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복막투석환자에서의 개존된 Processus Vaginalis -방사성핵종복막촬영술로 확진된 2예- (Patent Processus Vaginalis in Patients Undergoing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 Two Cases Confirmed by Radionuclide Peritoneal Scintiscan -)

  • 이재태;손상균;이규보;황기석;조동규;고철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1-236
    • /
    • 1989
  •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is a well established method of treating end stage renal failure, and is commonly used as an alternative to hemodialysis. Several complications have been observed. These include catheter malfunction, abdominal and inguinal hernia, and peritonitis. A relatively frequent complication is swelling of external genitalia, due to bowel fluid passing through a patent processus vaginalis. Special diagnostic procedures are necessary to determine the nature of the abnormality and to guide the surgical correction. We reported two cases of patent processus vaginalis in patient on CAPD proved by radionuclide peritoneal scintiscan using Tc-99 m-tin colloid.

  • PDF

지속적외래복막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Mycobacterium$ $abscessus$에 의한 출구 감염 및 농양 1예 (A Case of Exit-Site Infection and Abscess by $Mycobacterium$ $abscessus$ in a CAPD Patient)

  • 정선영;나지훈;조규향;박종원;도준영;윤경우;송인욱;조정환;손창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6권2호
    • /
    • pp.137-142
    • /
    • 2009
  •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infections are a rare, but clinically important cause of infections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patients. This is typically suspected when a patient does not respond to treatment with the usual antibiotics. We describe here a case of $Mycobacterium$ $abscessus$ exit site infection with abdominal wall abscess formation that was associated with CAPD, which required peritoneal catheter removal, surgical debridement of the abscess and long term antibiotic therapy.

  • PDF

소아 복막 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복막염 : 단일기관에서 12년간의 경험 (Peritoneal Dialysis-related Peritonitis in Children: A Single Center's Experience Over 12 Years)

  • 오성희;이윤정;이진아;이주훈;박영서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6권2호
    • /
    • pp.80-88
    • /
    • 2012
  • 목적: 소아 복막 투석 환자에서 복막염의 특징과 International Society for Peritoneal dialysis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경험적 항생제 치료가 적절한지 분석하였다. 방법: 2000년 3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소아과에서 복막 투석을 한 경험이 있는 7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복막 투석을 받은 32명의 환자에서 79회의 복막염이 발생하여 발생빈도는 0.43회/환자 년이었고 복막 투석 방식에 따른 복막염의 발생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P=0.459). 또한 21명의 환자가 51회의 복막 도관 감염을 경험하였고 도관 감염의 발생 빈도는 0.28회/환자 년이었다. 복막 도관 감염에 따른 복막염의 발생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P=0.721). 79회의 복막염 중 68.4%에서 균이 동정되었으며, 그람 양성균 중 85.3%가 ${\beta}$-lactam계 항생제에 감수성이 있었고 그람 음성 막대균 중 94.7%가 ceftazidime에 감수성이 있었다. 균이 동정되지 않은 복막염 중에는 92.0%에서 cefazolin과 ceftazidme에 치료 반응을 보였다. 결론: 복막 투석 환자에서 복막염의 발생 빈도는 0.43회/환자 년이었고, 복막염에 대한 치료로 cefazolin과 ceftazidime의 초기 경험적 항생제 투여는 복막염의 91.1%에서 적절하였다. 그러나 내성 균주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인공기복으로 치료한 폐엽절제후 발생된 사강과 공기누출 -1례 보고- (Treatment of Dead Space with Prolonged Air-leak after Lobectomy by Artificial Pneumoperitoneum -A case report-)

  • 이응석;윤용한;백완기;손국희;김광호;안승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7호
    • /
    • pp.578-581
    • /
    • 2001
  • 5년전에 위암으로 위아전절제술의 병력이 있는 59세 남자환자가 우폐 하엽에 선암종으로 진단 후 우중하엽의 이엽절제술을 받았으나, 수술 후 21일째까지 지속되는 공기누출과 사강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수술후 22일째 인공기복형성술을 실시하였다. 인공기복술후 14일만에 흉관을 제거할 수 있었다.

  • PDF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 직후 발생하는 비감염성 호산구성 복막염 (Eosinophilic Peritonitis (EP) Complicated with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 백경훈;전윤애;민재홍;박경미;김정수;하일수;정해일;최용;고광욱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권2호
    • /
    • pp.117-122
    • /
    • 1997
  • 목적 :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CAPD)직후 발생하는 비감염성 호산구성 복막염(eosinophilic peritonitis, EP)의 임상경과 및 검사소견을 분석하고 가능한 원인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4년 1월 1일부터 1996년 12월 31일까지 3년간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에서 만성신부전으로 CAPD를 시행한 34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EP의 발생여부에 따른 임상소견, 검사소견, 임상경과 등의 차이에 대하여 후향적 고찰을 하였다. 결과 : 34명의 전체 환아들중 EP가 병발한 예는 7명 (21%) 이었다. EP 발생유무에 따른 연령, 성별, 원인질환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EP는 5례(71%)에서 CAPD 카테타 삽입후 4일 이내에 발생하였고 주증상은 전례에서 투석액의 혼탁이었으며 발열, 복통, 배액장애 등의 소견은 동반되지 않았고 각종 세균에 대한 투석액의 배양검사는 전례에서 음성이었다. 투석액의 혼탁은 항생제 투여 유무와 무관하게 저절로 좋아지는 경과를 보였다. CAPD 시술전의 말초혈액 호산구 증가와 EP의 발생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P=0.002), CAPD 시술 전에 혈액투석을 받은 경우에도 혈액투석용 카테터 삽입 후의 말초혈액 호산구 증가와 EP의 발생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P=0.016). CAPD 시술 후의 말초혈액 호산구 증가와 EP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한편 투석액중 호산구의 정확한 계수를 위하여는 투석액의 cytospin검사가 필요하였다. 결론 : CAPD를 시작한 만성신부전 환아에서 CAPD 카테터 삽입전에 이미 말초혈액 호산구 증가가 있을 경우 초기에 EP의 발생 가능성이 있음을 염두에 두고, 다른 임상증상없이 투석액의 혼탁만 있는 경우 투석액의 cytospin 검사를 시행하여 조기에 EP를 진단함으로써 불필요한 항생제의 투여를 방지할 수 있다.

  • PDF