 적합도와 인지적 개인 -직무 적합도의 상관관계를 실증하였으며, 개인-직무 적합도는 직무열의와 같은 정서적 변인을 매개로 하여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조직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채용된 직원의 특성에 적합한 직무환경을 제공하고, 직원들이 개인-직무 적합도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는지를 관리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특히 직원들이 일을 통해 자신의 성장이 촉진되고, 공공선에 기여한다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공무원의 환경 적합성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son-environment Fit on the Job Performance of Public Officials)

  • 김현재;김성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559-571
    • /
    • 2020
  • 본 연구는 국회사무처 등 의정지원조직에서 개인-환경 적합성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의정지원조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개인-환경 적합성(유사적합성, 보완적합성), 직무수행(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 자기효능감을 변수로 설정하여 각각에 대한 영향요인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의정지원조직 공무원들의 유사 적합성은 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에서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보완적합성은 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 모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의정지원조직 공무원의 직무수행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과 직무와의 일치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해주는 한편 전공, 경력 등을 통한 부서배치 전략만으로는 성공적인 직무수행을 담보할 수 없으며 별도로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의정지원조직의 교육훈련 과정에 자기효능감과 관련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도입 필요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