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study of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 in the deciduous, mixed and permanent dentitions

성장기 아동의 연령에 따른 부착치은 폭경에 대한 연구

  • Kim, Ji-Ye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Jung, Da-Wo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Park, Ki-Ta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김지연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치과진료부 소아치과학교실) ;
  • 정다운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치과진료부 소아치과학교실) ;
  • 박기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치과진료부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A certain width of attached gingiva is required to maintain gingival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mensional changes in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 and the depth of gingival sulcus among the deciduous, mixed and permanent dentitions and establish baseline information on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 in Korean children. Eighty-eight children aged 4 to 14,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t Samsung Medical Center,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periods of dentition: deciduous, mixed and permanent dentitions. The width of keratinized gingiva and the depth of gingival sulcus were measured in each group with a periodontal probe and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 was determined.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 in maxillary and mandibular first molar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after eruption in the permanent dentition (p<0.05). The sulcus depth significantly increased in newly erupted permanent teeth with narrower width of attached gingiva (p<0.05) in all of the experimented teeth with the exception of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ean width of attached gingiva does not increase steadily from the deciduous to the permanent dentition.

건강한 치주조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폭경의 부착치은이 필요하다. 이러한 부착치은의 폭경은 연령에 따라서 변화한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그 정상치에 대한 보고는 저자들마다 차이를 보이며 또한 한국인에서의 정상 평균값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악골의 발육 및 치아의 맹출과 관련하여 유치열기로부터 초기영구치열기까지의 부착치은의 폭경 및 치은열구 깊이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고, 한국인 아동의 정상치를 구하는 것이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4세에서 14세 사이의 유치열기, 혼합치열기 및 영구치열기 아동88명을 대상으로 유치열기($4{\sim}6$세)에서는 유중절치와 제1유구치, 혼합치열기($7{\sim}10$세)에서는 중절치, 제1유구치 및 제1대구치, 영구치열기($10{\sim}14$세)에서는 중절치, 제1소구치 및 제1대구치에서 협측 부착치은의 폭경과 치은열구 깊이를 치주탐침으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상하악 제1대구치 부착치은의 폭경은 치아맹출 후 연령에 따라서 증가하였다(p<0.05). 하악유전치을 제외한 모든 실험 치아에서 맹출 직후 치은열구 깊이가 증가하는 것을 보였으며 부착치은의 폭경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p<0.05). 이러한 결과는 부착치은의 폭경이 유치열기부터 영구치열까지 연령에 비례하여 일정하게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