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mutation Test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초

A Note on Bootstrapping in Sufficient Dimension Reduction

  • Yoo, Jae Keun;Jeong, Su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2권3호
    • /
    • pp.285-294
    • /
    • 2015
  • A permutation test is the popular and attractive alternative to derive asymptotic distributions of dimension test statistics in sufficient dimension reduction methodologies; however, recent studies show that a bootstrapping technique also can be used. We consider two types of bootstrapping dimension determination, which are partial and whole bootstrapping procedures. Numerical studies compare the permutation test and the two bootstrapping procedures; subsequently, real data application is presented. Considering two additional bootstrapping procedures to the existing permutation test, one has more supporting evidence for the dimension estimation of the central subspace that allow it to be determined more convincingly.

유전자집합분석에서 순열검정의 대안 (A study on alternatives to the permutation test in gene-set analysis)

  • 이선호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2호
    • /
    • pp.241-251
    • /
    • 2018
  •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의 유전자집합분석은 개별유전자분석에 비해 검정력도 높일 수 있고 결과 해석이 쉬워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표현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유전자집합의 검색은 검정통계량들이 유도된 배경에 따라 결과에 차이를 보이지만 대체적으로 t-통계량의 제곱합을 이용한 순열검정이 제일 무난한 방법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유전자집합분석에서 다중검정은 필수이고 많은 집합들의 유의성에 변별력을 주기 위해서는 순열검정에서 생성하는 치환표본의 수가 많이 필요하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순열검정을 대신할 모수적 방법들을 검토한 결과, 적률을 이용한 근사가 각 집합의 유의확률 계산시간도 훨씬 단축하며 순열검정에서 구한 유의확률과 크기와 순위가 거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Permutation Analysis of Split-Half Reliability Coefficient

  • Um, Yongh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133-139
    • /
    • 2017
  • In this paper, we describe a permutation procedure in which we compute a resampling probability value and empirical quantile limits for Split-Half measure of internal reliability. We use the Split-Half reliability coefficient given by two simple methods, the Spearman-Brown formula and the two-part coefficient alpha. The use of a permutation test for Split-Half reliability coefficient is highlighted as a valuable tool when the sample sizes are small and necessary assumptions cannot be met. The permutation tests for Split-Half reliability coefficient are illustrated with an example analysis of two survey data with a sample size of 15 and 35, respectively, and a hypothetical data with a sample size of 5.

Permutation Test for the Equality of Several Independent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 Um, Yongh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59-164
    • /
    • 2019
  • The statistical inference of Cronbach's alpha measure of internal reliability is known to be inaccurate when sample size is small and the assumption of normality is violated.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permutation method in which we compute resampling p-values for testing the difference between two or more independent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When the over-all permutation test is significant, we also make pairwise post-hoc comparisons using permutaion method. The permutation tests for the equality of two independent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and three independent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are illustrated with an example analysis of survey data.

Testing the Equality of Two Linear Regression Models : Comparison between Chow Test and a Permutation Test

  • Um, Yongh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157-164
    • /
    • 2021
  • 회귀분석은 반응변수와 예측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잘 알려진 통계 테크닉이다. 특히 연구자들은 두 개의 독립 모집단에서의 모형들의 회귀계수들(절편과 기울기)을 비교하는데 관심이 있다. Gregory Chow에 의해 제안된 Chow 검정은 회귀모형들을 비교하고 선형회귀모형 안에 구조적 브레이크가 존재하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보통 사용되는 방법들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 독립 선형회귀모형들의 등가성을 검정하기 위해 퍼뮤테이션 방법을 제안하고 Chow 검정과 비교한다. 그리고 퍼뮤테이션 검정과 Chow 검정의 검정력을 조사하기 위해 시물레이션 연구를 진행하였다.

Outlier Impact on the Power of Significance Test for Cronbach Alpha Reliability Coefficient

  • Yonghwan U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179-187
    • /
    • 2023
  • 본 논문은 크론바흐 알파 신뢰계수의 유의성 검정에서 이상치가 검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것이다. 표본 크기, 문항들의 수, 이상치의 수, 모집단의 크론바흐 알파 레벨의 네 개의 변수들에 변화를 주었다. 데이터 시물에이션을 위해 다변량 정규분포를 사용했고 균일분포로부터 이상치를 추출하여 사용했다. 크론바흐 알파 신뢰도의 유의성 검정을 위해 모수적 검정(F 검정)과 퍼뮤테이션 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퍼뮤테이션 검정의 검정력은 F검정의 검정력 보다 크거나 같았고, 두 검정의 검정력은 모두 이상치의 수가 많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이상치의 영향은 모집단의 알파 레벨이 증가할수록 크게 나타났다.

Tests to Detect Changes in Micro-Flora Composition;

  • Kim, Donguk;Yang, Mark C.K.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0권1호
    • /
    • pp.211-224
    • /
    • 2003
  • Good's lambda test, a permutation test used to detect the changes of microorganism composition under two pathological conditions, has been quite popular for studying the micro-flora responsible for periodontal disease. A vast number of different micro-flora in the mouth renders the traditional chi-square test inapplicabl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power of this test so that the sample size can be determined at the design stage. The robustness of this test and its comparison to two other intuitive tests are also presented. It is found that a permutation test based on likelihood ratio is more powerful than the lambda test in our simulated cases.

극소수 샘플에서 유의발현 유전자 탐색에 사용되는 순열에 근거한 검정법 (Permutation-Based Test with Small Samples for Detecting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 이주형;송혜향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5호
    • /
    • pp.1059-1072
    • /
    • 2009
  • 마이크로어레이 극소수 샘플(array) 자료의 분석에서는 유의한 발현수치를 나타내는 유전자를 검정통계량에 의해 결정하는 것이 주요과제이다. 이 때 수 천 또는 수 만개인 유전자의 발현수치로부터 귀무분포(null distribution)의 생성이 필수적이며, 극소수 샘플 자료의 경우에는 순열방법(permutation methods)에 의해 귀무분포를 생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논문에서는 귀무분포 생성에 사용될 수 있는 매우 단순한 검정통계량을 제시하면서 더불어 귀무분포 생성에 적절한 순열방법도 제안한다. 모의실험으로 기존의 검정통계량으로 생성된 귀무분포와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검정통계량의 귀무분포를 비교하며, 실제 자료에 적용하여 유의 유전자를 탐색한다.

설명변수 차원 축소에 관한 비모수적 검정 (Nonparametric test on dimensionality of explantory variables)

  • 서한손
    • 응용통계연구
    • /
    • 제8권2호
    • /
    • pp.65-75
    • /
    • 1995
  • 설명변수 축소방법들인 Sliced Inverse Regression과 Principal Hessian Directions에서는 효과적 차원축소공간의 차원을 결정하기 위하여 설명변수의 정규성과 충분한 수의 자료가 요구되는 점근적검정(asymptotic test)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ok과 Weisberg(1991)가 제안하였던 순열검정통계량(permutation test statistic)을 개발하여 SIR과 PHD에서 제시된 점근적 검정 통계량과 검정력을 비교하기로 한다.

  • PDF

Nonparametric Test for Multivariate Location Translation Alternatives

  • Na, Jong-Hwa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7권3호
    • /
    • pp.799-809
    • /
    • 200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nparametric one sided test for location parameters in p-variate(p$\geq$2) location translation model. The exact null distributions of test statistics are calculated by permutation principle in the case of relatively small sample sizes and the asymptotic distributions are also considered. The powers of various tests are compar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 and thep-values with real data are also suggested through examp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