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manent incisor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3초

미완성된 근첨을 가진 영구치 치근 파절의 치유에 관한 증례 (TRAUMATIC ROOT FRACTURE IN YOUNG PERMANENT TEETH : A CASE REPORT)

  • 강선희;김대업;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76-580
    • /
    • 2003
  • 7세 남아가 맹출 중인 상악 영구 중절치의 외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아의 우측 중절치는 아탈구와 치근 파절을 보였고, 좌측 중절치는 함입성 탈구와 치근 파절을 보였다. 두 치아는 정복 후 선부자에 의해 고정하였다. 이후 주기적인 검진을 시행하였다. 4년이 지난 현재, 우측 중절치는 방사선 사진에서 파절편 사이에 방사선 투과성이 보이지 않고 정상적인 치조백선을 보여 경조직으로 치유되는 양상을 보였다. 좌측 중절치는 파절편이 분리되어있고 근관이 점차 폐쇄되는 소견을 보이고 있어 골과 결합조직의 개입에 의한 치유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임상 검사에서 정상적인 동요도와 타진 반응을 보였고, 전기치수검사에 양성 반응을 보였다. 외상을 받은 치아의 예후는 외상의 유형, 환자의 연령, 치근의 발육단계, 변위의 정도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증례는 개방근관을 가진 치아가 외상 후 우측 중절치는 석회화 조직으로 치유, 좌측 중절치는 골과 결합조직의 개입으로 치유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상악 영구 중절치의 외상성 치근파절 : 증례보고 (TRAUMATIC ROOT FRACTURES IN UPPER PERMANENT CENTRAL INCISORS - A CASE REPORT)

  • 최형준;곽지윤;이종갑;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85-390
    • /
    • 2003
  • 청소년기에는 두개악안면부위의 외상성 손상이 흔하다. 그러나 상아질, 백악질, 치수를 포함하는 치아파절로 정의되는 치근파절은 비교적 드물다. 치근파절에 대하여 취 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는 파절편의 치관부위를 재위치시키고, $2{\sim}3$달간 레진강선 고정술을 시행하는 것이다. 치수괴사나 치근흡수의 징후가 나타날때까지 근관치료를 보류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증례에서 파절편의 치근부위는 그 생활력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본 증례의 10세 4개월된 남아는 상악영구중절치의 치근파절을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하였으며, 그후 7년동안 동일부위에 2번의 반복적인 외상이 있었으나 파절편 치관부의 재위치, 레진 강선 고정술, 근관치료 시행 후 임상적으로 방사선학적으로 비교적 양호한 치료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하악 유견치 조기탈락은 무엇을 의미할까?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Premature Loss of the Mandibular Primary Canine)

  • 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7-101
    • /
    • 2015
  • 하악 유견치의 조기탈락은 임상에서 흔히 관찰되는 현상으로 후에 영구치열에서 총생의 징후라 할 수 있으며 향후 영구 전치의 배열상의 문제점이나 부정교합을 유발할 수 있다. 영구 측절치가 맹출될 때 맹출 공간이 부족할 경우 인접해 있는 유견치 치근을 흡수시키면서 맹출하게 되고 그 결과 유견치가 조기에 탈락하게 되는데, 이 경우 영구 하악 영구 절치들이 설측으로 경사지게 되면 상악 절치들과 교합 접촉이 상실되어 상악 절치들이 과맹출됨으로써 수직피개교합 및 수평피개교합이 깊어지며 악궁둘레길이는 감소된다. 유견치가 편측으로 상실된 경우는 상기 현상 이외에, 영구 절치들이 조기 상실된 부위의 공간으로 경사지게 되어 정중선이 틀어지게 된다. 보통 4 mm 이하의 공간부족은 순차적인 유치의 disking과 passive lingual arch를 사용하여 leeway space를 보호하는 것만으로도 해결이 가능하며 4~6 mm 공간부족은 상기 술식과 함께 악궁의 전후방 및 측방확장으로 어느정도 해소할 수 있다.

