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UMATIC ROOT FRACTURE IN YOUNG PERMANENT TEETH : A CASE REPORT

미완성된 근첨을 가진 영구치 치근 파절의 치유에 관한 증례

  • Kang, Sun-He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Wonkwang Dental Research Institute) ;
  • Kim, Dae-Eop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Wonkwang Dental Research Institute) ;
  • Lee, Kwang-He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Wonkwang Dental Research Institute)
  • 강선희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원광치의학연구소) ;
  • 김대업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원광치의학연구소) ;
  • 이광희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원광치의학연구소)
  • Published : 2003.11.29

Abstract

A 7-year-old male was refered t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Wonkwang Dental Hospital for treatment of a traumatic injury to the teeth of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of the mouth. His right central incisor presented subluxation and root fracture, the left central incisor had suffered intrusive luxation and root fracture. The initial treatment involved reposition and fixation of the teeth with 0.5mm stainless steel wire and composite resin. The patient was submitted for clinical and radiographic fallow-up. After 4 years, radiographically the right central incisor seemed to be healed by hard tissue union and showed to be indistinct fracture line, intact lamina dura. The left central incisor radiographically was healed by interposition of bone and connective tissue and showed to be distinct horizontal fracture line separating the fragments, and pulp canal obliteration. In clinical examination, the teeth showed a normal response to elective pulp test, percussion and mobility test. Pulp survival after injuries appears to be dependent upon the type of luxation injury, age of patient, stage of root development and degree of dislocation. In this case, the two teeth with incomplete root formation were suffered different type of injury by trauma and has showed different healing aspect.

7세 남아가 맹출 중인 상악 영구 중절치의 외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아의 우측 중절치는 아탈구와 치근 파절을 보였고, 좌측 중절치는 함입성 탈구와 치근 파절을 보였다. 두 치아는 정복 후 선부자에 의해 고정하였다. 이후 주기적인 검진을 시행하였다. 4년이 지난 현재, 우측 중절치는 방사선 사진에서 파절편 사이에 방사선 투과성이 보이지 않고 정상적인 치조백선을 보여 경조직으로 치유되는 양상을 보였다. 좌측 중절치는 파절편이 분리되어있고 근관이 점차 폐쇄되는 소견을 보이고 있어 골과 결합조직의 개입에 의한 치유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임상 검사에서 정상적인 동요도와 타진 반응을 보였고, 전기치수검사에 양성 반응을 보였다. 외상을 받은 치아의 예후는 외상의 유형, 환자의 연령, 치근의 발육단계, 변위의 정도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증례는 개방근관을 가진 치아가 외상 후 우측 중절치는 석회화 조직으로 치유, 좌측 중절치는 골과 결합조직의 개입으로 치유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