Dentoskeletal features in individuals with ectopic eruption of the permanent maxillary first molar

  • Mucedero, Manuela;Rozzi, Matteo;Cardoni, Giulia;Ricchiuti, Maria Rosaria;Cozza, Paola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90-197
    • /
    • 2015
  • Objectiv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ectopic eruption of the permanent maxillary first molar (EEM) in individuals scheduled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EEM with dental characteristics, maxillary skeletal features, crowding, and other dental anomalies. Methods: A total of 1,317 individuals were includ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265 subjects were included as controls, while the remaining 1,052 subjects included the sample from which the final experimental EEM group was derived. The mesiodistal (M-D) crown width of the deciduous maxillary second molar and permanent maxillary first molar, maxillary arch length (A-PML), maxillomandibular transverse skeletal relationships (anterior and posterior transverse interarch discrepancies, ATID and PTID), maxillary and mandibular tooth crowding, and the presence of dental anomalies were recorded for each subject,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s in these parameters between the EEM and control groups was determined using independent sample t -tests. Chi-square tests were used to compare the prevalence of other dental anomalie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prevalence of maxillary EEM was 2.5%. The M-D crown widths, ATID and PTID, and tooth crowding were significantly greater, while A-PML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EEM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Only two subjects showed an association between EEM and maxillary lateral incisor anomalies, which included agenesis in one and microdontia in the other. Conclusions: EEM may be a risk factor for maxillary arch constriction and severe tooth crowding.

한국인 유치열기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FOR THE CHILDREN IN THE PRIMARY DENTITION OF KOREAN)

  • 김동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4-75
    • /
    • 1978
  • In order to know cephalometric norms for the preschool children, this roentgeno cephalometric study was undertaken in each 50 Korean male and female children of primary dentition age from 4 to 5 year.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the skeletal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angular measurement and the linear measument of the male was generally greater than that of the female. 2. Saddle angle was $122.3^{\circ}$, articular angle was $147.6^{\circ}$, gonial angle was $119.4^{\circ}$ and the sum of each angle was $396.1^{\circ}$ in male and $396.6^{\circ}$ in female. 3. The ratio of mandibular body to anterior cranial base was about 1 : 0.91. 4. In the primary dentition, suggested that the nasion and point A move forward relative to sella turcica in a fashion, pogonion and point B are equal in angular position relative to plan S-N, bony chin and chin button was yet underdeveloped, and the forward growth of mandible was seen rapid than maxilla after 4 years. 5. Suggested that the percentage of anterior facial height to the posterior facial height were 64.4% in male and 64.1% in female. 6. Maxillary primary incisors was more upright than the permanent incisors, mandibular primary incisors was inclined lingually relative to the permanent incisor, and primary incisors was more upright than the permanent incisors. 7. Maxillary primary incisors in female was inclined labially than male. 8. In the the relationship of the upper lip and lower lip to the esthetic line, the upper lip was 2.11mm and the lower lip was 2.33mm front of the esthetic line.

  • PDF

뇌병변 환아에서 외상성 손상을 받은 미성숙 영구치의 치험례 (TREATMENT OF AN IMMATURE, TRAUMATIZED PERMANENT TOOTH OF A PATIENT WITH CEREBRAL PALSY : A CASE REPORT)

  • 허선재;신터전;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김영재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2-76
    • /
    • 2016
  • 저자는 뇌병변 장애와 보행장애로 반복적인 외상성 치아손상을 받은 환아의 치료를 시행하였다. 최근 실활된 미성숙 영구치의 계속된 치근 형성을 위해 재생적 근관치료 술식이 많이 시도되어 성공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장애로 인해 반복적인 외상의 위험을 가진 환아에서 치수조직의 재생 보다는 치근단형성술을 통한 치근단의 폐쇄와 근관 충전이 비용과 장기적인 예후의 측면에서 유리한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성장기 아동의 연령에 따른 부착치은 폭경에 대한 연구 (A clinical study of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 in the deciduous, mixed and permanent dentitions)

  • 김지연;정다운;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78-685
    • /
    • 2006
  • 건강한 치주조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폭경의 부착치은이 필요하다. 이러한 부착치은의 폭경은 연령에 따라서 변화한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그 정상치에 대한 보고는 저자들마다 차이를 보이며 또한 한국인에서의 정상 평균값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악골의 발육 및 치아의 맹출과 관련하여 유치열기로부터 초기영구치열기까지의 부착치은의 폭경 및 치은열구 깊이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고, 한국인 아동의 정상치를 구하는 것이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4세에서 14세 사이의 유치열기, 혼합치열기 및 영구치열기 아동88명을 대상으로 유치열기($4{\sim}6$세)에서는 유중절치와 제1유구치, 혼합치열기($7{\sim}10$세)에서는 중절치, 제1유구치 및 제1대구치, 영구치열기($10{\sim}14$세)에서는 중절치, 제1소구치 및 제1대구치에서 협측 부착치은의 폭경과 치은열구 깊이를 치주탐침으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상하악 제1대구치 부착치은의 폭경은 치아맹출 후 연령에 따라서 증가하였다(p<0.05). 하악유전치을 제외한 모든 실험 치아에서 맹출 직후 치은열구 깊이가 증가하는 것을 보였으며 부착치은의 폭경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p<0.05). 이러한 결과는 부착치은의 폭경이 유치열기부터 영구치열까지 연령에 비례하여 일정하게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Rieger증후군의 증례 (Case Reports of Rieger's Syndrome)

  • 기우천;곽준봉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5권8호통권219호
    • /
    • pp.783-788
    • /
    • 1987
  • The authors observed the two cases of Rieger's syndrome in 21-year-old male and 13-year-old female with a chief complaint of Partial anodontia of permanent teeth on both jaws. We had done the laboratory and ophthalmic examinations and had taken radiographs. Final diagnosis was established as Rieger's syndrome. We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1. There was no peculiar hereditary tendency in them. 2. The patients had no disturbance of general physical activity and mentality. 3. The male patient had pseudoprogenathism, concave profile, congenital missing on upper anterior and second premolar teeth, and conical shaped crown of upper len celral incisor. The female patient had also pseudoprognathism, concave profile, thickened upper labial frenum, decreased upper dental arch width, congenital missing on upper anterior teeth, and delayed eruption of second premolars. 4. The ophthalmic symptoms that were ins abnormalities, decreased visual acuity, and increased intraocular pressure were present. 5. The abnormalities except dental and ophthalmic abnormalities were not round.

  • PDF

한국인 성인의 악안면 연조직의 심미적 안모형태 분석에 관한 연구 (A SOFT TISSUE ANALYSIS ON FACIAL ESTHETICS OF KOREAN YOUNG ADULTS)

  • 백승학;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1-170
    • /
    • 199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young adults, norms and standard deviation of variables, sexual differences, correlationship between each area of face and correlationship between hard tissue and soft tissue. The primary sample consisted of 45 males and 57 females who were early and middle twenties and had acceptable profile, no history of previous orthodontic treatment, absence of remarkably large overjet and overbite, full complement of permanent teeth, Class I skeletal and dental relationships and good vertical facial proportions. Their cephalograms were analyzed morphologically with a computer morphometrics. Then the final sample - 25 males and 38 females - were selected within 1 S.D. of E-line, ANB, P/A facial height ratio, Interincisal angle, L1 to A-Pog, ODI and APDI.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form and proportion of facial skelet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but in the size males were larger than females. 2. The dental protrusion patterns had no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 and no significant correlationship between protrusion of upper lip and inclination of upper incisor. But mentolabial angle had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incisal angle and negatively with inclination of upper and lower incisor. 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se and soft-tissue profile, males were larger than females in nasal length, height and angular measurements. 4. In analysis of soft-tissue profile, males were larger than females in the length and thickness. In the angular measurements and proportion of soft-tissue prof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 PDF

외과적 재위치술에 의한 매복된 만곡절치의 치험례 (TREATMENT OF AN IMPACTED DILACERATED INCISOR BY SURGICAL REPOITION)

  • 서윤진;이광희;라지영;안소연;김윤희;금기석;이상봉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6-173
    • /
    • 2012
  • 만곡치는 치관과 치근 사이의 경계부에서 굽어 있는 형태적 특징이 있다. 만곡치는 영구치열에서 3% 유병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확실한 원인은 아직 정립된 바 없으나 유치의 외상으로 인한 계승 영구치의 만곡과 외상과 관계없는 치배의 특발성 발육장애가 2가지 주요 원인으로 추측되고 있다. 특히 만곡된 상악 절치는 흔히 맹출지연으로 인한 매복이 유발되며 이를 방치할 경우 정중선 불일치, 인접 치아의 이동에 의한 공간부족과 치조골 높이의 불일치가 발생된다. 본 증례는 상악 중절치의 매복을 주소로 한 8세 남아로 CT상 매복된 상태에서 치관부가 전비극에 근접하여 협측으로 위치되어 있으며 치근부에서 만곡이 관찰되어 교정적 견인을 시도하였으나 이동이 되지 않아 외과적 재위치술로 치료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